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한평공원(一坪空園) 찾기 시작, 술래잡기 시작
    도시의 전유와 일곱가지 놀이터 도시의 한 볼라드에 앉아 세상 구경을 하는 할아버지를 보면서, 길가에 앉아 수다를 떠는 할머니들을 보면서, 시장 한편에서 바둑을 두고 계시는 아저씨들을 보면서 “아! 할아버지와 할머니에게도, 아저씨에게도 놀이터가 있어야 한다니까” 연재를 시작하게 된 동기다. 물론 그들은 나름대로 도시의 자투리 공간을 잘 찾아서 놀고 있었다. ‘세르토(de, Certeau)’의 표현을 빌리자면 기획된 ‘개념도시’에서 우리의 이웃들은 자신들만의 놀이를 풀어내고 있었다. 세르토는 마음대로 걷기를 통한 도시의 전유를 개념도시에 저항하는 것으로 보았다면, 우리의 이웃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주어진 규칙과 법칙에서 벗어나 자신의 방식대로 도시를 다시 쓰고 있었다. 연재를 진행하면서 놀이란 그들만의 자생적이고 자율적인 문화라는 것을, 놀이터란 자신들만의 문화를 펼칠 수 있는 문화의 장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러니 우리는 문화를 이야기하고 있었던 것이고, 그들의 놀이터를 제안하기 위해서는 그들과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그들에게 말을 걸기도 했고, 관련 문헌을 뒤적이기도 했고, 해당 전문가를 찾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쉽지 않았다. 많은 생각의 운명이 그러하듯이, 우리의 생각을 이루는 것 또한 생각만큼 쉽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일곱 달 동안 일곱 가지의 놀이터를 제안했다. 함께 놀이터 만들기 ‘한평공원(一坪 空園)찾기 시작, 술래잡기 시작’ 그런데 우리의 의도가 가장 크게 어긋난 것은 우리의 그들에 대한 이해와 문화 읽기가 날카롭지 못하다거나 우리의 상상력이 그리 뛰어나지 못했다는 데 있기 보다는, 우리 또한 다른 방식으로 개념도시를 이야기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말이다. 마지막회는 이 아이러니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그래서 우리의 이웃 모두가 함께 할 수 있는 놀이터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상상하도록, 그들 자신의 공간 전유 방식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래서 이제까지 빈 공간에 무언가를 채우는 놀이터를 제안했다면 이번에는 비울 것을 제안한다. 누구나 마음대로, 상상대로 즐길 수 있는 공간, 우리 이웃들의 자유로운 이용이 누적되어 그들만의 놀이터가 되는 빈틈이 우리 도시에 많았으면 좋겠다. 그런 곳에 가장 가까운 곳이 공원일텐데, ‘공원(公園)’이라는 타이틀조차도 없는 그런 공원(空園)이 더 좋을 듯 싶다. 이를 위해 전문가들은 다양한 이름으로 도시를 개념화하고 치장하는 것에서 한발 물러나 한 평이라도 비워둘 것인지를 고민해보는 것은 어떨까? 그리고 우리는 이 도시에서 술래잡기를 시작하면 된다. 왜 술래잡기냐고? 술래잡기를 시작하는 순간, 우리가 현재 있는 이 방은, 사무실은, 강의실은 전혀 다른 공간이 되기 때문이다. 온통 ‘숨을 수 있는 공간’과 ‘들키는 공간’으로만 보인다. 즉 ‘숨기’라는 규칙 속에서 이 공간은 재구성되는 것이다. 그래서 마치 숨을 곳을 찾는 것처럼, 각자 자신에게 적당한 ‘놀 곳’을 찾자. ‘놀이’라는 안경으로 이 도시의 숨겨진 한 평을 찾아서 놀자. 할아버지는 세상과 교감할 수 있는 곳을, 청소년들은 자신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는 곳을, 이주민들은 두고 온 고향에 대한 향수를 해소할 수 있는 곳을, 놀면서 자신도 알지 못했던 그러나 자신의 어느 곳에 잠재되어 있는 어떤 에너지를 발산해보자. (마지막회)
  • 중국 정원 기행
