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칼럼] 젖은 광장, 마른광장
    지난 해 12월 9일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하자, 핑계 삼아 다음날 새벽까지 통음했다. 오후에야 겨우 정신을 수습하고 찾아간 미용실. 머리를 다듬던 원장이 말했다. “오늘은 우리 꼬맹이들 데리고 가려고요.” 지난 6주 동안 그는 한 번도 거르지 않고, 하루 종일 서서 일하느라 퉁퉁 부은 다리를 이끌고 토요일마다 촛불을 들었다. 8시가 넘어서야 가게 문을 걸어 잠그고 서둘러 광장으로 달려가 자정 넘어서까지 거리를 지켰다. “하도 구호를 외쳐서 목이 터지는 줄 알았다”고 했다. 내 직업이 정치 뉴스를 다루는 것임을 알면서도, 원장은 나를 단골로 대한 지난 8년 동안 한 번도 정치 얘기를 건넨 적이 없었다. 그를 보면서, 나는 어떻게 ‘232만 명’이라는 경이로운 숫자가 탄생했는지 알게 되었다. 내 주변의 평범한 이웃들이 나섰기 때문이었다. 이전에 내가 경험했던 광장은 잠깐 타오르다 달콤한 케이크 위로 녹아버리는 막대 촛불 같은 것이었다. 2008년 봄 광화문광장. 그 전해 말 531만의 큰 표 차로 당선된 이명박 대통령은 금세 촛불의 성난 함성에 부닥쳤다. 그러나 거세게 타올랐던 촛불은 1987년 민주화 항쟁의 시작 일인 6월 10일을 기점으로 최고조에 이르렀다가 “청와대 뒷산에 올라 눈물을 흘렸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이후 이내 잦아들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조건이 다소 까다로워졌고 ‘한반도 대운하’가 ‘4대강’으로 바뀌었지만, 근본적으론 변한 건 없었다. 반대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에 대한 감시·사찰·검거가 이어졌고, 검찰의 가혹한 망신 주기 수사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 부엉이바위에서 뛰어내렸다. 그리고 4년 뒤인 2012년엔 이번 겨울 수백만 명을 거리로 내몬 박근혜 대통령이 당선됐다. 뿐만인가. 2014년의 광장은 얼마나 많은 상처를 입었나. 세월호 참사에 대해 가슴깊이 아파했던 프란치스코 교황이 왔다 간 광화문광장에선 유가족을 능멸하는 행위가 자행됐다. 단식 농성을 하는 가족들 곁에서 ‘자장면 퍼포먼스’가 벌어졌다. 슬픔과 공감이 있던 자리엔 진영 논리가 횡행했다. 광장에서 튄 분노의 불꽃은 이내 마른 장작처럼 화다닥 탄 뒤 한줌 재로 스러졌다. 마른 광장은 희망을 잠시 조우했을 뿐이다. 그러나 이번 광장은 달랐다. 마음에 차오른 물기. 그건 나만이 느낀 게 아니었을 게다. 매서운 바람 속에서도 느낀 따뜻함 밑바닥엔 슬픔이 자리 잡고 있었다. 우리가 소리친 광장엔 울분과 통한이 서려 있었다. 광장은 축축했다. 세월호 참사가 벌어졌던 2014년 당시, 나는 매일 국회로 출근해 하루 종일 정치인들을 가까이서 지켜보며 취재하는 일을 했다. 흔히들, 갈등은 민주주의를 작동하게 하는 동력이라고 한다. “우리 사회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갈등을 표출하고 사회화 하는 과정이 바로 정치”(샤츠 슈나이더)라는 관점이다. 이 경우 정치는 밀실의 개인들을 불러내 자신의 목소리를 분출하도록 하는 광장이다. 그러나 유족들에게 한국의 정치는 광장이 아니었다. 같은 해 재보궐 선거에서 승리하면서 주도권을 쥔 여권은 한국 사회를 들끓게 한 ‘지배적 사회 갈등’이었던 세월호 문제의 본질을, 자신들의 존립에 유리한 갈등, 즉 ‘색깔론’으로 대체했다. 야당은 당내 분열과 실력 부족으로 여권의 이런 행태를 제어할 수 없었다. 도무지 좌우를 따질 일이 아닌 사회적 대참사가 정쟁으로 전락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유족들은 보상금을 한 푼이라도 더 받아내려는 탐욕스런 집단으로, 좌파와 결합한 불온한 세력으로 몰렸다. 유족들은 밀실에 갇혔다. 지난 해 4·13 총선 때 ‘세월호 변호사’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출마하자 유족들은 도라에몽 인형 탈을 쓰고 선거 운동을 했다. ‘세월호 유족’이 공공연히 나섰다가 표 떨어질 것을 우려했던 까닭이다. 유족들은 ‘투표로 아이들의 미래를 바꿉시다’라는 보편적이고 상식적인 주장을 펼칠 때조차 인형 탈 뒤로 숨어야 했다. 올 겨울 광장. 시민들은 진실의 외침을 다시 응시했다. 