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에버스케이프 어워드 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시정원을 그리다
    지난해 11월 30일 ‘에버스케이프 어워드 2018’의 심사 결과가 발표됐다. 삼성물산 리조트부문 조경사업팀이 주최하는 이번 공모전의 주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시정원’이었다. 도시 속 자투리 공간, 광장과 소공원, 상업 및 업무 시설의 외부 공간 등을 혁신적 매체와 첨단 테크놀로지를 적용해 디자인하고, 이를 통해 대상지의 사회적·환경적 의미, 경제적 생산성 등을 확장시킬 수 있는 실험적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이 공모의 주요 과제였다. 2018년 9월 14일까지 국내외 145개 팀이 참가 신청을 했고, 이 중 92개 팀이 최종 작품을 제출했다. 10월 16일 1차 심사를 거쳐 20개 팀이 2차 심사 대상으로 선정됐으며, 이후 11월 23일 진행된 프레젠테이션 심사를 통해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후보가 가려졌다. 11월 30일 시상식에서 대상 1점, 최우수상 1점, 우수상 4점, 입선 14점 총 20개의 수상작이 발표됐다. 심사에는 배정한 교수(서울대학교), 유승종 대표(라이브스케이프), 김진수 팀장(삼성전자 디자인경영센터 차세대디자인팀), 전재현 그룹장(삼성물산 리조트부문 조경사업팀 디자인그룹)이 참여했다. 대상(상금 1,000만원)은 고영준(홍익대학교)·이장희(연세대학교)의 ‘테헤란-루프 2048(Teheran-Roof 2048)’에게 돌아갔다. 대상작은 드론이 보편화될 2048년의 도시 경관에 대응할 수 있는 혁신적 외부 공간을 제시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새로운 도시 라이프스타일에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치밀한 리서치와 디자인 해법을 통해 탐구한 작품이며, 3차원 돔이좀(dom-i-zome)시스템을 구상한 점 또한 독창적이라는 평이다. 최우수상(상금 500만원)은 이상아·김명천(서울대학교)의 ‘샐러드 컨테이너(Salad Container)’가 차지했다. 경의선 광장의 공유지에 도시 농업 시스템 기반의 도시 재생 해법을 제시한 이 작품은 스마트 컨테이너 구조 및 시스템의 개발, 블록체인 에코 시스템, 퍼스널 푸드 컴퓨터 등의 테크놀로지를 제시한 점이 특징이며, 디자인의 완성도도 매우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총 네 팀에게 수여되는 우수상(상금 각 300만원)에는 신경철·강현규·임익현(계명대학교)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이동식 버스정원’, 김동훈·최은수(고려대학교)의 ‘버추얼 모델링 디스플레이 스페이스(Virtual Modeling Display Space)’, 노승욱·정윤섭·마지석(연세대학교)의 ‘언더 더 브리지, 오버 더 리버(Under The Bridge, Over The River)’, 정예시·윤용환(가천대학교)의 ‘트랜스폼어(Transform-er)’가 선정됐다. ...(중략)... * 환경과조경 369호(2019년 1월호) 수록본 일부
  • [편집자의 서재] 그 섬에 내가 있었네
    몇 년 전 혼자 떠나는 제주 여행을 앞두고 있을 당시 나는 ‘제주스러운’ 경관에 목말라 있었다. 이번만큼은 제대로 된 제주의 자연을 보고 오겠다며, 마우스 스크롤을 바득바득 내리면서 수많은 여행자들의 블로그를 기웃거리고 있을 때, 지인이 사진가 김영갑의 갤러리 ‘두모악’을 추천했다. 걸핏하면 제주도로 훌쩍 떠나곤 했던 그는 꼭 가 봐야 하는 곳이라며 나를 부추겼다. 사진에는 큰 감흥을 느끼지 못하는 체질이고, ‘제주도까지 가서 사진이나 보고 올 필요가 있나’ 하는 생각에 미적거렸지만, 계획한 목적지가 외진 숲, 오름 같은 것들뿐이어서 한번쯤은 쉬어 가자는 마음으로 두모악에 들렀다. 폐교를 개조한 작은 갤러리에서,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제주의 풍경을 만날 수 있었다. 뭍의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섬에 대한 동경을 가지고 있기 마련이라지만, 김영갑은 동경하다 못해 그 풍경에 홀려 육지를 떠나 섬 토박이들 틈에서 살았다. 『그 섬에 내가 있었네』는 그가 루게릭병으로 죽기 전 남긴 마지막 책으로, 사진 뒤켠에 오래된 필름처럼 쌓여 있는 그의 이야기를 들어 볼 수 있다. 