    (사)한국전통조경학회(회장 신상섭)는 2008년 8월 5일부터 9일까지 중국 서남부지방의 정원을 학술 답사하였다. 이번 답사의 참가인원은 64명으로 올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중국 복건성의 집합주택인 토루(土樓)와 천혜의 자연경관으로 1999년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무이산(武夷山)이 이번 답사의 포인트이다. 이전에도 몇 번 중국을 여행한 적이 있었으나 그때는 주로 중국의 정원유적을 찾아다녔는데 이번 여행은 세계문화유산이 두 곳이 포함되어 있어 좋은 기회가 되었다. 첫째 날(8월 5일) 인천 국제공항에서 9시 30분 비행기에 몸을 싣고 2시간을 이동하여 도착한 우리의 첫 번째 목적지는 중국의 상해(上海)이다. 상해 공항에 도착해 만난 가이드는 키는 작지만 당차보이는 여자분이었다. 간단히 인사를 하고 인원이 많은 관계로 두 대의 버스로 움직였으며 가이드도 2명이 함께 하였다. 상해에서 간단히 한식 점심식사를 한 후에 버스를 타고 3시간동안 이동하였다. 중국이 워낙 땅이 넓어 계속 상해인 줄 알았으나, 차는 이미 태호석의 고향인 무석(無錫)으로 들어와 있었다. 억누름과 펼침의 공간 첫 번째 답사지는 무석시의 서쪽에 있으며, 강남의 유명한 정원의 하나인 여원이었다. 여원은 정원의 면적이 약 2/5가 물로 이루어져 수경(水景)이 유명하며, 무석에서 태호석이 생산되어서 그런지 태호석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공간구성을 연출하고 있었다. 여원을 통해서 처음으로 중국의 강남정원을 접할 수 있었다. 태호석으로 이루어진 하얀 공간, 곳곳에 비밀통로와 수경관이 북방의 거대한 정원과는 달리 풍부한 볼거리로 가득찬 것이 강남정원의 특색인 것 같았다. 특히 태호석으로 만들어진 비밀통로가 시야를 누르고 펼쳐지는 중국전통기법으로 만들어져 재미와 신기함이 더해지는 곳이었고 여원 안을 돌아다니며 보물찾기를 하는 기분이었다. 중국 정원이 너무 넓고 시간이 많지 않아 깊은 감상은 어려웠으나 말로만 듣던 강남정원을 보는 시간이 즐거웠으며, 무더위에 타는 피부와 흐르는 땀이 의미 있게 느껴지는 시간이었다. 겨울같은 봄의 정원 여원을 감상하고 다시 버스에 올라 30분을 이동하여 매원에 도착하였다. 시간이 많지 않아 일부만 돌아봤는데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이 공존해 있는 곳이었으며, 우리가 갔을 때는 8월이라 매화꽃을 감상하기는 어려웠지만, 기회가 되어 매화꽃이 피는 봄에 온다면 넓게 펼져진 정원에 심겨진 매화나무 4천여주와 화분에 심겨진 2천여주의 매화나무가 장관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매원 안에 있는 전망대에 오르니 멀리 여원과 태호도 보이고 저녁때라 석양을 감상할 수 있었다.
  • 섬네일 테스트 2
    ㅌㅋㅊㅋㅌㅊㅊㅌㅋㅌㅊㅌㅋㅊㅋㅌㄴㅇㅁㄴㅇㅁㄴㅇㅁㄴㅇㅁㄴㄹㅇㄴㄹㅇㄴㅁㄴㅇ
  • 섬네일 이미지 테스트
    ㄴ어ㅏ링널ㅇ러ㅏ'ㄴ일ㅇㄹㅇㄴㄹㄴㅇㄹㄴㅇㄹ
  • ‘건축’과의 ‘나와바리’ 지키기
    조경과 건축, 토목 분야도 지금까지는 각자의 영역이 존재했으며 그것을 인정하고 협력하는 상호보완체계를 삼각구도형태로 유지해왔고, 서로의 전문성을 존중하고 연계하며 도시의 합리적 개발에 협조해 왔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최근 건축분야의 일들이 감소되면서 상대적으로 조경분야라고 여겨졌던 일들에 건축가와 건축사무소들의 활동이 적극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공공가로나 대중전용가로 등에 이름 있는 건축가들이 책임 디자이너가 되어 끝낸 프로젝트들이 몇 개나 되고 얼마 전에 발표된 마곡 워터프론트 개발사업 프로젝트가 근린공원에 속해 있었음에도 국제현상 공모에서 건축가들이 대상에서부터 상위권까지 싹쓸이 해버리는 진풍경이 나타났는데, 물론 이 프로젝트는 그나마 조경 등 관련 모든 분야에 참여가 가능했기 때문에 그나마 다행이었지만, 무주 태권도 공원 국제 지명현상 공모와 국립생태식물원 현상공도 등 당연히 조경의 전문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조경가나 조경 업체에서 참여조차 하지 못한 일도 발생했다. 이 시점에서 우리 조경인들은 냉정하게 현실을 파악하고 이성적으로 정부관련기관과 단체에게 한국조경사회나 학회 등에서 협력하여 정당한 질의나 항의를 통해 우리의 영역을 지켜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전기분야가 전기법을 제정하여 모든 건설 공사 발주 시 별도 발주를 법제화 했듯이 우리 조경분야도 이번 위기를 기회로 삼아 조경기본법 제정을 서둘러서 법적 지위를 유지하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학계, 관계, 업계가 하나가 되어 (재)환경조경발전 재단을 중심으로 힘을 뭉쳐야 할 것으로 본다.