밀실에 유폐됐던 진상 규명의 호소를 응원했다. 촛불이 밝혀지기 시작하던 11월 초까지만 해도 광장 한편에서 쭈뼛거렸던 유족들은 날로 탄핵의 열기가 고조되자 전면에 나섰다. 11월 28일엔 노란 종이배 304개를 태운 ‘세월호 고래’ 풍선과 함께 청와대 앞까지 행진을 벌였다. 2014년 말,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호소하며 당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앞에서 무릎 꿇고 빌기까지 했던 창현이 아빠 이남석 씨는 시위대 맨 앞에 서서 광화문에서 청와대까지 갔던 날을 이렇게 표현했다. “‘사람들이 우리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해 달라’며 1000일 가까이 바쳤던 간절한 기도가 드디어 응답 받았다고 생각했다.” 올 겨울 광장. 수백만 명이 모였는데도 질서와 평화가 유지된 것은 놀라운 광경이었다. 그러나 일부 언론이 쓰는 ‘시민의식의 성숙’이란 ‘중립적’ 표현은 이 광장의 경이로움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인내와 절제, 그 밑에 자리한 것은 304명을 떠나 보낸 우리들의 눈물이었다. 광장은 젖어 있었다. 이유주현은 강원도 원주에서 태어나 19년을 살았다. 1997년 「한겨레」 신문에 입사해 문화부, 사회부, 정치부 등을 거쳐 왔다. 한때 조경가를 꿈꾸기도 했으나 ‘미수’에 그쳤다. 일과 일 아닌 것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보려고 하면서도 늘 휘청거리며 살고 있다. 나이가 들면서 주름이 멋지게 잡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공저로 『소울 플레이스』, 『공원을 읽다』 등이 있다.
  • [광장의 재발견] 광장의 재발견 Reinvention of Plaza
    지난 2016년 11월 12일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에는 100만 명 넘는 사람들이 운집했다. 1987년 6월 민주화 항쟁 이래 최대의 인파, ‘광장의 역사’를 새로 쓴 날로 기억된다. 우리는 광장을 뒤덮은 인파를 보며 주체적 시민의 힘에 압도되기도 하고, 그 축제적 가능성에 전율하기도 한다. 한국의 도시민에게 광장은 익숙한 공간이 아니었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1960년 4.19 혁명을 통해, 그리고 긴 침묵 후 1987년 6월 민주화 시위를 통해 시민이 주체가 된 광장을 발견했다. 그리고 2002년 6월, 월드컵과 촛불집회를 통해 우리는 광장을 매개로 집단적 정치 참여를 축제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자각했다. 폭발적으로 또 반복적으로 광장이 형성되고 있는 지금의 광화문광장 현상은 광장과 광장 문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의를 촉발하고 있다. 그러나 광장을 정치적 관점으로만 해석할 경우 광장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용도와 층위를 간과할 우려도 있다. 여러 공공 공간 가운데 광장만큼 일상적 이용과 비일상적 이용이 확연하게 구분되는 공간이 있을까. 혹은 광장만큼 도시와 장소의 맥락, 정치와 역사적 상징과 관련된 공간이 있을까. 그럼에도 전 세계적으로 광장이 녹음을 드리운 공원과 유사한 오픈스페이스로 변신하는 현상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점차 늘어가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물리적 광장의 기능을 대체할 것인가. 우리는 광장에 관한 다양한 시선을 담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다양한 면면 가운데서 우리 시대 광장의 의미와 쓰임의 단초를 발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아고라포비아_ 박승진 광화문광장인가, 광화문극장인가?_ 전상인 광장, 군중, 이벤트_ 김세훈 ‘광장의 재발견’에 단 편집자 주_ 남기준 편집부가 추천하는 광장 10선_ 김정은 * 환경과조경 347호(2017년 3월호) 수록본 일부
    • 편집부
  • [광장의 재발견] 아고라포비아