김영갑의 사진은 시시각각 변하는 제주도의 자연을 고스란히 담는다. 찰나의 아름다움을 결정하는 빛, 바람, 색, 온도, 습기가 형형한 사진은 한 장 한 장 오랜 기다림으로 만들어졌다. 김영갑은 한 장소가 가장 빛나는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하루 반나절, 며칠씩 기다리기도 하고 같은 곳을 몇 번이고 갔다. “내가 사진에 붙잡아두려는 것은 우리 눈에 보이는 있는 그대로의 풍경이 아니다. 시시각각 변하는 들판의 빛과 바람, 구름, 비, 안개다. 셔터를 누르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강렬한 그 순간을 위해 같은 장소를 헤아릴 수 없이 찾아가고 또 기다렸다. 누구나 볼 수 있는 그런 풍경이 아니라 대자연이 조화를 부려 내 눈앞에 삽시간에 펼쳐지는 풍경이 완성될 때까지 기다림의 연속이다. 그 한순간을 위해 보고 느끼고, 찾고 깨닫고, 기다리기를 수없이 되풀이했다.”2 긴 기다림이 담겨 있는 탓인지 그의 사진앞에서는 자꾸만 오래 머무르게 된다. 김영갑은 6:17 비율의 파노라마 프레임을 고수했다. 중앙에는 지(수)평선, 위는 하늘, 밑은 초원(바다)인 그의 사진은 제주를 닮아 낮고 평평하다. 두모악을 다녀온 다음날, 버스 정류장을 찾아 걸으며 작은 오름 앞을 지나갈 때였다. 야트막한 오름 앞으로 온 천지 연보라색 갯무꽃이 쏟아져 있었고, 때마침 바람도 적당히 불었다. 넓게 펼쳐진 그 초원을 보며 내 시야의 폭이 한 뼘만이라도 더 넓었으면 했다. 지평선을 따라 길에 늘어진 풍경을 보며 김영갑이 왜 파노라마를 고집했는지 수긍하고, 이곳이 오래 남아 있기를 바랐다. 그의 사진은 그리운 감정을 몰고 온다. 사진 속 순간 이 너무 아름다워서, 어떤 곳은 사라져 더 이상 볼 수 없어서다. 그의 작품이 한 장의 사진 그 이상인 것은 제주의 오랜 경관을 그리워하게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이번 ‘제주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 경관설계 국제공모’ 수상작을 정리하면서 개발과 보존 사이에서 제주도의 경관은 어떻게 다뤄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떠올렸다. 있는 그대로가 가장 좋지만 이미 훼손된 주상절리대 일대에 필요한 것은, 프레임 속 풍경을 그리워하게 만드는 한 장의 사진처럼, 주상절리대 본연의 경관을 그리워하게 만드는 어떤 세심한 장치일지도 모른다. 낮은 자세로 주상절리대의 근원적 풍경으로 안내한다는 당선작의 내용을 떠올리며 이들이 앞으로 어떤 프레임을 제시할지, 그 속에 담긴 경관은 어떤 모습일지 궁금해졌다. 그렇다면 그때의 내 몫은 풍경 속 순간의 아름다움을 기다릴 줄 아는 인내일지도. 각주 정리 1. 김영갑, 『그 섬에 내가 있었네』, 휴먼앤북스, 2013. 2. 위의 책, pp.180~181.
  • [CODA] 함께 만드는 잡지
    한 해가 끝나갈 무렵이면 스팸 메일이 반가워진다. 실용성 따위 필요 없고 예쁜 게 최고라며 눈을 홀리는 다이어리 광고 때문이다. 즐거운 고민 끝에 선택한 다이어리는 암녹색 커버에 노트를 묶어 쓰는 형태, 받자마자 첫 일정을 기록했다. 1월 1일을 훌쩍 뛰어넘어, 1월의 마지막 날에서 시작된 화살표가 다음 장 2월 5일까지 길게 이어진다. 선 위에 목적지를 또박또박 적어 넣었다. 오사카, 오랜만의 해외여행이다. 일정을 꾸린다는 명목으로, 몇 달간 내 일과는 유튜브에서 오사카 여행 브이로그를 찾아보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교통 패스를 저렴하게 사는 방법이나 꼭 방문해야 하는 스팟을 확인하려던 것인데, 남의 일상을 구경하는 일이 어찌나 재밌는지 밤 늦은 줄 모르고 유튜브 추천 동영상 리스트를 헤매고 다녔다. 한참 전으로 돌아가면 ‘god의 육아일기’, 최근의 ‘전지적 참견 시점’, ‘나 혼자 산다’에 이르기까지, 허구가 아닌 실제 일상을 훔쳐보는 관찰형 예능은 수차례의 진화를 거듭해 각 방송사의 대표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 몇 년째 계속되는 인기 요인은 대리만족, 공감대 형성, 일종의 사회적 관음증 충족, 자신과의 동일시를 통한 위로 얻기 등 다양하게 분석되지만, 그 기저에는 다른 사람의 삶에 대한 궁금증이 자리 잡고 있다. 옆집 숟가락 개수를 아느니 마느니 하는 말까지 있듯, 우리는 참 남의 삶에 관심이 많다. ‘이달의 질문’은 이처럼 다른 조경인은 어떻게 사는지 궁금한 독자의 호기심을 해소하고자 기획된 코너다. 소소한 질문과 각양각색의 답변을 통해 독자의 일상을 엿보고 공유하고자 한다. 