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옴스테드 200] 공원으로 만든 도시, 옴스테드의 선형 공원
    공원의 시작, 그리고 옴스테드 공원,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가. 하늘이 보이는 넓은 공간, 녹음이 짙은 수목과 수풀, 잔디밭과 구석구석 연결하는 소로, 혹은 긴 수변을 따라 녹음과 수 공간을 함께 즐길 수 있는 한강공원을 떠올릴 수도 있다. 작년에 진행된 용산공원 국민참여단 정기 워크숍에서 가장 많이 나온 이야기 중 하나가 ‘용산공원을 뉴욕의 센트럴파크처럼 세계적인 공원으로’ 만들자는 것이었다. 공원의 대명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뉴욕 센트럴파크의 설계자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가 근현대 공원의 발전에 기여한 내용을 다 훑자면 책 한 권으로도 부족할 것이다. 도시 발전에 공헌한 옴스테드의 업적을 두 가지만 꼽아야 한다면, 나는 센트럴파크로 대변되는 그린 오픈스페이스와 보스턴 도시 그린 인프라를 구성하고 있는 일련의 선형 공원을 선택하고 싶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회자된 선형 공원은 아마 뉴욕의 하이라인(High Line)일 것이다. 빼곡히 들어선 건물에도 불구하고 맨해튼이 녹음 가득한 장소로 느껴지는 데에는 센트럴파크만큼이나 하이라인의 시각적 효과가 큰 역할을 한다. 한국에서도 다양한 선형 공원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 서울만 해도 한강공원이 강변을 따라 길게 늘어서있고, 삼각지에서 연남동까지 이어지는 경의선숲길은 세대를 막론하고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드는 그야말로 ‘핫플레이스’가 되었다. 양재천이나 탄천 같은 수변 선형 공원은 대규모 주거 단지 조성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최근 국회대로 지하차도 및 상부 공원화로 7.6km에 달하는 선형 공원이 예정되는 등 선형 공원 조성 뉴스가 끊임없이 조경계에 새바람을 불어넣는 듯하다. 그러나 하이라인이 가장 큰 반향을 일으켰을지라도, 그 역사를 조금 더 거슬러 올라가면 선형 공원의 시작도 19세기의 도시 팽창과 그 궤를 함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의 팽창과 확산, 끝없이 높아지는 인구 밀집도, 뒤바뀌는 사회 구조, 민주주의 기반의 다양한 철학과 개념은 도시와 전원의 균형과 사회 복지에 대한 옴스테드의 고민과 만나 선형 공원이라는 도시 조직을 빚어냈다. 옴스테드의 도시 인프라, 파크웨이 19세기 중반, 뉴욕과 보스턴을 비롯한 북미 북동부 주요 도시들에서는 민주주의 도시의 미래상에 대한 각축이 벌어지고 있었다. 옴스테드는 북미 전반의 도시화와 기존 도시 조직의 팽창, 인구 과밀을 피할 수 없는 미래라고 보았으며, 결국 대부분의 사람이 도시화된 삶을 추구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1 이로 인해 벌어질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두가지 해법이 바로 센트럴파크로 대변되는 목가적 초원을 갖춘 공원과 주요 교통 인프라로서 공원, 즉 옴스테드가 ‘파크웨이(parkway)’라고 지칭한 공간이었다. 1870년대, 옴스테드와 그의 파트너 캘버트 복스(Calvert Vaux)가 시도한 첫 번째 파크웨이는 뉴욕 주 버팔로의 공원 시스템이었다. 조경사학자 프랜시스 코우스키(Francis R. Kowsky)는 이 설계안이 “공원과 도시의 통합적 확장”으로 요약된다고 말했다.2 공원과 공원을 파크웨이로 이어 도시계획의 기반을 만든 이 시도는 옴스테드의 어바니즘을 극명하게 반영한다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당시 옴스테드와 복스만이 도시공원의 시스템화를 주장한 것은 아니었다. 조경가 로버트 모리스 코플랜드(Robert Morris Copeland)는 1869년 한 일간지 지면을 통해 보스턴을 아우르는 광역 공원 계획을 제안한 바 있다.3 유럽에서도 프롬나드(promenade) 등 대도시의 조직과 인프라스트럭처에 대한 다학제간 논의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었다. 그럼에도 내가 옴스테드에 특히 주목하는 이유는 그의 설계와 문헌에서 드러나는 도시관 혹은 어바니즘을 파크웨이와 공원 시스템 설계에서 명확히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옴스테드는 유럽에서 북미로 건너온 기존의 보행 중심 대로가 19세기 미국의 산업 도시에서 요구되는 공공 공간의 기준에 맞지 않는다고 보았으며, 주거 환경의 변화뿐 아니라 “새로운 도시 구조에 알맞은 새로운 도로 구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4 옴스테드의 파크웨이는 일과 주거의 분리, 레크리에이션 수요의 증가, 교통수단의 발달, 녹지 접근성 등을 근거로 공원과 도로를 결합한 공간적 도시 인프라였다. 특히 뉴욕 프로스펙트 공원(Prospect Park)과 함께 제시한 파크웨이 설계를 살펴보면, 파크웨이를 통해 녹지 비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공동체가 향유하는 공공 녹지 공간, 즉 공원의 역할을 부여하고 있으며 고속 차도를 별도로 지정해 교통망 기능을 놓치지 않으려 한 점이 눈에 띈다. *환경과조경408호(2022년 4월호)수록본 일부 신명진은 뉴욕에서 미술건축사학을 공부한 뒤 한국으로 돌아와 서울에서 현대 조경 이론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통합설계미학연구실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졸업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 [옴스테드 200] 옴스테드 아카이브, 기억의 집 또는 아스날