    1. ‘광장공포증agoraphobia’에 대한 정의는 전문 분야마다 조금씩 상이하다. 심리학에서는 사람들이 붐비는 낯선 공공장소처럼 도움을 받을 수 없는 환경에 혼자 놓이게 되는 상황을 두려워하여, 비이성적인 공포를 느끼는 일종의 공황 장애로 설명하는 반면 건축 분야에서는 광장과 같이 개방되고 넓은 장소에서 다른 사람들의 눈에 띄는 것을 두려워 하는 증상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증상을 유발시키는 계기가 조금씩 다르지만, 실체적인 공간이 공포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그런데 설계자들에게도 일종의 광장공포증이 있다. 위에서 언급한 의학적, 심리학적 정의에 속하지 않는, 조금 부연한다면 ‘광장설계공포증’이라고 해야 될지도 모르겠다. 공간을 다루는 조경가 혹은 건축가들에게 간혹 나타나는 불안 증세라고 설명할 수 있겠다. 설계라는 작업의 끝은 결국 실체적 공간을 구현해 내는 것이다. 도면 위에 그려지는 수많은 선과 기호는 곧바로 물리적 재료로 치환되고 그렇게 공간을 만들어 내거나 점유하게 된다. 공간을 구축하거나 조직하는 행위는 대체로 무엇인가를 더하는 행위인데, 광장은 무엇인가를 담기 위해 비워진 상태를 유지해야(혹은 유지할 수 있어야)하는 공간이므로, 광장을 물리적으로 표현하고 정의하기가 사실 쉽지 않다. 더욱이 설계라는 과정을 통해 ‘광장’이라는 단어가 내포하고 있는 어마어마한 인문적 가치를 구현해야 한다는 지점에까지 생각이 미치면 이 광장설계공포증의 불안 증세는 최고조에 이른다. ...(중략)... 박승진은 아직까지 조경 설계라는 마당을 떠난 적이 없으며, 이 마당에 맞닿아 살고 있는 다양한 이웃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기웃거리고 있다. 조경이라는 특징을 잘 보여줄 수 있는 가치 있고 정교한 작업을 늘 꿈꾸지만 그것도 만만치가 않다. 그래도 읽고, 쓰고, 가르치며, 배우는 일상에 감사하고 있다. 1965년 서울 생으로, 성균관대학교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조경 디자인을 공부했고,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조경설계 서안에서의 설계 실무를 거쳐, 2007년 디자인 스튜디오 loci를 열었다. * 환경과조경 347호(2017년 3월호) 수록본 일부
  • [광장의 재발견] 광화문광장인가, 광화문극장인가?
    최근 우리나라에서 광장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광장을 찾는 사람이 많아졌을 뿐 아니라 광장이 뉴스 헤드라인의 진원지가 되는 일도 눈에 띄게 늘었다. 두말할 나위 없이 이는 2016년 연말을 강타한 이른바 최순실 국정농단 비판과 박근혜 대통령 탄핵 관련 촛불시위 탓이다. 건축이나 조경, 도시계획 분야에 종사하는 이른바 전문가들의 영역을 넘어, 광장이 요즘처럼 보통 사람의 의식과 일상에 가까웠던 적이 우리 역사상 또 있었을까? 언제부터 우리 국민이 이처럼 ‘광장형 인간’이 되었을까? 이는 광장이라는 공간이 워낙 한국적 전통과 무관하다는 점에서 더욱 더 놀라운 일이다. 광장은 서구의 역사적 유산으로서, 그것의 기원은 고대 희랍의 아고라agora와 고대 로마의 포럼forum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의 경우 아크로폴리스가 신전이나 관청을 거점으로 한 종교와 정치의 중심지였다면, 아고라는 상품 및 화물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이자 시민들의 사교와 의사소통을 위한 무대였다. 고대 로마의 포럼은 자유인들의 공적 공간으로서, 밀실密室과 대비되었다. 특히 로마 제국은 유럽을 지배하면서 곳곳에 군단 캠프를 설치했는데, 이때 로마로 오가는 길에 교차로를 만들어 포럼을 조성했다. ...(중략)... 전상인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사회학)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아파트에 미치다: 현대 한국의 주거사회학』(2009), 『옥상의 공간사회학』(공저, 2012), 『편의점 사회학』(2014), 『공간으로 세상 읽기: 집·터·길의 인문사회학』(2017) 등이 있다. * 환경과조경 347호(2017년 3월호) 수록본 일부
  • [광장의 재발견] 광장, 군중, 이벤트