답변을 통해 싹튼 서로에 대한 관심이 또 다른 논의를 불러일으키고, 간결하지만 깊이 있는 질문이 이 지면을 작은 토론의 장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품고 있다. 모든 답변에는 소속과 이름이 함께 기재되니, 얼굴도 모르는 사람과 공감하거나 대화를 나누는 즐거움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독자가 누군가에게 던지고 싶은 질문을 편집부가 대신해서 묻는 지면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모색 중이니, ‘이달의 질문’이 편집부와 독자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동시에 독자 간의 소통을 도모하는 꼭지로 자리 잡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종이 매체와 대중이 멀어지며 독자와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은 선택 사항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이 되어가고 있다. 지난해 7월 『한겨레21』은 한동안 중단된 독자편집위원 활동을 재정비하며 독편3.0(독자편집위원회3.0)을 구성했다. 독편1.0, 독편2.0이 이따금 기사를 리뷰하는 소극적 독자였다면, 독편3.0은 콘텐츠 제작 과정에도 참여하는 적극적 독자다. 카카오톡 채팅방에서 72명의 독편이 편집부와 함께 지난 호를 리뷰하고, 기삿거리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는 이야기를 읽으니 묘한 질투심이 고개를 든다. 독자와 함께 만드는 콘텐츠라니, 한 달에 많아야 열댓 편 도착하던 오피니언『( 환경과조경』 리뷰 글)을 생각하니 부러움을 감출 수 없다. 한겨레는 독편 시스템을 단순한 구색 맞추기가 아닌 독자 참여 저널리즘을 실험하는 과정이라 설명한다.1‘이달의 질문’도 리뉴얼과 더불어 하나의 실험을 시도한다. 독자와 함께, 이왕이면 재미있는 방식으로 잡지 만들기. 한두 쪽에 불과하지만 이곳에 실린 답변이 때로는 특집 아이템이 되고, 편집부를 깊은 고민에 빠뜨리기도 하고, 새로운 필자의 출연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는다. 바로바로 대화를 이어나갈수 있는 인터넷 대신 왜 종이 위에서 이야기를 나누는지 의문이라면, 『환경과조경』에 입사해 내 이름 세 글자가 찍혀 나온 잡지를 받아들었을 때의 설렘이 아직 생생하기 때문이라고 답하고 싶다. 크진 않더라도 라디오 DJ가 내가 보낸 사연을 읽어줬을 때 정도의 기쁨은 느낄 수 있기를! 이런저런 상상으로 들뜬 마음과는 별개로 벌써 다음 달 질문을 무엇으로 해야 할지 걱정이 한가득이다. 각주 1. 류이근, “독편3.0”, 『한겨레21』 2018년 9월 13일.
  • [PRODUCT] 터치 센서를 갖춘 스마트 놀이 시설 ‘메모’ 오감을 자극하는 대화형 야외 놀이 기구
    어린이 놀이 기구, 야외 운동 기구, 공공 시설물 제작에 앞장서 온 에넥스트ENEXT가 이용자의 감각을 극대화하는 ‘대화형interactive야외 놀이 기구’ 시리즈를 선보인다. 대화형 야외 놀이 기구는 디지털 기술과 놀이 시설을 접목한 제품으로, 시각, 청각, 촉각 등 오감을 자극해 다채로운 활동을 유도한다. 이를 통해 일반 놀이 기구를 이용할 때보다 이용자의 활동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대화형 야외 놀이 기구 시리즈의 ‘메모MEMO’는 터치 센서가 내장된 포스트post시설물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놀이 시설이다. 아이들은 포스트를 터치하면서 다양한 게임을 즐기고, 운동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포스트에 내장된 게임은 아이들의 흥미를 자극할 뿐만 아니라 교육적이다. 알파벳 순서대로 빨리 터치하기, 수학 연산 문제 풀기, 팀을 짜서 포스트의 색깔 바꾸기, 기억력 게임 등 네 가지 게임이 기본으로 제공되며, 향후 개발되는 다른 게임을 추가할 수 있다. 메모 외에도 카메라와 센서가 사용자의 활동량을 체크하는 동작 기반 놀이 기구(소나), 공을 차서 맞추면 반응하는 패널이 설치된 축구 놀이 시설(수투), 휴대폰의 음악을 친구들에게 공유할 수 있는 믹싱 테이블(포노)도 출시됐다. 대화형 야외 놀이 기구는 공원, 놀이터,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등 다양한 외부 공간에 설치되어 보다 즐거운 야외 활동을 누리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EL. 1544-9611 WEB. www.e-next.co.kr