  • 멕시코 몬테레이시 제3제철박물관(Museo del Acero Horno3 Monterrey)
    1986년 멕시코의 몬테레이시는 공장을 포함한 1.5ha의 상공업지역을 새로이 개척하기 위해 본 프로젝트를 계획하였고, Surfacedesign은 기능을 상실한 용광로 공장과 그 주변 지역을 강철생산과 관련된 역사기념박물관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Harari Arquitectura y Paisaje와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으며, 건축은 Grimshaw Architect에서 담당하여 21세기형의 모던한 스타일의 구조로 완성하였다. 주변 구조물들의 자재들은 현지에서 많이 활용하였다고 한다. 비를 저장할 수 있는 우수관리시설이 적용된 옥상녹화시설을 포함해 현대적인 정원설계에 신선한 시도를 한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부지 전체에는 과거 활발했던 공업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강철의 역사와 느낌을 볼 수 있도록 철로 제작된 갖가지 구조물들을 설치해 두었다. 또한 부지의 경계를 구분짓기 위해 작은 수로를 만들어 물이 흐르도록 하였는데, 건기에는 물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박물관 입구에는 철광석으로 제작된 프레임의 블록형태 구조물들을 연속적으로 배열하였고, 사람들이 다닐 수 있는 길은 철판으로 특수제작하여 설치하였다. Project Title _ Museo del Acero Horno3Client _ The City of Monterrey, MexicoLandscape Architects _ Surfacedesign Inc.+ Harari arquitectos Architect _ GrimshawAssociate architect(s) _ Oficina de Arquitectura, S.A. de C.V
  • Erman Residence
    Surface design은 정원을 예술적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부담감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따라서, 정원공간을 예술적으로 보다 돋보이게 하기 위해, 철로를 이용하여 움직일 수 있는 구조물로 스파 커버를 설치하였으며, 전체적으로는 조용하면서도 많은 관리가 필요치 않은 정원을 조성하는데 성공했다. 이 프로젝트는 ASLA 2007 Professional Awards에 선정되기도 했다. 2005년 여름, Surfacedesign은 클라이언트인 Mark Erman 씨가 샌프란시스코의 노 밸리(The Noe Valley, San Francisco)에 장만한 그의 집의 정원을 새롭게 조성해달라는 요청으로부터 프로젝트는 시작되었다. 이 정원은 25피트 너비, 50피트 길이의 공간이었다. 14피트에 이르는 펜스가 서쪽방향으로 지어졌으며, 집은 4층으로 뒤뜰이 잘 보이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었으며, 정원은 실제 보다 더 작고 아담하게 보일 수 있도록 설계가 되었다. 스파가 놓여진 곳부터 집까지 설계자들은 3가지 중요한 요소들로 정원을 구분하였다. 석재 테라스(Stone Patio)를 스파 뒷편에 있는 저녁식사를 즐길 수 있는 공간까지 연결하여 실내외 인테리어의 구분을 시각적으로 좀 더 확대하였으며, 그 이동공간의 가운데에는 규칙적으로 배열한 넓은 석판을 두었다. 20피트 높이의 작은 대나무숲을 조성하고, 부분적으로 잔디류(Mondo Grass)를 심어 봄의 새로운 생명력과 겨울의 크리스마스 트리와 같은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도록 했다. Location _ San Francisco, CaliforniaClient _ Mark Erman Landscape design _ Surfacedesign inc.Landscape Contractor _ 5 Elements DesignPhotography _ Jeremy Harris Photography
  • 독일 빙겐 정원박람회