    벌써 수년째 교육 현장에서 도시설계와 조경 전공 학생을 가르치고 있지만, 여전히 인접 분야의 생소한 학문을 접하게 되면 곤혹스럽다. 최근 만난 ‘군중관리학crowd management science’이나 ‘이벤트학event studies’도 그랬다. 여기서 생소함은 해당 분야에 대한 무지와 낯섦 때문이지만, 뒤따라오는 곤혹감의 원인은 좀 더 복잡하다. 군중과 공간 속 이벤트의 속성을 이해할 때 좋은 디자인이 시작될 수 있다는 점을 다시 떠올리며 갖게 되는 교육자로서의 죄책감과 황망함이랄까. 최근 전 세계 도시의 광장에서 군중의 경험과 대규모 이벤트를 관리하는 일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 우리 가까이에서는 수십만의 집회 참가자가 광화문광장에 주말마다 모이고 있다. “지도부 없는 시민 항쟁”이자 “광화문 세대의 탄생”을 촉발했다고 일컬어지는 이 집회는 광장이라는 도시 공간을 재발견할 소중한 기회를 마련해주었다. 대의민주주의와 이미지 정치의 틀 속에 함몰되지 않고, 불합리한 문제에 의문을 제기하고 평화로운 저항을 할 수 있는 장소로 시민들이 직접 광화문광장을 선택한 것이다. 수천 개의 단체와 복수의 주최측이 느슨하게 연합하여 이벤트가 일어나므로 아직 효과적인 군중 관리랄 것은 없다. 하지만 적어도 얼마나 많은 사람이 모였는지 파악하기 위해 스마트폰 무선 신호 수집부터 입자물리 소프트웨어를 응용한 촛불 세기 프로그램까지 등장하고 있다. 앞으로 이해관계가 다른 집단의 충돌 가능성이나 건강한 시민 의식에 바탕을 둔 도시 축제로의 승화까지 고려한다면, 군중관리학에 기반을 둔 정교한 광장 디자인과 이벤트 계획은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다. ...(중략)... 김세훈은 1978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한 후 하버드 대학교 GSD에서 도시계획학 석사와 박사 학위(DDes)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설계 이론을 가르치고 스튜디오 수업을 하고 있다. 저서로 『신흥도시 개발 모델』, 『도시형태변화분석방법론노트』, 『도시와 물길(A City and Its Stream)』 등이 있으며, 한국, 중국, 동남아시아의 도시 연구와 설계를 함께 진행하고 있다. * 환경과조경 347호(2017년 3월호) 수록본 일부
  • [광장의 재발견] ‘광장의 재발견’에 단 편집자 주
    이번 특집은 결이 다른 두 가지 섹션으로 구분된다. 특집의 후반부에 수록된 이 글과 ‘편집부가 추천하는 광장 10선’은 광장에 대한 이해를 돕는 참고 문헌과 구체적인 사례에 집중했다. 본지가 공동 주최하는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의 올해 주제가 이번 특집과 이름이 같은 ‘광장의 재발견’임을 염두에 둔 기획이다. 참고 문헌에서 특정 문장을 골라내면서 객관성을 담보하려는 시도는 구태여 하지 않았다. 어차피 광장에 대한 기대와 요구는 저마다 다를 수밖에 없으니까. 대신 최대한 많은 수의 열쇳말을 끄집어내기 위해 책장을 펼치고 또 펼쳤다. 이 글의 뼈대이자 전부인 참고 문헌들은 다음과 같다. 본문에서는 지은이와 글의 제목만을 표기했다. • 김백영, “4·19와 5·16의 공간사회학: 1950~60년대 서울의 도시공간과 광장정치”, 『서강인문논총』 38,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 김백영, “식민권력과 광장 공간”, 『사회와 역사』 제90집, 한국사회사학회, 2011. • 김연금, “광화문광장의 북한산, 도시 풍경 공식의 상수 ‘산’”, 『우연한 풍경은 없다』, 나무도시, 2011. • 김영민, “맥락 무시하기”, 『스튜디오 201, 다르게 디자인하기』, 도서출판 한숲, 2016. • 김영민, “저항하기”, 『스튜디오 201, 다르게 디자인하기』, 도서출판 한숲, 2016. • 김진애, “‘광장’이 된 ‘거리’ - 광화문 네거리와 시청 앞 광장”, 『우리도시 예찬』, 안그라픽스, 2003. • 박명권, “조경 설계를 바라보는 네 가지 시선”, 『조경관』, 나무도시, 2013. • 배정한, “경관의 재발견”, 『현대 조경설계의 이론과 쟁점』, 도서출판 조경, 2004. • 배정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건축·도시·조경의 하이브리드”, 『현대 조경설계의 이론과 쟁점』, 도서출판 조경, 2004. • 서현, “도시가 목격한 빨강”, 『빨간 도시 - 건축으로 목격한 대한민국』, 효형출판, 