    옴스테드 르네상스와 아카이브 클릭 몇 번만으로 모니터 위에 옴스테드가 남긴 메모나 스케치를 띄울 수 있는 날이 도래했다. 이제 더 이상 아카이브의 복잡한 카탈로그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머리를 쥐어짜거나, 고요함과 고독이 짓누르는 분위기에 위축되거나, 데카르트적 공간처럼 똑같이 생긴 책꽂이 사이를 왔다 갔다 하지 않아도 된다. 단 1mm라도 더 찢어질까 해진 종이를 조심스레 넘기지 않아도, 문서를 뒤적이다 언제부터 존재했을지 모르는 먼지를 들이마시지 않아도 된다.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탄생 200주년을 앞두고 조경계 사람들이 솔깃할 만한 디지털 아카이브 소식이 연이어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2018년 7월 26일 미국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은 “옴스테드 탄생 200주년을 앞두고 리소스 역할을 하기 위해” 옴스테드의 글과 기록물을 디지털화하여 온라인으로 제공한다고 발표했다.1 뉴욕시는 이보다 앞서 2017년 겨울, 시 아카이브(NYC Municipal Archives)가 소장하고 있는 옴스테드의 1857년 센트럴파크 공모전 제출작 ‘그린스워드(Greensward)’를 디지털화했다는 소식을 전하기도 했다.2 최근에는 1998년 설립 이후 경관과 조경가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써온 미국의 문화경관재단(The Cultural Landscape Foundation)도 이러한 움직임에 합류했다. 지난 1월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의 조경 유산(What's Out There: Landscape Architecture Legacy of Frederick Law Olmsted)’이라는 이름의 옴스테드 탄생 200주년 기념 이니셔티브를 마련하면서, 옴스테드와 그의 조경 유산 2 백여 곳에 대한 포괄적인 온라인 가이드를 만들기로 한 것이다.3 열병과도 같은 옴스테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현상은 일면 빅데이터 시대 또는 옴스테드 탄생 200주년이라는 시대적 조건 속에서 이해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그 씨앗은 이미 20세기 말 옴스테드 르네상스의 부상이라는 토대 속에서 싹트고 있었다.4 1960년대 하버드 디자인대학원GSD의 ‘인간과 자연: 옴스테드 전(Man and Nature: The Olmsted Exhibition)’에서 촉발된 옴스테드 다시 보기는, 1979년 옴스테드의 집이자 사무실이었던 페어스테드(Fairsted)의 국립사적지(National Historic Site) 지정, 그리고 옴스테드 유산의 보존과 인식 증대를 목표로 한 두 조직의 설립으로 이어졌다.5 그렇게 탄생한 것이 바로 페어스테드에 위치한 ‘옴스테드 아카이브(Olmsted Archives)’다. 이 지면에서는 옴스테드 관련 아카이브를 소개한다. 물리적 실체이자 공간으로 존재하는 기록 보관소뿐 아니라 최근의 디지털 아카이브까지 아우르며 각 아카이브의 설립 배경과 구조적 특징, 더 나아가 최근의 변화와 움직임을 짚어보려 한다.6 옴스테드 아카이브(들) 미국의회도서관의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페이퍼’ 미국의회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옴스테드 컬렉션은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페이퍼(Frederick Law Olmsted Papers)’다.7 앞에서 언급한 디지털 아카이브가 구축된 것은 2018년으로 최근 일이다. 그러나 컬렉션 자체가 탄생한 시점은 옴스테드 가문이 도서관에 자료를 기증한 1947~1948년과 1968~19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5년 옴스테드 전기 작가인 로라 우드 로퍼(Laura Wood Roper)가 자료 3천 점을 기증하고 1981년 도서관이 추가 자료를 구매하면서 1996년에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페이퍼’ 체계가 마련되었다.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페이퍼’를 구성하는 자료는 1777년과 1952년 사이에 생산된 약 2만4천 개 항목으로, 옴스테드의 조경 작업뿐 아니라 가족사, 친구와 동료 관계, 협업, 개인 생활에 관한 자료가 74개 상자에 담겨 있다. 그중 미국의회도서관이 강조하는 기록물로는 요세미티 국립공원 보호의 단초가 된 1864년 요세미티 지역과 숲에 대한 예비 보고서, 남북전쟁 중 아내에게 보낸 군인들의 고통에 관한 편지, 1865년 파트너십 갱신과 새로운 프로젝트 수행에 관한 옴스테드와 캘버트 복스 간의 서신, 1877년 미국 국회의사당 부지 식재에 관한 연필 스케치, 센트럴파크 설계에 영향을 미친 영국 버컨헤드 공원에 대한 노트 등이 있다. 자료는 트리(tree) 구조로 정리되어 있다. 기록물 유형에 따라 저널, 서신, 주제 파일, 연설문 및 글,기타 문서, 추가 문서, 특대형 문서 등 8개 시리즈로 나뉘어 있다. 각 시리즈는 생산 연대에 따라 다시 세분되어 있다. 기록물 숲에서 길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의회도서관이 제공하는 전자 파일 형태의 검색 도구(finding aid8)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2018년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페이퍼’가 디지털 아카이브로 다시 태어나면서 이용자와 아카이브 사이의 심리적·물리적 거리감이 줄었다. 42쪽에 달하는 검색 도구를 ‘제대로’ 이해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검색 필터를 갖춘 인터페이스와 여러 가지 메타데이터9 항목을 활용해 찾고자 하는 기록물을 그물망web에 건져 올릴 수 있다. 각주 1.Library of Congress, “Famed Landscape Architect Frederick Law Olmsted's Papers Now Online”, 2018. 6. 26. 각주 2.Quinn Bolewicki, Matthew Minor, “Digitizing the Greensward”, 2017. 12. 21. 각주 3.TCLF, “Olmsted 200 Digital Website and Book Launch”, 2022. 1. 7. 문화경관재단은 이와 동시에 옴스테드의 유산 중 덜 알려져 있거나 분실 또는 위협에 처한 경관을 조명하는 기록화 작업(Landslide 2022: The Olmsted Design Legacy)도 진행한다. 각주 4.