    • 에넥스트
  • [에디토리얼] 2018년의 『환경과조경』
    잡지의 시계는 한 달 빨리 흐른다. 12월호를 만드는 11월이 되면 한 해를 되돌아보는 차분함과 새해를 맞이하는 설렘이 묘한 흥분감을 발산하며 동거한다. 편집실 창밖의 차디찬 겨울 풍경을 배경으로 과월호 열한 권을 쌓아두고 혼자만의 기념사진을 찍었다. 다시 펼쳐보는 잡지 곳곳에서 지난 계절과 시간의 이야기가 다시 고개를 든다. 그러고 보니 이제 리뉴얼 5년이고, 어쩌다 보니 60번째 에디토리얼이다. 2018년 1월호는 신생 오피스임에도 저력 있는 작업을 발표해 오고 있는 HLD(소장 이호영·이해인)의 근작 ‘기아 비트 360 가든’과 ‘인 더 포레스트’로 문을 열었다. 함께 실은 허대영 소장(조경설계 힘)의 비평은 HLD의 “풍부한 형태 재현의 가능성, 독창적 개념의 도입, 설계/시공 자체의 내러티브 축적, 클라이언트-설계/감리자-시공자를 매개하는 폭넓은 타협의 기술”에 주목하며 “조경 설계의 최전선에 서 있는” 그들의 역할을 조명했다. 2월호 특집 ‘옥상다반사’는 도시의 낭만을 느끼고 자연을 만나는 ‘힙’한 장소로 주목받고 있는 옥상을 탐사했다. 도시의 삶을 직조하는 물리적 토대로서의 옥상, 그리고 옥상을 무대로 펼쳐지는 생활의 풍경에 주목하고 그 가능성을 살펴본 특집 원고 뒤에는 최근의 다양한 옥상 프로젝트를 함께 실었다. 한 권의 잡지를 한 권의 단행본 책처럼 편집하고자 하는 장기 계획을 실험해 본 셈이다. 이 특집에는 명조 계열의 큰 활자를 썼는데, 5년 전 리뉴얼 이후 처음 변화를 시도한 편집 디자인이었다. 스웨덴을 대표하는 조경가이자 유럽 조경계의 지성으로 이름난 토르비에른 안데르손(Thorbjorn Andersson)의 근작 세 점과 에세이가 3월호의 중심 역할을 했다. 북유럽 디자인 특유의 검박하고 섬세한 디테일, 단순과 절제의 미학, 실용적 기능성을 도시 공간에 구현하는 방식을 만날 수 있었다. 혁신적 그린 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도시의 실내외 경관을 바꾸고 있는 아모리 갈롱(Amaury Gallon)의 작품들도 같은 호에 소개되었는데, 이 게재가 인연이 되어 그는 10월에 열린 서울정원박람회에서 설치 작업을 선보이게 되었다. 4월호는 전권에 걸쳐 지면을 호주의 조경설계사무소 TCL(Taylor Cullity Lethlean)의 작업, 에세이, 인터뷰에 할애했다. 독일의 토포텍1(Topotek1)(2015년 2월호),프랑스의 아장스 테르(Agence Ter)(2016년 11월호)이후 세 번째 조경가/설계사무소 특집이었다. 대규모 정원과 수목원부터, 습지, 도시 광장, 부두와 항만, 탈산업 경관, 워터프런트, 공항에 이르는 TCL의 다양한 설계 작업에서 조경, 건축, 도시설계를 가로지르는 다층의 지혜와 다각의 디자인 문법을 목격할 수 있었고, 많은 독자의 피드백이 뒤따랐다. 어느 조경가는 “너무 질투심이 나서 책장을 끝까지 넘길 수 없었다”는 후문을 전하기도 했다. 5월호 특집 ‘따로 또 같이, 느슨한 연대를 실천하다’는 가장 의미 있는 후속 담론을 생산한 ‘올해의 기획’이었다고 편집부는 자평하고 있다. 기존의 회사나 기성의 학/협회와 결을 달리하고 지연이나 학연에 바탕을 둔 집단주의를 경계하며 ‘뭉쳐야 산다’는 구호를 불편해하면서 ‘따로 또 같이’ 연대하는 형태를 모색하는 대안 그룹들을 초대한 이 특집에, 꽃길사이, 빅바이스몰, 얼라이브어스, 자연감각, 정원사친구들, 조경이상, 팀 동산바치, 하루·순이 동승해 주었다. 5월호를 끝으로 김정은 편집팀장이 『SPACE』의 편집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따로 또 같이’는 2013년 10월호(306호)부터 2018년 5월호(361호)까지 총 56권의 잡지를 만들며 『환경과조경』의 혁신을 이끌고 문화적 지평을 넓혀 온 그의 마지막 작품인 셈이다. 6월호부터 김정은 편집팀장의 역할을 김모아 기자가 맡게 되었고, 윤정훈 기자가 편집부에 새로 승선했다. 김 기자는 첫 코다CODA “이사 왔습니다”를 통해 “이제 보고, 먹고, 듣는 모든 것에서 글감을 찾아야” 한다며 각오를 다졌다. 7월호에는 오랫동안 결과를 기다려 온 ‘리질리언트 바이 디자인(Resilient by Design)’ 공모전의 결과를 담았다. 4년 전의 ‘리빌드 바이 디자인’과 올해의 ‘리질리언트 바이 디자인’을 거치며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이제 생태학 연구의 주제를 넘어 동시대 조경이 정면으로 마주해야 할 본격적인 설계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새 공간으로 편집실을 옮긴 후의 첫 작업인 8월호에서는 올해 수많은 건축상과 조경상을 휩쓴 화제작 ‘아모레퍼시픽 본사 신사옥’을 심층적으로 다뤘다. 