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삼거리공원 명품화사업 설계공모] 천안숲 장려상
    삼거리공원은 차도로 둘러싸여 주변과 분리된 섬 같은 곳이다. 이러한 공원을 주변과 연결하고, 다채로운 기능의 공간을 더해 천안을 대표하는 공원으로 새롭게 탈바꿈시키고자 한다. 먼저 삼거리공원의 경계부에 보행교를 조성하고 보도를 확장시켜 주변과의 연계성을 강화한다. 또한 삼거리공원이 문화, 활기, 여가 활동이 가득한 도심 속 휴양 공원이 될 수 있도록 너른 잔디밭과 광장, 자연을 테마로 한 여가 공간 등을 조성한다. 이러한 주요 공간들은 공원 내 시민의 활동을 증대시키는 기반으로 기능할 것이다. 세 개의 테마 길과 경계부 전략 옛 삼남대로(한양길, 호남길, 영남길)의 흔적을 토대로 주요 동선의 골격을 계획한다. 한양길은 개발 예정인 주거 지역과의 연계를 고려해 도시경관길로 조성하고, 동측대로와 인접하게 배치한다. 영남길은 자연마당 속 삼거리숲길이 되어 방문객을 아름다운 자연 공간으로 안내한다. 호남길은 공원 주 진입로로 기능하고, 정원과 예술, 시민 문화를 담은 삼거리정원길이 된다. ...(중략)... *환경과조경370호(2019년2월호)수록본 일부
    • 경호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그린포엘
  • [삼거리공원 명품화사업 설계공모] 억석흥회 입선
    옛 천안삼거리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길로,지형에 순응하며 주변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있었다.일대에 원院과 같은 주막들이 자연스럽게 생겨나‘떠들썩하기는 천안삼거리’라는 말이 만들어질 정도로 많은 사람이 이곳을 오갔다.상인부터 선비,왕까지 이용하는 이 길목에서 다양한 계층이 어우러지고,흥타령이나 능소 설화 같은 고유한 지역 문화가 움텄다.하지만20세기 초 일제의 도로 근대화로 천안삼거리는 직선화됐으며,현재는 대로에 둘러싸여 사람과 자연으로부터 단절된 채로 남아 있다.삼거리공원은1968년 도시계획시설로 지정된 이래 정체성을 상실한 채 사실상 방치됐다.두 개의 길이 만나며 피어나던 문화와 정취를 찾아 볼 수 없으며,들판을 따라 느린 걸음으로 걸으며 바라보던 풍경도 없다.현재는 천안흥타령춤축제,농기계자재박람회장으로 연중8일만 활발하게 이용되고,녹지율은20%에 그쳐 근린공원으로서의 역할 또한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과거 흥성했던 천안삼거리의 위상을 되찾고 이곳을 다시 사람들이 찾는 곳으로,자연이 이어지는 곳으로 만들고자 한다. ...(중략)... *환경과조경370호(2019년2월호)수록본 일부
    • 조경설계 비욘드 + 유신 + 우영환경개발 + 건축사사무소 에스파스
  • 송산그린시티 개발사업 남측지구 조경공사 설계공모
    송산그린시티는 시화방조제 건설로 생긴 간척지 일대에 조성되는 신도시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추진하는 송산그린시티 개발사업은 사화호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관광·레저·주거가 한데 어우러진 도시를 조성해 신도시 일대를 서해안 산업 벨트의 거점으로 육성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약 1,653만 평에 이르는 대규모 부지는 동측지구(2011~2019, 1단계), 남측 지구(2017~2025, 2단계), 서측지구(2019~2030, 3단계)로 나뉘어 단계별로 개발될 예정이다. 지난해 9월 개최된 ‘송산그린시티 개발사업 남측지구조경공사 설계공모’(이하 송산그린시티 남측지구 조경 설계공모)는 송산그린시티 2단계 개발사업의 일환이다. 약 두 달간 진행된 공모에 5개 팀이 참여했고, 지난 12월 14일 그 결과가 발표되었다. 당선작에는 서안알앤디+동부엔지니어링+서호엔지니어링 팀의 ‘그린 기어 파크’가선정됐다. 그린 기어 파크는 송산의 옛 지도에 나타난 지명인 뜰, 골, 마루를 회복해 대상지가 지닌 땅의 기억을 회복하는 경관 계획을 수립했으며, 시화나래길, 형도, 우음도, 공룡알화석지 등 주변과의 생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친환경 산업 도시를 만들고자 했다. 우수작에는 동일기술공사+삼안+신화컨설팅 팀의 ‘송산 남다른 길’, 가작에는 도화엔지니어링+동심원 조경기술사무소+한국종합기술 팀의 ‘워라밸 플랫폼’이 선정됐다....