옴스테드 르네상스에 대해서는 문화경관재단 대표 찰스 번바움(Charles A. Birnbaum)의 2022년 3월 1일자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강연 ‘우리 안의 옴스테드(The Olmsted in All of Us)’를 참조할 수 있다. youtu.be/-yrj31C5OK8 각주 5.1980년 비영리 단체인 센트럴파크 컨서번시(Central Park Conservancy)와 국가 조직인 옴스테드 공원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Olmsted Parks)가 설립됐다. 각주 6.오늘날 미국의 조경 아카이브 사례로는 다음을 참조. 이명준, 김정화, 서영애, “미국 조경 아카이브 구축 동향과 특성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7(6), 2019, pp.1~11. 공원 아카이브의 의미와 사례에 대해서는 『환경과조경』 2020년 3월호 특집 “공원 아카이브, 기억과 기록 사이”를 참조. 각주 7.미국의회도서관 웹사이트(hdl.loc.gov/loc.mss/collmss.ms000067)를 통해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다. 각주 8.findingaids.loc.gov/exist_collections/ead3pdf/mss/2001/ms001019.pdf 각주 9.데이터를 설명해주는 데이터로, 속성 정보라고도 한다.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는 데 도움이 되는 항목이다.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페이퍼’의 경우 문서 제목, 생산자, 주제어, 유형, 식별 번호, 소장 위치와 같은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환경과조경408호(2022년 4월호)수록본 일부 김정화는 막스플랑크예술사연구소(Kunsthistorisches Institut in Florenz ‒ Max-Planck-Institut) 내 식물을 테마로 한 다학제 연구 집단 4A_Lab의 박사후 연구원이다. 일제 식민지기 임업 시험장을 중심으로 근대 국가의 과학적 숲 디자인을 연구 중이다. 도시경관연구회 보라(BoLA)의 멤버로 조경 아카이브 연구에도 힘쓰고 있다.
    • 김정화
  • [옴스테드 200] 옴스테드가 남긴 것들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는 현대 도시공원의 출발점이 된 센트럴파크의 설계자이자 현대적 의미의 조경(landscape architecture)을 하나의 전문 직능으로 자리 잡게 한 사회 개혁가다. 옴스테드가 기존 정원 중심의 조원을 넘어 도시공원과 공원 시스템을 통해 도시 골격과 구조를 재편하는 조경을 주창한 데에는 도시민의 건강과 복지 증진에 대한 신념이 있었다. 도시민의 건강 문제는 옴스테드의 시대 이후 더욱 심각하고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인구 과밀과 지역 불균형, 도시 환경과 복지 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의 하나로 공원의 역할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시민뿐 아니라 도시 자체의 건강을 위해서도 공원은 한층 더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옴스테드 탄생 200주년을 맞아 그의 생애와 작업을 되돌아보는 것은 현대 조경의 기원을 되짚는 의의만 있는 것이 아니다. 건강한 도시를 위한 처방은 현재에도 필요하고 앞으로도 계속 요청될 미래 진행형의 과제이기 때문이다. 다음에서는 옴스테드의 프로젝트와 그가 남긴 글, 그를 다룬 주요 저작을 살펴본다. 범위가 방대하기 때문에 간략한 목록 형식으로 정리한다. 특히 옴스테드의 계획과 설계 작업과 관련된 전용 도면 검색엔진1이 따로 있을 정도로 아카이브가 체계화되어 있으므로, 공원의 이름과 지역, 완공 시기 정도만을 제시한다. 옴스테드에 대한 학술 연구 또한 이 지면에서 모두 소개하기에는 양이 많아서 주로 단행본 형식으로 출판된 책 위주로 기록한다. 옴스테드가 남긴 공간 옴스테드가 남긴 유산을 보존하는 기관인 옴스테드공원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Olmsted Parks)는 옴스테드의 프로젝트를 도시공원(urban park)과 파크웨이(parkway), 공원 시스템(park system)으로 구분해 기록하고있다.2 우리가 옴스테드의 작업 중 거의 자동적으로 떠올리는 센트럴파크는 대표적이자 원조 격인 도시공원이다. 그의 도시공원 중 널리 알려진 것들은 대부분 대형 공원이지만, 주로 유원지와 유사한 기능을 한 대형 공원을 이용하지 못하는 노동 계층이 많다는 것을 인지한 뒤 옴스테드는 19세기 후반 빈민 지역의 틈새 공간에 작은 공원을 설계하기도 했다. 또한 파크웨이와 공원 시스템을 조성했다. 파크웨이는 사전적으로는 드라이브하기 좋게 잘 꾸며진 도로를 칭하지만, 옴스테드의 파크웨이는 대형 공원 형식의 대규모 녹지와 녹지 덩어리 사이를 연결하는 도로에 녹지대를 조성해 시민들이 녹지를 더 자주 접하게 하려는 의도였다. 공원 시스템은 ‘그린 네트워크'와 일면 유사한 개념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여럿으로 나뉜 녹지를 서로 긴밀하게 연결해 하나의 체계처럼 작동하고 단일 공간일 때보다 더 큰 시너지를 내게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옴스테드가 계획한 공원 시스템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가장 유명하다고 할 수 있는 보스턴 공원 시스템에는 ‘에메랄드 네클러스’라는 별칭이 붙었는데, 여러 공간이 엮여 하나의 시스템을 이룬다. 이밖에도 주거 단지나 캠퍼스를 조성하기도 했다. 각주 1.ww3.rediscov.com/Olmsted에서 원하는 조건에 맞는 작품을 검색해 별도 페이지에서 당시의 도면을 보거나 미국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또는 옴스테드 연구 가이드 온라인(Olmsted Research Guide Online)에 자료를 요청할 수 있다. 각주 2.www.olmsted.org *환경과조경408호(2022년 4월호)수록본 일부 김민주는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를 졸업하고,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의 공원관에 나타난 복지 개념’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 [옴스테드 200] 옴스테드 200 더 읽을거리