초고층 거대 건축의 욕망에 사로잡히지 않고 속이 텅 빈 건축을 지향한, 개방형 공유 공간을 존중한 소통과 연대의 건축 철학을 높이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5층, 11층, 17층에 과감하게 배치한 세개의 공중 정원은 이 건물의 백미다. 조경가 박승진의 단순하면서도 섬세하고 정갈하면서도 강한 디자인이 유감없이 발휘되어, 상상의 한계 그 이상으로 다가오는 서울의 도시 풍경을 맞이한다. 다채로운 행사로 분주했던 가을. 9월호, 10월호, 11월호에는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 ‘서펜타인 갤러리 파빌리온 2018’, ‘한강예술공원’ 프로젝트, ‘2018 서울정원박람회’, ‘제15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등이 적지 않은 지면에 배치됐다. 다소 분주해 보이는 이 지면들이 의미 있는 프로젝트들을 혹시 가리지는 않았는지 되돌아보게 된다. 올해 『환경과조경』 지면에서 다시 읽어볼 만한 작품 리스트를 작성한다면, 10월호의 ‘폴드 차일드후드’(Gilles Brusset 설계)와 ‘에르 강 재자연화’(Atelier Descombes Rampini 설계), 11월호의 ‘서림연가’(안마당더랩 설계)를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설계공모’가 공고되기 전에 광장 재조성의 부당함을 토론하는 기획을 완성하지 못한 점이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특집 기획의 생명은 타이밍이라는 교훈을 잊지 않기로 한다. 조경 문화 발전소 『환경과조경』을 매달 반겨주신 독자 여러분에게 깊이 감사드리며, 내년에도 도시·환경·문화 담론과 조경 설계를 가로지르는 건강한 소통의 장으로 여러분 곁에 다가갈 것을 약속드린다. 이렇게 2018년을 마감한다.
  • [칼럼] 조경계의 고르디아스 매듭
    소아시아의 고대 국가 프리기아(Phrygia)의 왕 고르디아스는 자신의 전차에 아주 복잡한 매듭을 묶어두고 그 매듭을 푸는 자가 훗날 아시아를 정복하게되리라는 예언을 했다. 많은 사람이 매듭을 풀기 위해 애썼지만 아무도 복잡하게 묶인 매듭을 풀지 못했다. 페르시아를 정복한 알렉산더 대왕이 이 소문을 듣고 달려왔다. 그는 칼을 꺼내 전차에 묶인 매듭을 단숨에 잘라 버렸다. 그렇게 매듭은 전차에서 풀리게 되었고, 고르디아스의 예언처럼 훗날 알렉산더는 동방을 정복했다. 난해하고 복잡한 일 앞에서 우리는 차근차근 하나씩 풀어나가는 정공법만을 고집하곤 한다. 그러나 풀리지 않는 매듭을 칼로 잘라 버린 알렉산더처럼 때로는 근본부터 뒤집는 발상의 전환이 문제 해결의 열쇠가 되기도 한다. 올 한 해도 조경계는 대내외적으로 많은 시련을 겪었다. 산림청은 나무의사 제도를 도입하면서 조경 업체들이 해 온 방제 사업에 제동을 걸었다. 정원 품셈 개발로 정원을 획일화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또 수목원, 정원, 도시림, 생활림 등을 설계·감리하는 산림기술용역업에 ‘녹지조경업’을 신설해 산림 분야가 조경에 진출하는 길을 열었다. 조경 기술자도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상호 간의 문을 여는 듯 했지만, ‘산림휴양업’ 등에서 조경이 산림 분야에 진입하는 데는 여전히 제약을 두어 “말로만 상생”을 이어간다는 비난을 받았다. 자연휴양림을 공원 시설로 추가하는 국토교통부의 ‘공원녹지법 시행규칙’ 개정안에 대한 논란도 컸다. 현행법에서 자연휴양림은 산림 사업으로 분류돼 산림사업법인만 조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 공원 조성은 엄연히 조경의 업역임에도 도시 공원 내에 조성되는 자연휴양림에 조경 업체가 참여할 수 없게 된다. 조경의 권익을 보호해야 할 책임이 있는 국토교통부 녹색도시과에 조경계가 불만을 가지는 이유다. 환경부도 도시생태 복원사업 대상지에 도시 공원과 녹지를 추가하는 ‘자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지만, 조경 업계는 전통적으로 조경 공사업의 영역인 도시 공원에 도시생태 복원사업이 진입하는 것에 반대하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환경부와 산림청이 각각 자연마당, 생태놀이터 등 도시생태 복원사업과 도시숲 및 정원 사업 대상지를 도시 공원으로 확대하는 전략으로 조경계에 타격을 주고 있다면, 건축 분야는 최근 서울시가 발주하는 외부 공간 설계에 건축가를 대거 투입시키면서 조경 설계 업체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서울로 7017’의 연계 사업인 이른바 ‘서울로 2단계 연결길 조성 사업’에 조경가가 아닌 공공 건축가 일색의 ‘골목건축가’ 방식을 도입하면서 조경 업계에 실망을 안겼다. 