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내일을 위하여
    오늘날 우리는 현수준의 국민소득에서 멈출 수 없으며, 선진공업국 수준을 향하여 더 많은 에너지와 산업시설, 도로, 항만, 주택 등이 필요하다. 현실적 욕망과 목표를 슬기롭게 성취하기 위해서는 국민적 윤리관과 자연생명의식의 보편화를 위한 멀고도 먼길을 가야 한다. 그러나 당면한 성장의 과제는 개발로 인한 훼손이나 오염의 치유와 회복이 전제되고 개발과 보전의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하는 전문교육과 전문가의 적극적 활용이 필수적임을 강조하면서, 이것이 바로 최근 리우환경회의에서 채택된 ESSD 개념의 실천임을 우리모두 새롭게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 키워드: 오휘영 ※ 페이지 : 42-43
    • / 1995년07월 / 87
  • 조경공사의 하자처리
    하자는 조경업계의 가장 큰 경영 손실이다. 이러한 하자는 설계 공사시공과정, 준공후 관리 등 종합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며 이러한 원인을 추적 분석하여 공사 시공시부터 하자발생을 최소하하는 시공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하자가 발생했을 때 차일피일 미루다가 식재 부적기에 하자시공을 하여 시공 후 또다른 하자를 만드는 일이 우리업계에 흔히 있는 가슴 아픈 현실이다. ※ 키워드: 하자처리 ※ 페이지 : 152-156
    • / 1995년07월 / 87
  • 창간 13주년 특별대담 ; 쌀을 이는 조리처럼 알찬 정보를 걸러내야
    언제나 우리는 부석사의 신비로움, 내소사의 아담함과 병산서원의 운치를 우리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한 아름다움과 소중한 우리들만의 혼을 환경과 조경이 앞장서서 더욱 깊이있고 전문적인 시각으로 무분별한 세계문화의 혼란속에서 굳건하게 지켜나가길 바란다. ※ 키워드 : 김규원 ※ 페이지 : 55
    • / 1995년07월 / 87
  • 창간 13주년 특별대담 ; 지구환경 및 국제환경에 공헌하는 비전과 목표 제시해야
    먼저 국내적으로 통일과 환경선진국 건설에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국외적으로는 지구환경 및 개발도상국의 환경 등 국제환경에 공헌할 수 있는 비전과 목표가 필요하다 하겠다. ※ 키워드 : 이홍태 ※ 페이지 : 53
    • / 1995년07월 / 87
  • 한국경관에 대한 비평과 감상
    한국의 최근 발전을 이끈 정책이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것은 한국의 옛 가치가 부활되고 확립된 것이다. 또한 강한 국가적 자존심과 단호하고 통일된 행동이 표출된 것이며, 몸에 깊이 밴 자연에 대한 경외와 경관에 대한 타고난 사랑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한국의 경제가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그에 따라 토지의 소모에 대한 압력이 가중되게 되면 잘 정리된 국토 이용계획과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 키워드 : john ormsbee simonds ※ 페이지 : 182-187
    • / 1995년07월 / 87
  • 가랑비속 고수부지를 뜨겁게 달군 사람들 ; 제5회 조경직장인 체육대회
    가랑비속 고수부지를 뜨겁게 달군 사람들, 제5회 조경직장인 체육대회 ※ 키워드: 제5회 조경직장인 ※ 페이지 : 44-45
    • / 1995년07월 / 87
  • 건강한 식물을 위한 토양개량제 ; 상토
    식물이 생육하는데 필요한 환경이란 크게 니눠 지상환경과 지중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고밀도화된 현 대도시의 녹지공간은 조경식물이 정상적 생육을 기대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으며, 특히 식물의 생육 배양지인 토양환경은 식물의 활착생육 및 생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환경요소임에 틀림없다. ※ 키워드: 상토 ※ 페이지 : 140-141
    • / 1995년07월 / 87
  • 창간 13주년 특별대담 ; 자연과의 공생과 지역경영
    세계화시대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개성적인 풍토나 문화를 중요시한 국가나 지역의 건설이 아닐까 한다. 근대 문명은 개발도상국의 문화를 파멸시킬 정도의 전파력을 갖고 잇는 선진국에서 배우거나 모방하는 것이 아니다. 세계수준의 온고지신으로 개성적 또는 매력적인 지역을 만드는 것이 우리계획가들의 과제라고 생각한다. ※ 키워드 : 마이다 다케시 ※ 페이지 : 61
    • / 1995년07월 / 87
  • 창간 13주년 특별대담 ; 세계화와 문화적 경관
    나는 간단하게 계획과 경관에 관한 세계화와의 연관에 대해 언급하겠다. 나는 모든 디자인 전문영역이 다른 구성요소와 관련되어 있어 기하학자들은 이러한 경관의 측면을 문화적 경관이라고 부르며 그것은 분석의 유니트가 될 수 있다. 이것은 인간행동의 결과로 오랜 시간에 걸쳐 태고의 경관에 기초한 것이다. ※ 키워드 : 위스콘신 대학교 명예교수 ※ 페이지 : 58
    • / 1995년07월 / 87
  • 고하도유원지 개발계획 아이디어 현상공모/우대기술단
    산림경관이 양호한 북측능선 및 기타 자연경관을 최대한 보존, 컴퓨터 적지분석에 의한 시설배치로 자연경관 훼손 최소화, 기존의 열악한 접근 수단을 케이블카, 교량연결 등으로 접근성 제고, 숙박체류형과 1일 이용행태를 모두 만족시키는 시설지로 개발. ※ 키워드 : 고하도 유원지 ※ 페이지 : 162-164
    • / 1995년07월 / 87
<< 1 2 3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