    1. 센트럴파크 Central Park Location Manhattan, New York, USA Area 3.41km2 2. 프로스펙트 공원 Prospect Park Location Brooklyn, New York, USA Area 2.13km2 3. 프랭클린 공원 Franklin Park Location Boston, Massachusetts, USA Area 2.13km2 4. 버팔로 공원 시스템 Buffalo Park System Location Buffalo, New York, USA Area 3.43km2 5. 에메랄드 네클러스 Emerald Necklace Location Boston, Massachusetts, USA Area 4.5km2 6. 백 베이 펜스 Back Bay Fens Location Boston, Massachusetts, USA Area 404,685m2 7. 아놀드 수목원 Arnold Arboretum Location Boston, Massachusetts, USA Area 1.07km2 8. 빌트모어 Biltmore Location Asheville, North Carolina, USA Area 32.4km2 9. 미국 국회의사당 그라운드 United States Capitol Grounds Location Washington D.C., USA Area 234,717m2 10. 나이아가라 폭포 주립공원 Niagara Falls State Park Location Niagara Falls, New York, USA Area 1.62km2 11. 시카고만국박람회장 The World’s Columbian Exposition Location Chicago, Illinois, USA Date 1893 *환경과조경408호(2022년 4월호)수록본 일부
    • 김모아, 금민수, 이수민
  • 양메이컹 해안가로 Yangmeikeng Sea Boulevard
    해안가 커뮤니티와 양메이컹 해안 2018년 태풍 망쿳(Mangkhut)은 중국 선전의 다펑(Dapeng) 반도 해안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2019년 해안 복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펠릭스Felixx+KCAP 팀을 구성하고, 130km에 이르는 해안을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는 삼중 제방 전략(triple dike strategy)을 세웠다. 이 전략은 해안을 보호할 뿐 아니라 친환경적 발전과 자연 복원, 사회경제적 성장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어업에 종사하는 작은 마을이 다펑 반도 해안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삼중 제방 전략은 이 해안가 커뮤니티의 특성을 보전하는 동시에 성장을 위한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한다. 마을의 경계를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개발을 진행해 소규모 마을의 정체성을 보존하고, 다채로운 레크리에이션 시설을 조성해 다양성을 증폭시키고자 했다. 한적한 만에 있는 둥산(Dongshan) 마을은 제방을 산과 마을을 잇는 녹색 공원으로 활용한다. 관후(Guanhu) 마을은 창의적 문화가 가득한 곳이다. 제방을 생생한 녹색 해변가로이자 방파제 역할과 새로운 레크리에이션 시설을 접합한 중추 인프라로 탈바꿈시킨다. 문베이(Moonbay)는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산 중턱에 지은 마을이다. 제방을 해안을 내려다보는 발코니, 마을과 떠다니는 낚시터를 연결하는 매개체로 쓸 수 있다. 사위융(Shayuyong)은 바위와 견고한 제방으로 구성된 항구의 관문 역할을 하게 된다. 아름다운 해변과 관광 명소가 있는 펑청(Pengcheng)은 회복탄력성이 높은 매력적인 해변 공원으로 바뀔 것이다. 생태 및 해양 보호 구역에 있는 양메이컹(Yangmeikeng)은 해안을 따라 바다 환경에 노출된 마을이다. 여섯 개 구역 중 가장 먼저 완성된 양메이컹 해안가로는 18km 길이의 제방 중 일종의 시범 구역이다. 500m의 긴 거리를 따라 제안된 해양 방파제는 자연 기반 전략의 효용을 시험하고 전략을 더욱 구체화하고 개선하는 데 쓰인다. *환경과조경408호(2022년 4월호)수록본 일부 Landscape Architect and Supervision Felixx+KCAP Desig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China Resource Group Landscape and Construction Design Hope Landscape & Architecture Engineering China Water Transport Planning & Design Institute Research Institute in the Field of Water and SubsurfaceDeltares Client Water Resources Bureau of Shenzhen Municipality Location Shenzhen, China Area 42ha Completion 2020 Photographs DUO Architectural Photography_Hongduo Zhuo, Felixx+KCAP 펠릭스(Felixx Landscape Architects and Planners)는 2014년 로테르담에 설립된 사무소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더 나은 환경 조성법이 필요하다고 믿는다. 지역성을 고려한 설계를 통해 글로벌 문제를 해결하고, 공간 연구, 경관 변화 전략, 마스터플랜, 공공 공간 및 제품 설계 등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 펠릭스는 상상 속 캐릭터에서 따온 이름이다. 평범한 영웅인 펠릭스는 세상을 여행하며 행복한 환경을 만들 기회를 엿보고 있다. KCAP는 지속가능한 도시 환경을 만드는 건축가, 도시설계가, 조경가와 함께 도시에 활기를 더하는 건물, 공공 공간, 경관을 만들어왔다.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공간보다는 사용하기 좋은 공간을 만들고, 복잡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쓴다. 네덜란드 로테르담, 스위스 취리히, 중국 상하이, 한국 서울, 호주 싱가포르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KCAP는 지속가능한 도시 환경을 만드는 건축가, 도시설계가, 조경가와 함께 도시에 활기를 더하는 건물, 공공 공간, 경관을 만들어왔다.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공간보다는 사용하기 좋은 공간을 만들고, 복잡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쓴다. 네덜란드 로테르담, 스위스 취리히, 중국 상하이, 한국 서울, 호주 싱가포르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 Felixx+KCAP