2014. • 안명준, “소란한 오해, ‘조경의 시대’ - 광화문광장 아이디어 현상공모 + 설계·시공 일괄입찰”, 『봄, 디자인 경쟁시대의 조경』, 도서출판 조경, 2008. • 안진희·배정한, “광장에 대한 공론의 생성과 공간적 반영 - 여의도공원, 서울광 장, 광화문광장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7(6), 2016. • 양상현, “길에서 광장까지, 도시를 걷다”, 『거꾸로 읽는 도시, 뒤집어 보는 건축』, 동녘, 2005. • 이경훈, “광장, 공화를 실현하는 도시의 건축”, 『못된 건축』, 푸른숲, 2014. • 이경훈, “광화문‘광장’은 왜 어색할까?”, 『서울은 도시가 아니다』, 푸른숲, 2011. • 이유주현, “공원과 광장을 둘러싼 공간 정치”, 『공원을 읽다』, 나무도시, 2010. • 이유주현, “녹색 공원은 평등한가”, 『봄, 조경 사회 디자인』, 도서출판 조경, 2006. • 이일훈, “새로운 지형을 꿈꾸는 단서, 그 간절함에 대하여”, 『나는 다르게 생각한다』, 사문난적, 2011. • 이춘석, “EnergyScape: 도시에서 열 받을 일 없기를 바라며”, 『조경관』, 나무도시, 2013. • 임석재, “골목 속 놀이터를 살리자 - 광장”, 『건축, 우리의 자화상』, 인물과사상사, 2005. • 조한, “닫힌 광장에 서서 열린 광장을 꿈꾸다 - 광화문광장”, 『서울, 공간의 기억 기억의 공간』, 돌베개, 2013. • 진양교, “광장과 가로”, 『건축의 바깥 - 조경이 만드는 외부공간 이야기』, 도서출판 조경, 2013. • 홍형순, “모든 길은 광장으로 통한다”, 『텍스트로 만나는 조경』, 도서출판 조경, 2007. • 황두진, “2002년 6월, 그리고 다시 읽는 최인훈의 ‘광장’”, 『건축』 46(12), 대한건축 학회, 2002....(중략)... * 환경과조경 347호(2017년 3월호) 수록본 일부
  • [광장의 재발견] 편집부가 추천하는 광장 10선
    편집부는 ‘광장의 재발견’을 고민하는 독자들을 위해 열 개의 광장을 소개한다. 선정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편집실의 광장과 다름없는 긴 회의 테이블 위에 지난 10년간, 즉 2007년부터 2016년까지 『환경과조경』에 수록된 완공된 광장 작품의 소개 지면을 늘어놓고, 편집장부터 인턴 기자까지 모두 모여 모두들 열 개의 광장을 뽑아보았다. 각자의 후보 추천 이유를 발표하며 열띤 토론을 벌이길 몇 차례, 그리고 투표와 재투표, 패자부활전을 거쳐 최종적으로 열 개의 광장을 선정했다. 광장의 선택 이유는 디자인이 아름다워서이기도 했고, 사진으로 보았을 때는 느낄 수 없었지만 직접 방문해 보니 잘 사용되고 있더라도 있었으며, 가보진 못했지만 SNS를 통해 이용자의 반응을 확인해보니 다양한 이벤트가 벌어지며 주민들의 일상에 녹아 있더라 등 다양했다. 세계의 광장은 영어의 플라자plaza를 비롯해 영국의 스퀘어square, 프랑스의 플라스place, 네덜란드의 플레인plein, 이탈리아의 피아차piazza, 독일의 플라츠platz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각기 불리는 이름은 달라도 우리에게 ‘광장廣場’으로 번역되는 이 공공 공간은 공통된 경향을 보여주기도 한다. ‘잡지에 수록된’이란 제한된 조건 안에서 살펴 본 광장들이지만, 최근 리노베이션 된 광장들은 대체로 보행광장으로 변모하고 있어 자동차의 흐름보다는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의 흐름을 중시하는 도시계획과 설계의 추세를 읽을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광장이 기본적으로 기후 조절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도심에 남은 오픈스페이스가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물리적 기반 시설로서 광장의 역할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다. 어떤 광장은 공원을 포함하기도 하고, 공원 속에 광장이 존재하기도 하면서 광장과 공원, 혹은 정원의 경계를 넘나든다. 광장을 둘러싼 도시와 건축의 역사, 원형적 지형을 재해석한 여러 사례는 다채로운 광장 디자인의 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추천작 가운데는, 광장의 디자인을 두고 시민과 전문가 사이의 논란이 사회 문제화 되어 수차례 디자인이 변경된 사례도 있다. 이러한 소위 문제적 광장들은 사회적 공간으로서 광장 디자인이 어떠해야 하는지 고민을 던져주기도 한다. 여기서 소개하는 광장의 특징을 하나로 특정하기 어려웠다. 그만큼 하나의 광장이 가진 면모와 기능이 다양하다. 선정 이유는 지극히 주관적이지만 이 역시 도시와 역사의 맥락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담을 수 있는 광장에 대한 여러 시선이 존재함을 방증하는 것이다. 광장의 수록 순서는 공평하게 가나다순이다. * 환경과조경 347호(2017년 3월호) 수록본 일부