또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을 위한 국제 설계공모’에서는 당연히 조경 설계의 영역이라고 여겨졌던 광장 디자인에 도시, 건축, 도로, 교통 등의 분야에도 동일한 참가 자격을 부여했다. 뿐만아니라 일곱 명의 심사위원회에 단 두 명의 조경가만을 참여시켜 이번에도 역시 ‘그들’을 위한 잔치에 조경을 들러리 세우는 게 아닐까 하는 의구심이 들게 했다. 한국은 2018년 현재 전국의 54개 대학에 조경학과(유사 학과 포함)가 설치된 상태다. 우리보다 국토가 훨씬 넓은 미국과 중국과 비교할 때 대단히 많은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다. 외형적 수치만 본다면 굉장한 수준이지만 조경계 내부를 들여다보면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조경학과를 졸업하는 학생 대다수는 조경 분야로 진출하기를 주저하고 있다. 설계, 시공, 자재 할 것 없이 거의 모든 조경 업체가 불황을 겪고 있다. 조경 업계가 과거의 성장을 이어가고 새로운 비전을 가지려면 학회가 중심이 되어 교수들은 선구적인 연구 개발로 기틀을 다지고, 관련 단체들은 분야의 안정적인 미래를 위한 제도적틀을 마련해야 하며, 업계는 우수한 인재가 조경업을 계승할 수 있도록 후학들에게 기회의 문을 열어주어야 한다. 하지만 최근 우리 분야 안팎의 여러 난관에 대한 조경 단체들의 대응은 여전히 구심점을 찾지 못해 조경 분야 전체의 생태계가 심각한 침체에 빠질 위기에 처해 있다. 타성에 젖은 조경 업계가 현실에 안주하면서 자초한 측면이 크다. 하지만 더 근본적인 원인은 조경 분야의 목소리를 대변할 중앙 부처가 없다는 데 있다. 현재 조경 단체들의 소속 주관 부서를 보자. 우선 한국조경학회, 한국경관학회, 한국조경협회, 대한건설협회 조경위원회, 대한전문건설협회 조경식재·시설물설치공사업협의회, 그리고 새로 창립한 대한환경조경단체총연합은 국토교통부 소속이다. 한국전통조경학회와 한국정원디자인 학회는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이며, 환경부 소속으로는 환경조경발전재단과 한국생태복원협회가 있다. 놀이시설·조경자재협회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속이고, 한국조경수협회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인 산림청 소속이다. 매년 여러 조경 단체의 행사에 참석해 본 사람이라면 각기 다른 행사인데도 놀라울 정도로 매번 똑같은 사람들이 참석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조경은 확실히 보호해 줄 ‘아비’를 갖지 못하고 정부 부처 여기저기에서 서얼보다 못한 취급을 받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는 국토교통부가 그래도 ‘아비’라고 철석같이 믿으며 보살펴 달라고 애원하지만 돌아오는 건 언제나 쉰밥 몇알과 풀떼기가 고작이었다. 기존의 틀과 방식으로는 이제 위기를 극복할 가능성이 낮다. 고착된 사고의 틀과 고정 관념을 깨고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기존의 판을 바꾸는 일이다. 국토교통부의 일개 녹색도시과에서 천덕꾸러기 신세를 면치 못하는 조경을 넘어 산림청과 환경부, 그리고 여러 부처에 흩어져 있는 관련 사업을 모두 아우르고 나아가 통일 한국의 전 국토를 우리 손으로 푸르게 가꿀 수 있는 강력한 녹색 정부 부처가 필요하다. 이름을 생각해 보았다. 국토녹색처? 국토환경부는 어떤가. 산림청보다 한 단계 높은 장관급의 중앙부서. 아무리 열심히 발버둥 쳐도 넘지 못할 장벽에 갇힌 조경의 미래를 위해 이제는 우리 스스로가 새 판을 짜야 한다. 결코 쉬운 일은 아니라는 걸 모두가 너무나 잘 알지만 복잡한 일을 목전에 두고 지나치게 좌고우면하면 오히려 일을 그르치는 경우도 많다. 이른바 장고 끝에 악수를 두는 격이다. 너무 단순해서 당연히 접어 둔 방법이 복잡한 일을 가장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묘수가 될 수도 있다. 고르디아스의 매듭을 단숨에 잘라버린 알렉산더 대왕처럼 조경계도 이제 과감한 결단을 내릴 용기가 필요한 때다.
