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창간 13주년 특별대담 ; 새로운 금수강산 만들기, 조경인과 환경언론계의 임무
    한국의 미래는 깨끗한 환경과 더불어 지속할 수 있는 경제발전의 근거를 마련하여야 하며 이 파라다임의 성취는 삼천리 금수강산의 복구에 달려있다.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가장 기본적 사업은 보호지역과 녹지의 확장 및 회랑과 녹도의 상호연결을 통하여 서식지와 생태계를 복구시키고 보존하는 것이다. ※ 키워드 : 김계중 ※ 페이지 : 56
    • / 1995년07월 / 87
  • 역사경관의 전통성과 창조적 계승을 위한 재조명
    경관이라는 것은 인간이 가진 삶의 미학이 구체적으로 표현된 결과로서 그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되며, 전시대의 경관에 다음 시대의 경관이 덧붙여져서 나타나는 4차원적 산물이 된다. 이렇게 볼 때, 역사경관이라는 것은 과거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의 미학 그 자체가 물리적으로 표현된 결과이며, 그렇게 때문에 특정시대, 특정장소에서 삶을 이루어가던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가 역사경관속에 담겨져 있기 마련이다. ※ 키워드 : 역사경관 ※ 페이지 : 142-147
    • / 1995년07월 / 87
  • 창간 13주년 특별대담 ; 국제화 시대를 향한 조경가와 도시계획가의 역할
    국가적이고 국제적인 기구와 같은 현존하는 한국조경학회나 IFLA 같은 조직의 강화와 이용은 지지되고 발전되어져야 한다. 그 기구들은 중립적인 입장에서 비정부조직같은 정보의 흐름을 발전시키는 이상적인 수단이다. ※ 키워드 : theiner rodel ※ 페이지 : 63
    • / 1995년07월 / 87
  • 창간 13주년 특별대담 ; 우리것을 널리 알리는 매체되길
    마지막으로 조경인들에게 부탁하고 싶은게 한가지 있다면 보다 많은 기회를 통해 우리의 것을 널리 알리도록 함께 노력했으면 한다. 각자의 노력이 합해진다면 이보다 더 좋은 국위선양의 방법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키워드 : 배수영 ※ 페이지 : 54
    • / 1995년07월 / 87
  • 사적지 조경의 현주소 ; 사적지 조경의 전통성과 특수성 ; 전통원림의 특징과 그 현황
    우리나라의 조경문화는 지정적인 조건 때문에 고대 중국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삼국시대에 싹트기 시작하였으며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러 한국적인 조경문화로 정착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근세에 이르러서는 일본제국주의자들에 의한 직접 또는 간접적인 간섭으로 인하여 형태와 내용면에서 크게 변질하여 원형을 찾기 어려운 것이 적지 않다. 더군다나 일제로부터 해방되어 오늘에 이르면서 원리 원칙을 무시한 민간에 의한 첨경작업과 행정당국에 의한 무분별한 복원 및 보수작업으로 점차 원형을 잃어가고 있는 것을 적지 않게 보면서 몹시 가슴이 아팠다. 이에 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 전통원림의 특징을 밝히고 그 문제점을 제시하여 본래의 모습으로 되찾는데 도움이 되게 하고자 한다. ※ 키워드 : 전통원림 ※ 페이지 : 76-81
    • / 1995년07월 / 87
  • 사적지 조경의 현주소 ; 문화재조경 보수방법
    문화재는 우리민족이 이룩한 유형 무형의 문화적 소산을 포괄하는 보존할 만할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을 지칭한다. 문화재보호법에는 문화재의 종류를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자료의 4개 유형으로 크케 분류 정의하고 있다. 그중 본 연구에서는 유형의 문화재중 국보, 보물, 중요민속자료, 주변의 조경유적, 사적 및 명승, 천연기념물중 식물을 대상으로 한다. 조경유적은 그것을 구성하는 주요요소인 식물의 특성상 어느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병이 들고 고사하기 때문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과거의 모습을 보존할 수 없고 다만 조경구조물만이 옛 모습을 전해주고 있다. ※ 키워드 : 문화재보수 ※ 페이지 : 82-84
    • / 1995년07월 / 87
  • 창간 13주년 특별대담 ; 쌀을 이는 조리처럼 알찬 정보를 걸러내야
    언제나 우리는 부석사의 신비로움, 내소사의 아담함과 병산서원의 운치를 우리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한 아름다움과 소중한 우리들만의 혼을 환경과 조경이 앞장서서 더욱 깊이있고 전문적인 시각으로 무분별한 세계문화의 혼란속에서 굳건하게 지켜나가길 바란다. ※ 키워드 : 김규원 ※ 페이지 : 55
    • / 1995년07월 / 87
  • 창간 13주년 특별대담 ; 지구환경 및 국제환경에 공헌하는 비전과 목표 제시해야
    먼저 국내적으로 통일과 환경선진국 건설에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국외적으로는 지구환경 및 개발도상국의 환경 등 국제환경에 공헌할 수 있는 비전과 목표가 필요하다 하겠다. ※ 키워드 : 이홍태 ※ 페이지 : 53
    • / 1995년07월 / 87
  • 한국경관에 대한 비평과 감상
    한국의 최근 발전을 이끈 정책이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것은 한국의 옛 가치가 부활되고 확립된 것이다. 또한 강한 국가적 자존심과 단호하고 통일된 행동이 표출된 것이며, 몸에 깊이 밴 자연에 대한 경외와 경관에 대한 타고난 사랑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한국의 경제가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그에 따라 토지의 소모에 대한 압력이 가중되게 되면 잘 정리된 국토 이용계획과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 키워드 : john ormsbee simonds ※ 페이지 : 182-187
    • / 1995년07월 / 87
  • 창간 13주년 특별대담 ; 자연과의 공생과 지역경영
    세계화시대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개성적인 풍토나 문화를 중요시한 국가나 지역의 건설이 아닐까 한다. 근대 문명은 개발도상국의 문화를 파멸시킬 정도의 전파력을 갖고 잇는 선진국에서 배우거나 모방하는 것이 아니다. 세계수준의 온고지신으로 개성적 또는 매력적인 지역을 만드는 것이 우리계획가들의 과제라고 생각한다. ※ 키워드 : 마이다 다케시 ※ 페이지 : 61
    • / 1995년07월 / 87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