  • [광장의 재발견] SNS 속 광장
    디자이너의 설계 전략은 여전히 유효할까? 디자이너들은 자신의 디자인을 통해 광장이 일상과 비일상을 아우르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담아내는 ‘지역의 활력소’로 거듭날 것이라 자신한다. 『환경과조경』이 소개한 세계 곳곳의 광장은 디자이너의 야심대로 시민들에게 이용되고 있을까? 인스타그램Instagram과 트위터Twitter 등 SNS와 구글Google을 통해 이용자 반응을 살폈다. 라드하위스플레인 동물원, 극장 등 매력적인 건물에 둘러싸여 있어 어쩌면 건물의 진입부 정도로 쓰이지 않을까 의심도 했지만 시민들은 이 광장에서 꽤나 만족스러운 일상을 보내고 있는 듯하다. 남녀노소할 것 없이 수공간에서 발을 적시는 사진이 많다. 스케이트 파크에서의 역동적인 장면이나 독특한 조명이 도드라지는 밤 풍경도 많다. 가끔 개최되는 페스티벌, 퍼블릭마켓의 현장감이 생생히 느껴지는 사진에서는 광장이 사회적 기능 또한 톡톡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의 여가 생활에 중요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한 광장. 오죽하면 구글 트렌드 라드하위스플레인 관련 검색어에 ‘일요일’이 있을까. ...(중략)... * 환경과조경 347호(2017년 3월호) 수록본 일부
  • 클리블랜드 광장 Cleveland Public Square
    대상지는 클리블랜드Cleveland 시의 유서 깊은 중심지에 위치한 오픈스페이스다. 광장은 역사적 건축물인 올드 스톤 교회Old Stone Church, 저축 조합 협회Association Society for Savings building와 높이가 235m에 달하는 터미널 타워Terminal Tower를 비롯해 일련의 건물로 둘러싸여 있다. 또한 세계대전에 참전한 군인을 기리는 기념탑과 부차적인 기념물, 동상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탁월한 입지의 대규모 오픈스페이스인 만큼 광장은 오하이오의 주요한 시민 공간이 되어야 했다. 클리블랜드 광장의 최우선 과제는 활용성과 사회성을 향상시켜 광장을 클리블랜드 시의 다운타운, 이스트사이드, 웨스트사이드 등과 연결하는 것이었다. ...(중략)... * 환경과조경 347호(2017년 3월호) 수록본 일부 Project Lead, Landscape Architecture, Urban Design, Master Planning JCFO(James Corner Field Operations) Civil, Structural, MEP Engineering OSBORN engineering Architecture nArchitects Water Feature Consultant Fluidity Design Consultants Irrigation Consultants FRS Design Group Soil Consultant Sustainable Environmental Consultants Traffic Engineering Nelson / Nygaard General Contractor Donley's Construction Client Group Plan Commission and LANDStudio Location Cleveland, Ohio, USA Size 6ac Year 2009 ~ 2016 Completion 2016. 5. Photographs Bob Perkoski, James Corner Field Operations, Multivista for Donley's Construction, Roger Mastroianni, Sahar Coston Hardy JCFO(James Corner Field Operations)는 뉴욕에 기반을 둔 도시설계와 조경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디자인 오피스다. 