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도로건설과 경관 조성
    개발에 따른 복원기술도 사전평가와 사후평가로 실시하여 발전시키고 환경영향평가에 의해 환경에 미치는 각종 악영향에 대한 저감대책을 철저히 시행하며, 환경영향평가의 문제점을 발전 보완시키고 건설기술자의 환경과 경관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교육, 법적장치 예산, 조경전문부서 설치 등이 있어야겠다. 이런가운데 도로가 요청하는 기능과 구조에 맞는 퀘적한 경관이 조성될 수 있도록 친환경적 도로설계 기법을 통해 시공이 이루어질 때, 우리나라도 그만큼 선진국에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 키워드: 경관조셩 ※ 페이지 : 148-151
    • / 1995년07월 / 87
  • 조경공사의 하자처리
    하자는 조경업계의 가장 큰 경영 손실이다. 이러한 하자는 설계 공사시공과정, 준공후 관리 등 종합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며 이러한 원인을 추적 분석하여 공사 시공시부터 하자발생을 최소하하는 시공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하자가 발생했을 때 차일피일 미루다가 식재 부적기에 하자시공을 하여 시공 후 또다른 하자를 만드는 일이 우리업계에 흔히 있는 가슴 아픈 현실이다. ※ 키워드: 하자처리 ※ 페이지 : 152-156
    • / 1995년07월 / 87
  • 지방자치시대와 마을가꾸기 ; 일본의 경관 연구 여행을 통하여
    우리나라는 현재 경관정비의 의미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표면적으로는 도시의 스카이라인, 건축물의 벽면후퇴, 공원만들기 등에 대해 성당히 노력하고 있는것 같은데 실상 신도시에 있어서 너무나 빽빽하게 들어찬 고층아파트 단지를 볼 때 토지이용도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또는 건설이윤을 보장하기 위해, 싼값에 아파트를 분양해 주기위해 라는 그럴듯한 명분도 있겠지만 인간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권리가 싼값에 매도당하는 듯한 느낌을 떨쳐버릴 수가 없었다. 어둠이 내려깔리기 시작하는 와카미아 공원에도 전등이 켜지기 시작했다. ※ 키워드: 일본, 경관연구 ※ 페이지 : 176-181
    • / 1995년07월 / 87
  • 부산시 공원유원지의 문제점과 개발전략
    부산전체가 거대한 콘크리트 건물군화 되어가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물론 악화되고 있는 지역경제, 어려운 재정여건에서 부족한 도로율의 제고 등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이 절박한 과제이지만, 국제도시 부산의 백년대계를 생각하면서, 공원유원지 개발을 활성화해 나갈 지혜가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일본 등 제외국 도시와의 사례를 비교하면서 제도상의 문제점과 함께 부산의 공원유원지가 산악형인 점을 감안,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다각도로 도출해 내어, 그에 따른 개발전략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키워드: 부산, 공원유원지 ※ 페이지 : 157-161
    • / 1995년07월 / 87
  • 진달래속
    진달래류는 봄철 화기때는 제주도 남단부터 압록강과 두만강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온 산야를 붉게 물들여 주는 아름다운 꽃나무로 먼 옛날부터 사람들의 귀여움을 받아온 우리와 가장 친근한 나무의 하나이다. 또한 진달래류는 우리나라 자생수종도 많고, 외래수종도 많으며 최근에는 우리 생활주변에 가장 많이 식재되고 있는 나무이다. ※ 키워드: 진달래 ※ 페이지 : 134-139
    • / 1995년07월 /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