  • 달링 하버 Darling Harbour Public Realm
    호주 시드니 시 정부의 대규모 도시재생 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된 달링 하버 재개발(
    • HASSELL
  • 스타디움 파크와 셰브런 파크랜드 Stadium Park & Chevron Parkland
    2017년 말 서호주 퍼스의 버스우드(Burswood)에 옵투스 스타디움(Optus Stadium)이 들어섰다. 경기장 주변으로 마련된 41헥타르의 스타디움 파크(Stadium Park)는 세계적 수준의 스포츠·엔터테인먼트 시설에 걸맞은 매력적인 수변 환경뿐 아니라 퍼스 지역 사회와 방문객이 언제나 만끽할 수 있는 인상적인 여가 공간을 제공한다. ‘우리 사람들, 우리 땅, 우리 스포츠’를 보여줄 수 있는 사람 중심의 공간을 만드는 데 주안점을 두고, 대상지의 경관과 건축에 엄격한 디자인 전략과 태도로 접근했다. 원주민의 문화를 기리는 셰브런 파크랜드 스타디움 파크 서쪽의 셰브런 파크랜드(Chevron Parkland)는 2.6헥타르 규모의 자연·놀이 공간으로 퍼스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인데, 어린이와 그 가족이 자연 속에서 뛰놀 수 있을 뿐 아니라 호주 원주민의 커뮤니티인 ‘와주크 눙가르(Whadjuk Noongar)’의 토착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설계에 앞서 와주크 눙가르 대표자에게 스타디움 파크 전역에 걸쳐 그들의 문화를 어떤 방식으로 재현하면 좋을지 의견을 구했고, 그는 눙가르의 ‘여섯 계절’이 원주민과 이 지역이 이루는 균형과 조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주제라 답했다. 이를 바탕으로 하셀(HASSELL)과 와주크 위원회(Whadjuk Working Party)는 긴밀하게 협력해 경관과 해석적 요소를 통합한 디자인을 완성했다. ...(중략)... * 환경과조경 368호(2018년 12월호) 수록본 일부 Landscape ArchitectHASSELL Architect HASSELL COX HKS Builder/Contractor Multiplex Collaborators Architecture: Westadium Consortium(comprising HASSELL, COX & HKS) Indigenous Consultation Group: Whadjuk Working Party Consultants Landscape Contractor: Deep Green Landscaping Public Art Consultant: FORM Artists Tjyllyungoo Lance Chadd, Jade Dolman, Chris Drury, Flint Edwards, Sharyn Egan, Miranda Farmer, Kylie Graham, Norma McDonald, Barry McGuire, Laurel Nannup, Fiona Reidy, Kim Scott, Jonathan Tarry, Chris Nixon & Tom Lucey(with Ned Beckley, Sam Price and Steve Berrick) Client Westadium Location Burswood Peninsula, Perth, Australia Area 41ha(Stadium Park) / 2.6ha(Chevron Parkland) Completion2017 Photographs Peter Bennetts, Robert Frith 하셀(HASSELL)은 호주, 중국, 동남아시아와 영국에 사무실을 둔 국제적 설계사무소다. 좋은 설계는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며 사람들이 경험하는 공간의 의미, 연계성, 소속감과 관련이 깊다는 철학 아래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점점 더 복잡해지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건축가, 인테리어 디자이너, 조경가, 도시설계가 등 전문 컨설턴트로 구성된 통합적 설계팀을 꾸려 혁신적 디자인 문화를 만들어 나가려 노력하고 있다.