(중략)... * 환경과조경 370호(2019년 2월호) 수록본 일부 당선작 그린 기어 파크Green Gear Park 서안알앤디 디자인+동부엔지니어링+서호엔지니어링 우수작 송산 남다른 길 동일기술공사+삼안+신화컨설팅 가작 워라밸 플랫폼 도화엔지니어링+동심원 조경+한국종합기술 주최 및 주관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위치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남양면 일원(송산그린시티 남측간석지) 설계 대상 남측지구 공원·녹지 개요: 공원 4개소, 녹지 18개소 등 1,342천m2(특별계획구역 내 공원 2개소 23천m2 제외) 공모 방식 제한공개공모 예상 공사비 93,986백만 원(부가 가치세 포함, 전기 및 건축 공사 포함) 예상 설계비 1,662백만 원(부가 가치세 포함, 계약 금액은 계약 시 낙착률 조정 등에 따라 별도로 산출된 금액을 따름) 심사위원 유민호(K-water, 토목) 이종연(K-water, 토목) 김희년(K-water, 조경) 박태인(K-water, 조경) 정두용(인천시청, 경관) 백승만(영남대학교 건축학부) 최병주(화성시) 시상 당선작(1팀): 기본 및 실시 설계권 우수작(1팀): 3천만 원 가작(1팀): 2천만 원 진행 김모아 디자인 팽선민 자료제공 한국수자원공사 및 수상팀
  • [송산그린시티 개발사업 남측지구 조경공사 설계공모] 그린 기어 파크 당선작
    송산의 뜰, 골, 마루를 회복해 대상지의 땅의 기억을 회복하고자 한다. ‘그린 기어 파크Green Gear Park’는 ‘생태와 문화를 상징하는 그린’, ‘산업을 상징하는 기어’, ‘안전을 상징하는 파크’의 마지막 단어를 딴 이름이다. 대상지의 생태 환경에 주목해 시화나래길~형도~우음도~공룡알화석지와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그린 네트워크를 구축해 친환경 산업 도시를 만든다. 전략 그린 업, 링크 업, 스마트 업 등 세 가지 전략을 통해 송산그린시티를 작동시키는 산업 도시의 기어를 구현한다. 그린 업은 생태 네트워크 구축 전략이다. 대상지의 기존 우수 처리 체계와 연계한 정화 습지, 우수 처리 시설을 마련해 친환경 우수 처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0호(2019년 2월호) 수록본 일부
    • 서안알앤디 디자인 + 동부엔지니어링 + 서호엔지니어링
  • [송산그린시티 개발사업 남측지구 조경공사 설계공모] 송산 남다른 길 우수작
    40만 평의 공원 녹지, 10만 평의 하천, 그리고 400만 평의 공룡알화석지가 하나의 길을 따라 이어지는 문화 공원을 만들고자 한다. 1960년대 경제 성장기의 산업 단지가 개발과 성장을 중요시했다면, 1990년대의 산업 단지는 환경 오염을 완화하는 녹지의 기능적 측면만을 중시했다. 새로운 산업 단지는 근로자에게 질 높은 업무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꾀하는 공원으로 기능하는 등 사회적 역할을 해야 한다. 전략 삶의 리듬을 지켜며 느리게 걷다: 지속성에 바탕을 둔 느리게 걷는 행위는 공룡알화석지부터 연결녹지를 거쳐 근린공원 5호에 이르기까지, 여러 공원을 하나로 잇는 매개 역할을 한다. 공원과 도시가 만나는 경계에 꽃이 핀다:공룡알화석지로부터 뻗어나와 대상지 남측 산업 단지로 파고드는 선형 녹지는 시민과 산업 단지 근로자의 소통을 돕는오픈스페이스로 기능한다. 이로 인해 공원과 도시의 경계에서 풍요로운 문화 행위가 일어난다. ...(중략)... *환경과조경370호(2019년2월호)수록본 일부
    • 동일기술공사 + 삼안 + 신화컨설팅
  • [송산그린시티 개발사업 남측지구 조경공사 설계공모] 워라밸 플랫폼 가작
    ‘워라밸 플랫폼’은 퇴근 후에는 동료와 맥주 한잔하며 하루의 스트레스를 풀고,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하고 싶은 곳이다. 직장 가까이에서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고, 건강한 자연에서 직접 가꾼 작물로 가든파티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장소성과 전략 첫째, 송산그린시티는 조선 정도 때 능을 조림하며 소나무가 우거졌다 하여 솔뫼, 송산이라 불렸으며, 수도권 신도시와 차별화된 생태 레저 복합 도시를 지향한다. 이 같은 대상지의 역사와 지향점을 고려해 송산그린시티만의 정체성을 구현한다. 둘째, 대상지 인근에는 학술적·문화적 가치가 높고 경관이 수려한 공룡알화석지와 철새 서식지가 있다. 이 같은 자연, 문화 자원을 대상지와 연계하고 스토리텔링 소재로 활용한다. 셋째, 대상지 남측 지구에 자동차 제조업 관련 산업 단지가 많다는 점을 고려해 산업 단지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원을 조성한다. ...(중략)... * 환경과조경 370호(2019년 2월호) 수록본 일부