  • 하이퍼레인 어번 갤러리 The Urban Gallery at Hyperlane
    하이퍼레인 어번 갤러리(The Urban Gallery at Hyperlane)는 2.4km 길이의 직선형 복층 공원으로, 청두 쓰촨 음악 대학(Chengdu Sichuan Conservatory of Music University)의 중심에 위치해 청년 문화와 라이프 스타일의 거점 역할을 한다. 공원은 생동하는 젊음, 음악, 생활을 지향하는 직선적 공간을 구축하여 지역 교통과 대학 커뮤니티 및 캠퍼스를 연결한다. 공원의 디자인 완성도를 높이고 표준성을 더하기 위해 현지에서 조달 가능한 제품을 60% 이상 사용하고, 장기적으로 상업적 가치를 창출할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어번 갤러리 어번 갤러리는 하이퍼레인 프로젝트의 1단계로 지역 공동체를 하나로 모이게 하는 사회 지향성 공간이다. ‘공동체와 연대’라는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는 갤러리는 과감하고 역동적인 청년 지향의 정체성을 가지며 이 지역이 지닌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문화를 보여준다. 여러 층으로 구성된 원형 구조가 유쾌하게 변화하면서 다채로운 기능과 경험을 제공한다. 거리 가장자리를 따라 이어지는 도심 산책로, 입구에서 문턱 역할을 하는 워터카펫, 퍼포먼스 갤러리와 커뮤니티 테라스, 그리고 식물들 사이에 자리 잡은 소규모 유선형 벤치 등 이 어번 갤러리를 구성한다. 어번 갤러리는 지속가능한 영구적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러 경험을 제공하는 갤러리는 사교적 공간인 동시에 생동감 넘치는 창의적 예술과 음악 문화를 뒷받침하는 공동체와 연대의 중심을 이룬다. 코로나19 이전에 설계되어 락다운 직후 준공된 어번 갤러리는 사회적 정체성을 지닌 공간으로 도심 속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심 산책로 산책로를 연결하는 플랜터와 여러 방향으로 설치된 소규모 유선형 벤치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만든다. 벤치는 나무 사이에서 도로의 가장자리를 부드럽게 하는 완충 공간 역할을 한다. 공간 특성에 맞춰 계획한 조명은 낮에는 물론 밤에도 공간에 생동감을 더해준다. 특히 물속에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 조명을 감싸 적절한 조도를 만들되 빛이 그리는 선은 선명하게 유지하며 물가와 벤치의 가장자리를 밝힐 수 있도록 했다. 퍼포먼스 갤러리 퍼포먼스 갤러리는 즉석 공연, 미술 전시회, 문화적 모임, 야외 공연 등을 장려하기 위한 외부 공간이다. 내부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활기찬 분위기를 조성하고 큐레이션이 가능한 도심 속 무대로 기획했다. 24시간 커뮤니티 테라스 동쪽에 있는 조각적인 테라스는 방문객이 나무 그늘에 모여 공연을 관람하거나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구상했다. 워터카펫을 이룬 원의 중심과 물가와 벤치의 가장자리를 밝히는 불빛은 밤에도 독특하고 생생한 분위기의 야경을 연출해 24시간 내내 안전하고 밝은 공간을 선사한다. 북동쪽 경계에 놓인 흰 커튼은 물결 모양의 구불구불한 움직임을 만들어내며 공간을 하나로 연결시키는 배경이 되는 동시에 동쪽에 있는 주차장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가장 북쪽에 위치한 공간은 수목과 커튼의 형태에 따라 형성됐다. 이 공간에서 사람들은 각자 휴식을 취하거나 간단한 업무를 볼 수 있으며, 소규모 모임을 가질 수 있다. 메시지를 지닌 나무 프로젝트의 지속가능성은 현지에서 조달 가능한 제품뿐 아니라 대상지와 깊은 관련이 있는 상징 나무와 관련된다. 금사남목은 청두와 쓰촨 지역의 고유종으로 현재 서식지를 잃어 멸종 위기종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이 멸종 위기종을 하이퍼레인 어번 갤러리에 대량 식재해 금사남목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기회를 마련했다. 금사남목은 잎이 아래로 처지는 독특한 특성 덕분에 물과 인접한 공간에 식재하기 좋다. 상록수인 데다 최대 30m까지 자랄 수 있어 사람들에게 한여름 고온을 피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그늘을 준다. Architecture Andy Wen (Global Design Principal of Aedas) Landscape Architecture Stephen Buckle (Studio Director of ASPECT Studios) Landscape Design Team Yan Luo, Sam Xu, Alex Cunanan de Dios, Morey Zhou, Iris Di Lighting Brandston Partnership LDI BW Landscape Design Contractor Chengdu First Construction Engineering of CDCEG Rendering ASPECT Studios, Aedas Client Chengdu Xinding Real Estate Location Chengdu, Sichuan, China Area 86,543m2 Landscape Area 1,930m2 Greenery Ratio 20.6% Completion 2019. 2. Photographs Lu Bing ASPECT 스튜디오(ASPECT Studios)는 조경가, 도시설계가, 전략가, 도시계획가로 구성된 팀으로, 25년 동안 전 세계 곳곳에 새로운 공공 공간을 창조해왔다. 사람들이 공공 공간을 사용하는 방식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핵심 전략을 세우고, 도시공학적 접근법을 통해 공공성을 가진 실용적 공간을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다. 호주 시드니, 멜버른, 애들레이드, 브리즈번, 퍼스, 중국 상하이와 광저우, 베트남 호치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스튜디오를 두고 있다.