대규모 도시설계 프로젝트나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사이트부터 작지만 섬세한 디테일을 요구하는 디자인까지 다양한 규모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작품으로 뉴욕 시의 하이라인과 프레시 킬스, 라스베이거스의 시티 센터, 중국 칭하이 지역의 도시설계 마스터플랜, 시애틀 워터프런트의 마스터플랜, 필라델피아의 레이스 스트리트 피어, 산타 모니카의 통바 파크, 런던의 퀸 엘리자베스 올림픽 파크, 홍콩의 침사추이 워터프런트 등이 있다. 모든 설계 실천에 있어서 사람과 자연의 생태를 연구하고, 생기 넘치고 역동적인 공공 영역 디자인을 구현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 JCFO / JCFO
  • 슈체친 국립박물관 다이얼로그 센터 프셰로미 National Museum in Szczecin – Dialogue Centre Przełomy
    슈체친Szczecin시는 폴란드에서 자행된 역사적 폭력의 희생양 중 하나다. 이 도시는 1945년까지 독일에 속해 있었지만 하루아침에 폴란드에 편입됐다. 급작스러운 인구 이동이 일어나며 사회 구조가 파괴됐고 도시 정체성도 타격을 받았다. 전쟁 이전 솔리다르노시치Solidarności광장은 공 동 주택지에 위치한 슈체친의 자유 발언대였으며, 광장 북쪽은 콘제르트하우스Konzerthaus에 둘러싸여 있었다. 하지만 연합군의 폭격으로 광장과 인근 지역이 완전히 파괴되었고, 그 위를 횡단하는 차로가 생기며 도시에서 완전히 잘려나가게 되었다. 이후 이곳은 1970년대 노동자 시위의 무대가 되었다. 시위는 무자비하게 진압되었으며, 16명의 시위자가 사살되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광장은 자유를 향한 투쟁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중략)... * 환경과조경 347호(2017년 3월호) 수록본 일부 Design KWK Promes Collaboration Aleksandra Stolecka, Piotr Tokarski, Adam Radzimski, Joanna Biedna, Magdalena Adamczak General Contractor Skanska Investor National Museum in Szczecin Location Szczecin, Poland Size Site: 9,577m2 Gross Covered Area: 1,628m2 Usable Floor Area: 2,117m2 Exhibition Surface: 960m2 Volume: 15,845m3 Competition 2009 Project 2010 ~ 2011 Construction 2012. 1. ~ 2016. 2. Photographs Aneta Pop³awska-Suoe, Daniel ródlewski, Jakub Certowicz, Jaroslaw Syrek, Juliusz Sokolowski, KWK Promes, Magdalena Kotelon, Piotr Rakowski KWK 프로메스(KWK Promes)는 1999년 로베르트 코니에치니(Robert Konieczny)가 설립한 건축설계사무소다. 아트리얼 하우스, 코모다 하우스, 브로큰 하우스, 세이프 하우스, 히든 하우스 등 코니에치니의 작품은 미스 반 데어 로에 재단에서 선정하는 유럽 건축상에 열 번이나 후보로 오른 바 있다. 그중 아트리얼 하우스는 2006년 월드 아키텍처 뉴스(World Architecture News)가 조직한 공모전에서 베스트 주택 프로젝트 부문의 수상작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2007년 KWK 프로메스는 『월페이퍼(Wallpaper)』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건축설계사무소 101곳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으며, 2008년에는 시카고의 뮤지엄 건축 국제 심사위원단이 아트리얼 하우스와 히든 하우스를 세계 베스트 주택으로 지정했다. 이외에도 대표작으로, 오토 패밀리 하우스, 카토비체의 리빙가든 하우스, 코니에치니의 방주 등이 있다.
    • KWK Promes / KWK Pr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