    • 도화엔지니어링 + 동심원 조경기술사사무소 + 한국종합기술
  • [이미지 스케이프] 실-호우-에-뜨
    실루엣(silhouette). 영어로 써야 할 때마다 꼭 철자를 확인해야 하는 단어. i가 한 개던가, 두 개던가? 중간 어디에 h도 들어갔던 것 같은데? 영어에서도 그리고 우리말에서도 일상적으로 쓰긴 하지만 늘 헷갈리는 그런 단어지요. 헷갈리지 않으려면 ‘실-호우-에-뜨’라고 기억해야 할까 봐요. 실루엣은 윤곽 안이 단색, 보통은 검은색으로 채워진 이미지를 뜻하는 말입니다. 원래는 18세기 유럽에서 유행하던 초상화 형식으로 검은 종이를 잘라 인물의 옆얼굴을 표현한 그림을 부르던 말이라는군요. 그러다가 조금씩 확장되어서 현대에는 밝은 배경에 사물의 윤곽선이 강조된 형태를 지칭하는 의미로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료를 찾아보다 발견한 사실인데 이 단어가 사람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하네요. 에티엔 드 실루엣(Etienne de Silhouette)이란 사람이 이야기의 주인공입니다. 실루엣은 루이 15세 때 재무장관을 한 사람인데, 재무장관을 지내는 동안 프랑스 경제가 심각하게 좋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중략)... *환경과조경370호(2019년2월호)수록본 일부 주신하는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거쳐 같은 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토문엔지니어링, 가원조경, 도시건축 소도에서 조경과 도시계획 실무를 담당했고,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경 계획과 경관 계획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다.
  • [당신의 사물들] 카메라와 남한산성
    삼각대에 호스만 612를 장착한 채 어깨에 올렸다. 등 뒤에는 다른 카메라와 노출계 장비들을 잔뜩 넣은 가방을 짊어졌다. 가방과 카메라 무게를 합치면 10kg은 족히 넘었을 듯하다. 주말이면 늘 남한산성에 올랐다. 20대의 젊은 나는 조경설계사무소를 다니고 있었고, 카메라와 남한산성은 현실을 잠깐이나마 잊게 해주는 소중한 물건과 장소였다. 꽤나 오랜 시간이었다. 남한산성의 모든 장소를 다니고 또 다녔다. 남들이 모르는 암문을 찾아 사람 발길이 드문 곳으로 다녔고, 산성의 모습을 담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아끼던 장소가 있다. 동문을 거쳐 장경사를 지나면 다섯 개 옹성 중 하나인 신지옹성이 보인다. 앞만 보고 산을 오르다 보면, 여장(성 위에 낮게 쌓은 담) 너머의 옹성이 보이지 않는다. 등산로 오른쪽 아래의 작은 암문을 지나야 마주칠 수 있는 신지옹성의 첫인상은 강렬했다. 방어를 위해 만들어졌지만 그가 가지고 있는 곡선의 유려함은 주변의 산세와 어우러져 아름답기 그지없었다....(중략)... *환경과조경370호(2019년2월호)수록본 일부 김상윤은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한 후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예술 전문사 과정을 중퇴했다. 스튜디오 테라와 프로젝트팀 O3scope를 거쳐 현재 에이트리 정원 디자인 & 시공 스튜디오를 운영 중이다.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작가정원 부문에서 금상을 받았다. 자연을 매개로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정원을 만들고자 노력하며, 식물과 관련한 컨설팅과 설계 및 시공을 하고 있다.