    • ASPECT Studios
  • [어떤 디자인 오피스] 오픈니스 스튜디오 작지만 강하고 단순하지만 아름다운
    스튜디오를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나 대학원에서 조경 설계를 전공한 뒤 현장 중심의 설계 경험을 쌓기 위해 KnL환경디자인스튜디오에 입사했다. 주로 장인처럼 정원을 설계하고 만드는 일을 하는 회사였다. 작은 설계 스튜디오에서 전통적인 도제 방식으로 디자인을 배웠다. 일상에서 스승의 작업을 보조하면서 어깨너머로 배우고, 스승의 습작을 트레이싱하면서 감각을 키우는 방식이었다. 디자인을 이끌어가는 방법뿐 아니라 클라이언트와 소통하는 방법, 현장에서 작업자들과 원만하게 어울리는 방법 등 모든 것을 가까운 거리에서 배울 수 있었다. 입사한 지 5년 정도 되었을 때는 서툴지만 일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 과정을 그럭저럭해 내는 방법을 습득할 수 있었다. 6년 차가 되면서 새로운 변화를 고민하던 무렵 우연히 한두 가지 개인 프로젝트를 맡게 되어 자연스럽게 독립하게 됐다. 현재 스튜디오의 구성원은 몇 명이며, 최종 규모는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는가 현재 대표 포함 8명으로 구성된 스튜디오다. 최종적으로는 10명 정도의 규모가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그 정도면 대표 디자이너가 모든 디자인 결과물을 살펴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작고, 동시에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동시에 다룰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기 때문이다. 디자인 스튜디오의 경우 규모가 너무 커지면 대표 디자이너는 전업 매니저의 역할을 맡게 되기 쉽다. 반대로 규모가 너무 작으면 할 수 있는 일의 종류가 제한되기 때문에 적정 규모가 중요하다. 작은 스튜디오의 장점은? 작은 스튜디오는 생각보다 장점이 많다. 운영 측면에서 간접비를 줄이고 일의 효율을 높여 원하는 일만 선택할 수 있는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대외적으로는 클라이언트가 담당 팀장이 아닌 스튜디오의 대표와 직접 소통한다는 점에서 신뢰를 줄 수 있다. 한 프로젝트를 디자이너 여러 명이 지원하는 구도에서 만족을 얻는 클라이언트가 있는가 하면, 대표 디자이너 한 명과 긴밀하게 소통하기 원하는 클라이언트도 있다. 후자의 경우 작은 스튜디오가 더 큰 강점을 갖는다. 내부적 관점에서 본다면 작은 조직은 큰 조직에 비해 프로젝트 단위로 팀을 유동적으로 개편하기 때문에 업무에 대응하기 쉽다. 촘촘한 직급 체계와 인사 구조를 가진 대형 사무실이라면 적용하기 어려운 대응 방식이다. 프로젝트마다 발 빠르게 팀을 재구성해 대응하는 방식은 때로는 구성원들에게 스트레스를 주기도 하지만, 다양한 역할을 해볼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들이 빠르게 성장하는 원동력이 된다. 오픈니스 스튜디오의 팀원들을 소개해 달라 최재혁 대표 디자이너는 일과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가감 없이 말하는 편이라 때로는 돌직구 상사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뇌피셜’에 따르면) 속마음은 따듯하고 팀원들을 배려하고자 늘 노력한다. 김지학 디자인 매니저는 오픈니스 스튜디오에서 이제 5년째다. 프로젝트의 핵심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진행 계획 수립과 업무 분담에 있어서 탁월함을 보여준다. 디자인 능력과 시공 기술 또한 훌륭해 정원박람회에서 대상을 받은 경력도 있다. 변인환 컨스트럭션 매니저는 나이는 많지 않지만 시공 쪽에서 잔뼈가 굵은 인재다. 식물에 대한 애정이 깊고 여행과 사진을 즐긴다. 전문가 수준의 사진 촬영 능력을 갖추고 있다. 김제인 시니어 디자이너는 디자인 감수성이 뛰어나다. 시와 피아노를 취미로 즐기는 그녀가 만든 디자인 결과물에서는 특별한 온기와 아름다움이 느껴진다. 장찬희 시니어 디자이너는 타고난 설계가 기질이 있는 디자이너다. 누구보다 꼼꼼하고 정확한 편이고 빠른 손을 가졌다. 박수미 디자이너는 건축학과를 졸업한 뒤 조경 디자이너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디자인적 직관과 판단력이 좋고 여러 방면에서 뛰어난 팔방미인 디자이너다. 이우정 디자이너는 일러스트 작가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2D 이미지 작업에 뛰어난 감각을 지녔다. 박경자는 2021년부터 고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조경기술사이자 문화재기술자다. 디자인 스튜디오로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실험 정신과 유연한 사고방식, 그리고 디자인한 것은 무엇이든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이다. 물론 우리가 모든 것을 디자인하고 다 만들 수 없다는 것을 알지만,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프로젝트에 임하고자 노력한다. 스튜디오를 개소한 2017년, 한강예술공원 시범사업에 작가로 참여하면서 지름 8m의 거대한 튜브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 말을 지키기 위해 지방의 고무 보트 제작 업체를 수소문하고 다니면서 몇 차례 고비를 겪었던 기억이 난다. 그래도 어떻게든 만들어 냈을 때 느꼈던 성취감과 즐거움이 여전히 오프니스 스튜디오의 설계 DNA에 각인되어 있다고 믿는다. 오픈니스 스튜디오의 디자인 스타일이 있다면? 어떤 대상이든 복잡하게 디자인하면서 품질을 떨어뜨리는 일은 쉽고 단순하게 만들면서 높은 품질을 내는 일은 어렵다. 우리는 어떻게 하면 단순하면서도 아름답고, 더 나아가 감동을 주는 공간을 디자인을 할 수 있을지 늘 고민한다. 그런 작품이 고전이 된다고 생각한다. 클라이언트의 뜻에 휘둘리고 어쩔 수 없이 그 뜻을 따라갈 때가 많지만, 우리는 늘 이런 관점에서 일을 시작한다. 