    • HASSELL
  • 흐비도우레 비치 파크 Hvidovre Beach Park
    매립지 인공 해변 코펜하겐 외곽의 작은 도시 흐비도우레(Hvidovre)의 해변은 쓰레기장을 매립하면서 만들어진 인공 해변이다. 자전거나 대중교통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가족 단위의 방문객이 점차 늘어나면서 지역의 인기 여행지로 손꼽히게 되었다. 하지만 해수의 흐름에 따라 해변가에 해초가 과도하게 쌓이는 문제가 일어났으며, 모래가 침식되면서 매립된 쓰레기가 노출되고 오염 물질이 바다로 유출되기 시작했다. 이에 흐비도우레 시 정부는 해변 환경을 개선하고 확장하는 ‘흐비도우레 비치 파크(Hvidovre Beach Park)’ 프로젝트를 계획했다. 이를 통해 흐비도우레 항만과 작은 뫼르텔렌덴(Mørtelrenden)수로 사이의 모래사장이 해안선을 따라 연장되고, 매립지 해변은 이색적인 경관을 자랑하는 해변 공원으로 변모했다. 조경가와 예술가의 협업 프로젝트는 조경과 예술의 협업으로 진행됐다. 조경가는 새로운 지형과 동선을 구축하고 콘크리트 에지의 기반을 조성했다. 조각가 카린(Karin)은 콘크리트 에지의 형태와 세부 요소를 구상하고 에지의 현장 설치를 맡았다. 설계 초기 단계부터 조경가와 예술가가 함께 작업했기 때문에, 새롭게 조성된 경관과 콘크리트 조형물이 조화를 이룰 수 있었다....(중략)... * 환경과조경 368호(2018년 12월호) 수록본 일부 Project Team Landscape Architect: VEGA landskab Sculptor: Karin Lorentzen Client Hvidovre Municipality LocationHvidovre, Denmark Area 1,900㎡ Design 2014 Completion 2017 Photographs Naja Viscor 베가 란스카브(VEGA landskab)는 안네 도르테 베스테르고(Anne Dorthe Vestergaard)와 안네 갈마(Anne Galmar)가 2013년에 설립한 조경설계사무소로, 덴마크 코펜하겐과 오르후스(Aarhus)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조경, 도시계획, 시설물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친환경적이고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다양한 스케일의 외부 공간을 조성하고자 노력해 왔다. 경관은 아름다운 풍경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인간 삶을 수용하고 활기차게 만드는 일종의 프레임이라고 믿는다. 현 세대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의 이익을 위해 지속가능한 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모든프로젝트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 VEGA landskab
  • 라인 블러바드 Rhine Boulevard
    라인 강변 개선 프로젝트 지역(region)과 비엔날레(biennale)혹은 트리엔날레(triennale)의 합성어인 리지오날레(Regionale)는 독일 서부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Nordrhein-Westfalen)주에서 진행되는 도시 개발 프로그램이다.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는2년 혹은3년마다 한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고,해당 지역의 지자체로부터 개발 전략을 공모한다.공모를 통해 지원 사업지로 선정된 지자체는 주로부터 지원금을 받아 목표 연도까지 프로젝트를 완수한다. 쾰른 시는 쾰른-본(Cologne-Bonn)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된‘리지오날레2010’대상지로 선정되어 라인 강 동쪽 도이츠Deutz지구를 개선했다.시는 오랜 시간 단절되었던 라인 강 동쪽 강변을 시내로 연결하고자2007년‘라인불러바어 쾰른(Rheinboulevard Koln)’공모전을개최했다. 옹벽을 걷어내고 연속적인 계단으로 대상지는 호엔촐레른 다리(Hohenzollern-Bridge)와 도이츠 다리(Deutzer-Bridge)사이 구간으로,우기에 자주 침수되는 탓에 엄격한 홍수 방호 기준에 맞춰 설계된 곳이다. ...(중략)... *환경과조경368호(2018년12월호)수록본 일부 Landscape ArchitectPlanorama ProjectManagement Maik Böhmer, Ulf Schrader, Katja Erke ContractorPlanorama ClientCity of Cologne(Amt für Landschaftspflege undGrünflächen) LocationCologne-Deutz, between Hohenzollern-Bridgeand Deutzer-Bridge, Germany Area10ha Cost21,700,000€ Design2007~2015 Construction2013~2016 Completion2016 PhotographsHanns Joosten, Falco Ermert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조경설계사무소플라노라마(Planorama)는2006년 마이크 뵈머(Maik Böhmer)가 설립했으며,개인 정원부터 도시의 프롬나드,광장까지 다양한 스케일의 프로젝트를 수행한다.대상지의 다양하고 복잡한 조건과 사용자에 따라 설계의 윤곽이 달라진다고 믿으며,주민은 물론 방문객의 특성까지 고려한 세심한 분석을 토대로 설계를 진행해 왔다.지속가능하고 경제적인 설계 해법을 지향하며,수준 높은 디자인의 오픈스페이스를 구현하고자 한다.
    • Planora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