  • [그리는, 조경] 나무를 그리는 방법, 드로잉의 혼성화
    조경학과 신입생들에게 정원과 집을 지도 형식으로 간단히 그려보라고 한 적이 있다. 대부분의 학생이 건축물은 박스 형태로 제법 잘 그려냈지만 정원을 그리는 데는 조금 망설였다. 나무를 평면 형태로 그려본 적이 없기 때문에 상상해보는 시간이 필요했던 것이다. 조경 도면에 사용되는 여러 기법은 일종의 규칙, 즉 배워서 익힌 관습이다. 조경학을 오랜 시간 공부해 이제 이러한 관습이 당연하고 익숙하지만, 조경학 전공을 택했을 때만 해도 난 조경 도면을 제대로 읽지 못했다. 등고선과 축척, 방위 등은 중고등학교 지리 시간에 배웠지만 식재를 포함하는 구체적 요소는 조경학도가 되어 처음으로 그려보았다. 모든 규칙에는 저마다의 이유가 있다. 도면의 규칙은 구성 요소를 간편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그 규칙을 아는 사람에게는 쉽게 읽힐 수 있도록 고안된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이러한 규칙을 익히게 하는 것이 조경 교육의 주요 역할이라 생각하면서도, 이러한 관습에 의구심이 들었다. 왜, 그리고 언제부터 그러한 방식으로 그리기 시작했을까. 예를 들어, 조경 드로잉의 주요 대상인 식재를 평면으로 나타내고자 할 때, 우리는 동그라미 형태로 그리도록 배웠고 그렇게 그린다. 이러한 방식은 언제 생겼을까. 조경 도면이 그려지기 시작할 무렵부터였을까. 아니라면, 그 전에는 나무를 어떻게 시각화했을까. 플라노메트릭 이 드로잉은 18세기 후반에 그려진 스웨덴의 하가 공원(Haga Park)의 평면도다(그림 1). 영국의 풍경화식 정원을 자국에 소개한 스웨덴 조경가 프레드리크 망누스 피페르(Fredrik Magnus Piper)(1746~1824)가 그렸으며, 공원 디자인 양식에 적합하게 풍경화처럼(picturesque)공들여 채색되어 하나의 회화 작품으로 보아도 손색없는 수준이다. 이 평면도에서 건축물은 이차원의 평면에 정투영 방식으로 그려져 있다. 흥미로운 건 식재의 시각화 방식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식물은 정면 형태로 그려놓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그림 2). 그런데 식물을 정확히 정면에서 본 입면도 형식으로 그린 것도 아니다. 정투영의 원리에서 벗어난 느슨한 투시도 형식으로 시각화하고 있다. 이렇게 그린 이유는 무엇인가....(중략)... *환경과조경370호(2019년2월호)수록본 일부 이명준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경 설계와 계획, 역사와 이론, 비평에 두루 관심을 가지고 있다. 박사 학위 논문에서는 조경 드로잉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현대 조경 설계 실무와 교육에서 디지털 드로잉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했고, 현재는 조경 설계에서 산업 폐허의 활용 양상, 조경 아카이브 구축, 20세기 전후의 한국 조경사를 깊숙이 들여다보고 있다. 가천대학교와 성균관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조경비평 봄’과 ‘조경연구회 보라(BoLA)’의 회원으로도 활동한다.
  • [도면으로 말하기, 디테일로 짓기] 심리스 패턴 디자인
    나는 20세기 대중문화의 끝자락에서 21세기 공유 정보(cloud information)의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세대로, 홍대 지하실에 들끓던 자욱한 열기와 유튜브에 넘치는 개인 채널들의 세상을 모두 경험했다. 이 같은 1990년대 키드는 스타 아키텍트의 시대를 가슴으로 느끼며 성장해, 이제 위키피디아에서 그들의 일대기를 병렬적으로 분석해볼 수 있는 특권을 가지게 됐다. 이런 맥락에서 돌아보면, 역사의 선구자들은 항상 지구 반대편에서 무언가를 계속 꺼내 왔다. 그리고는 시대의 관성을 깨는 새로운 ‘크로스오버’를 선보이며 시대를 주도했다. ‘심리스(seamless)패턴 디자인’도 그러한 예다. West 8의 제리 반 에이크(Jerry Van Eyck)(현 !melk 대표)는 직물 업계의 고전적 디자인 방법인 심리스 패턴을 조경의 영역으로 가져왔고, 이를 아드리안 회저(Adriaan Gueze)의 컬트적 낭만주의에 더해, West 8 특유의 유머를 대지 위에 구현했다. ‘페어 트리 브리지(Pear Tree Bridge)’는 용산공원 기본 설계 과정에서 진행했던 디자인 습작이며, West 8의 시그니처 디자인에 대한 내 오마주다. 개발 이전에 배나무 밭이었던 이태원梨泰院의 역사와 어원에 근거했고, 지역성을 도시 장식 요소로 구현해내며 모방한 자연으로 디자인된 자연을 만드는 West 8식의 이중적 유머를 재현했다. 사실 직물 패턴 디자인의 원리는 생각보다 꽤 단순하다. ...(중략)... *환경과조경370호(2019년2월호)수록본 일부 나성진은 서울대학교와 하버드 GSD에서 조경을 전공했다. 졸업 후 한국의 디자인엘, 뉴욕의 발모리 어소시에이츠(Balmori Associates)와 제임스 코너 필드 오퍼레이션스(JCFO)에서 실무 경험을 쌓고, West 8 로테르담과 서울 지사를 오가며 용산공원 기본 설계를 수행했다. 한국, 미국, 유럽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귀국 후 파트너들과 함께 얼라이브어스(ALIVEUS)라는 대안적 그룹을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