단순함과 모던함, 그리고 자연스러움이 이제껏 오픈니스 스튜디오가 추구한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 트렌드의 변화를 의식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트렌드를 좇아 가볍게 소비되는 이미지를 담은 공간을 디자인하는 건 지양하는 편이다. 그보다는 색과 질감, 스케일과 조형 등 기본적인 공간 요소를 균형감 있게 어우러지게 함으로써 공간 안에서 편안함이 느껴지도록 하는 데 관심을 둔다. 공간에서 시각적 균형미가 한눈에 드러나게 만드는 것에도 늘 신경을 쓴다. 식재 디자인의 경우 대상지의 미묘한 환경적 변수들을 감지하여 지속가능한 공간을 구현하는 데 일차적인 목표를 두고 그 후에 미적·사용자적 관점을 고려한다. 시설물 디자인에서는 부피감과 무게감의 표현에 각별한 신경을 쓴다. 너무 투박하게 디자인해 시각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부담감이 느껴지는 일이 없도록 주의를 기울인다. 반대로 너무 가벼워서 공간에 안착하지 못하고 날아가 버릴 것 같은 느낌이 들지 않도록 디자인한다. 복잡한 형태와 어려운 디테일에 큰 관심이 없고, 가장 기본적인 조형성을 가장 맵시 좋게 드러내기 위해 쉽고 확실한 디테일 디자인에 집중하는 편이다. 디자인 스튜디오 창업을 꿈꾸는 디자이너들에게 조언한다면? 어렵게 생각하면 한없이 어렵고 쉽다면 쉬운 게 자신의 스튜디오를 여는 일이다. 자신감을 가지고 도전하되 한 가지만 기억하면 좋을 듯하다. 디자인하는 게 즐겁고 그것에 보람을 느껴야 한다는 점이다. 일을 일로 대하는 순간 일은 떠나간다. 반대로 일을 친구 삼아 때로는 천천히 때로는 빠르게 걷는다는 생각으로 가까이 두고 친하게 지내고자 하면 어느새 자신이 기대하던 것보다 많은 일이 생기고, 자연스럽게 스튜디오도 성장하게 될 것이다. 스스로 열심히 단련한 뒤 자신감을 가지고 시작하면 좋다. [email protected] 오픈니스 스튜디오(Openness Studio)는 외부 공간의 디자인 빌드 분야에 강점을 가진 디자인 스튜디오다. 단순하고 모던한 조형, 자연스러운 내러티브와 편안한 분위기를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개인 정원 및 공공 공간을 설계하고 시공했으며. 생태적 관점을 바탕으로 공공 예술과 전시 프로젝트에도 폭넓게 참여해왔다. 한강예술공원,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국립현대미술관 예술놀이마당 전시에 참여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외부 환경 개선 설계를 수행했다.
  • [모던스케이프] 나무를 심자
    예로부터 ‘나무를 심는 일’은 기념할 일이 있을 때와 연결되는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으로 딸을 낳으면 오동나무를 마당에 심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민간의 전통이다. 오동나무는 속성수에 목질도 가벼워서 딸이 시집갈 때 혼수로 가지고 갈 가구의 재목으로 사용하기 적절하기 때문이다. 그밖에 우리는 결혼. 회갑, 승진 등 경사가 있을 때도 나무를 심는 것으로 축하를 했는데, 오늘날에도 종종 볼 수 있는 기념식수의 전통이 멀리 있었던 건 아닌 셈이다. 왕실에서도 나무를 심었을까 싶어 『조선왕조실록』을 살펴봤다. 왕실의 가족묘인 능소(陵所)와 원소園所에 보토補土하여 나무를 심었다는 기록이 대부분이다. 검색어를 식목(植木)으로 걸러봤다. 왕릉 일대에 식재한 것을 제외하면, 영남 지방 여러 고을에는 민둥산 때문에 재해가 빈번하니 벌목을 금하고 나무를 많이 심어 토양 유실을 막는 것이 필요하다고 상소한 헌납(獻納)1 권엄의 의견이 유일하다. 나무 심기를 통해 상징과 기념을 넘어 실용의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는 점에서 매우 인상적이다.2 근대가 되면 동서를 막론하고 나무를 심는 일이 도시의 위생과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으로 주목받는다. 한국에서는 독립협회 회원들이 식목의 기능에 가장 먼저 주목했다. 해외 도시를 경험한 바 있는 그들은 나무 심기가 노력에 비해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고 있어서, 종목일, 즉 식목일을 만들어 국민이 나무를 심게 할 것을 권장했다. “우리가 바라건대, 조선의 농상공부에서도 종목일을 작성하여 봄가을로 한 번씩 전국의 인민을 시켜 동네 빈터에 나무를 심게 하고 …… (그러면) 몇 해 지나지 않아 좋은 공원이 생길 것이고 그 나무들이 다 자라 쓸 만하게 되면 해마다 얼마씩 베어 팔아 그 돈을 가지고 공원을 정비하는 등 시민을 위해 쓸 일이 많을 것이다. …… 속성수인 백양목을 비롯하여 단풍나무, 전나무, 가죽나무 등을 일 년에 한 번씩만 심는다면 큰 수고로움 없이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3 하였다. 그러고는 식목의 효과로 첫째는 산사태 방지로 산 아래 농가들이 농사를 안정적으로 지을 수 있다는 점, 둘째는 공기 정화에 효과가 있다는 점을 꼽았다. 또한 셋째로는 나무로 공기가 깨끗해지면 전염병이 예방된다는 점, 넷째로는 그늘과 맑은 공기를 제공해 백성들의 휴식처가 마련된다는 점을 언급했다. 당시 조선의 주요 도시는 산업화로 인해 망가지지는 않았으나, 비위생적이고 무질서한 도시 환경은 근대로의 개혁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그 해결책으로 식목에 주목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각주 1.헌납은 조선시대 사간원의 정4품 관직이다. 각주 2.『정조실록』 12권, 정조 5년 10월 22일. 각주 3.「독립신문」 1896년 8월 11일. *환경과조경408호(2022년 4월호)수록본 일부 박희성은 대구가톨릭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한중 문인정원과 자연미의 관계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에서 건축과 도시, 역사 연구자들과 학제간 연구를 수행하면서 근현대 조경으로 연구의 범위를 확장했다. 대표 저서로 『원림, 경계없는 자연』이 있으며, 최근에는 도시 공원과 근대 정원 아카이빙, 세계유산 제도와 운영에 관한 일들을 하고 있다.
  • 공예의 새로운 태도 사물을 대하는 태도
    지구는 역사상 가장 극단적인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플라스틱 폐기물로 땅과 바다가 오염됐고, 공기 속에서 퍼지는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가 존재하는 ‘인류세’와 ‘자본세’의 시대에 살고 있다. 위기를 헤쳐 나가기 위해 여러 분야에서 인간과 사물, 자연의 수평적인 관계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공예에서도 생명 없는 재료로만 취급해온 다양한 사물과 생명체에 대한 존중, 천연 자원의 남획과 인공 재료의 남용으로 인한 환경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인간 중심의 ‘일방적 세계화’와 ‘자본세’에 맞설 공예의 윤리적·사회적 실천, ‘기계적 유기체(AI, 사물인터넷)’와 공존하는 공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전시 ‘사물을 대하는 태도’는 현시대에 대응할 새로운 공예와 디자인을 모색하는 동시에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바탕으로 한 공예의 태도와 실천을 보여준다. 인간 중심의 공예에서 벗어나, 재료, 사물, 기계, 환경 등과 수평적이고 평등한 관계를 추구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이다. 인간을 위한 공예도 필요하지만, 인간 이외의 모든 존재들을 함께 존중하는 태도가 이 시대 공예의 새로운 윤리이며 사회적 실천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인류세와 자본세에 포위되어 소외되고 고립된 공예, 작가들의 존재와 가치를 복원하는 길이다. 대지, 생활 그리고 반려까지 ‘사물을 대하는 태도’는 2021년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공예를 통해 조망했던 전시로 현지에서 찬사를 받았다. 당시 전시를 개최했던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한국 관객들을 위해 동명의 주제로 이번 전시를 마련했으며, 2021년 밀라노 한국공예전 출품 작품과 더불어 지역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함께 공간에 재구성했다. 공예, 디자인, 사진, 영상 등 참여 작가 38팀의 290여 작품은 크게 세 가지 주제를 다룬다. 1층은 하늘과 땅, 인간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대지의 사물들’, 2층에서는 한국의 다양한 생활문화를 담은 공예 ‘생활의 자세들’, 인간과의 지속적인 삶을 이어가는 소중한 반려로서 공예를 바라보는 ‘반려 기물들’을 이야기한다. 공예는 인간, 사물, 자연이 상호 매개되고 결합된 광범위한 결과물의 총체다. 이들 사이의 다양한 관계는 결합 과정에서 그 의미가 끊임없이 변화되고 새롭게 생성된다. 공예는 단순히 고정된 물건이 아니라 인간, 사물, 재료, 기계 등과 결합과 배열을 통해 새로운 상징을 생산하기 때문이다. 전시는 ‘대지의 사물들’을 통해 전통과 현대, 공예와 예술을 넘나들며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성되는 공예의 사물성을 보여준다. 또한 코로나19와 관련된 메시지를 던지기도 했다. 한선주 작가는 코로나19로 지친 일상을 위로하고, 일상의 아름다움을 회복하길 고대하며 화려한 색감의 대형 직물 ‘봄날은 온다’ 시리즈를 1층 중앙홀에서 선보였다.
  • 자연과 기술이 공존하는 도시를 꿈꾸며 포스트 네이처: 친애하는 자연에게, 울산시립미술관 개관 특별전
    미래형 미술관을 꿈꾸는 울산시립미술관 조선 후기 울산도호부 관아의 흔적인 남은 울산 동헌, 그 옆으로 울산 최초의 공공 미술관이 문을 열었다. 지난 1월 6일 개관한 울산시립미술관은 미디어 아트 중심의 ‘미래형 미술관’을 표방한다. 울산만의 지역 특색을 바탕으로 “시대적 변화에 맞는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제시”하고 자연과 기술, 산업과 예술의 조화를 모색하는 전시와 사업을 선보일 계획이다. 개관을 기념해 ‘블랙 앤드 라이트: 알도 탐벨리니’, ‘대면_대면 2021’, ‘노래하는 고래, 잠수하는 별’, ‘찬란한 날들’, ‘포스트 네이처: 친애하는 자연에게’의 5개 전시를 마련했다. 17개국 70명의 작가가 참여한 전시를 통해 평면, 입체, 설치, 공연, 디지털 미디어 아트까지 최첨단 미술을 경험할 수 있다. 포스트 네이처: 친애하는 자연에게 개관 특별전으로 기획된 ‘포스트 네이처: 친애하는 자연에게’는 인간과 인간이 아닌 것을 나누어 온 우리의 이분법적 시각을 되돌아보게 하는 전시다. 후, 뒤, 다음을 뜻하는 포스트(post)와 자연을 뜻하는 네이처(nature)를 결합한 ‘포스트 네이처’는 먼 미래에 도래한 세계를 의미하는 단어다. 단순히 인류가 바꾸어 놓을 수 있는 생태를 넘어 역사와 문화, 정치가 얽힌 복잡한 감각을 떠올리게 하는 작품을 통해 “함께 연대하며 살아가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다층적 계기를 제공하고자 했다. 프랑스, 미국, 루마니아, 중국 등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는 예술가 16인의 영상, 설치, 퍼포먼스, 프로그램 등이 마련됐다. *환경과조경408호(2022년 4월호)수록본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