    8월호의 독일 리트베르그 정원박람회와 9월호의 쇼몽 가든 페스티벌에 이어, 이번호에는 독일 빙겐 정원박람회를 소개한다.빙겐 역시 리트베르그와 마찬가지로 독일 정원박람회의 원칙에 충실해, 지역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 차원에서 정원박람회가 기획되었다. 독일 라인강 중류에 위치하고 있는 빙겐이 정원박람회 부지로 주목한 땅은, 과거 라인강을 오가는 선박들이 항구로 이용했으나 지금은 쓸모를 다해 새로운 손길이 필요했던 곳이다(예전에는 강의 수심이 깊지 않아 빙겐까지만 선박의 운행이 가능해 이곳 항구가 물류 수송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지금은 강폭도 넓어지고 수심도 충분하게 정비를 해서 물류 항구로서의 기능이 사라져 버렸다). 철도와도 연계된 부지에는 대형 창고들만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을 뿐, 이 땅이 가진 경관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는 전무했다. 바로 강 건너에 라인강의 진주로 불리는 뤼데스하임의 유명한 경사지 포도밭과 1871년에 이루어진 독일 통일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니더발트 고원의 게르마니아 여신 기념비, 철새 골목길 등이 있고, 인근에는 노래로도 유명한 로렐라이 언덕이 있어 수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음에도, 빙겐은 뤼데스하임과 주변의 활기를 강 너머로 옮겨오지 못한 것이다. 더구나 빙겐이 위치해 있는 라인강 중류는 로맨틱 라인으로 불리기도 할 정도로 경관이 아름다운 곳이고, 유람선도 정기적으로 운항하고 있어, 여러 가지 면에서 관광 잠재력이 큰 곳이다. 하여 빙겐은 정원박람회를 통해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고 인접한 관광자원을 활용해 관광거점도시로서의 변모를 꾀하는 한편, 지역주민들에게 강변을 되돌려주는 작업을 시도했다. “강변도시는 강변에서 시작한다”는 선언적 문구를 내세우며, “자연과의 공생, 문화경관의 창조”를 기치로, 강변 일대의 재정비를 실시해 도시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나가고자 한 것이다. 강변을 따라 정원박람회장이 구상되어, 대상지는 자연스럽게 선형의 구조를 띄게 되었다. 2.7km의 박람회장 부지(면적 24ha)는 처음부터 끝까지 강변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강변과 맞닿은 곳은 강 건너 풍경을 감상할 수 있도록 산책로가 꾸며졌고, 박람회 기간 동안에는 이색적인 볼거리들도 선보였다. 박람회 조성 전의 사진을 찍었던 위치에 과거의 사진과 현재의 달라진 모습을 비교해 볼 수 있도록 세워둔 프레임이나, 강 건너 경사지 포도밭 풍경을 이용한 그래픽 작업 등이 바로 그것인데, 이것들은 모두 강변에 대한 주목에서 시작된 것으로 관람객들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강 너머로 유도한다.
  • 하버드대 아놀드 수목원
    미국 최초의 공립 수목원이자 동시에 보스톤의 유명한 공원 중 하나인 하버드대학 아놀드 수목원(The Arnold Arboretum of Harvard University)이 있다. 보스톤 시민들에게는 그저 다양한 종류의 나무가 있고 여가를 자연과 함께 즐길 수 있는 관리가 잘된 평범한 공원으로 인식될 뿐이지만, 이곳은 목본류 식물학자에게는 세계최고의 연구환경을 제공하는 역사적인 수목원이다. 원래 하버드대 아놀드 수목원의 부지는 1842년 보스톤의 성공한 기업가였던 벤자민 벗시 (Benjamin Bussey, 1757~1842)가 우드랜드 힐(Woodland Hill)을 하버드대학에 기부하면서부터 설립의 발판이 마련되었다. 하버드대학교는 기부 받은 이 토지를 농업연구에 이용하기 위하여 1871년 농업대학 소속의 벗시연구소(Bussey Institute)를 이곳에 설립하였다. 이후 1872년 제임스 아놀드(James Arnold)가 농업과 원예학을 위해 사용해주길 희망하며 0.5㎢의 자신의 토지를 기부하면서 하버드 아놀드 수목원이 설립되었다. 이후 1973년 하버드대학의 교수 찰스 썰젼트(Charles Sprague Sargent, 1841~1927)가 수목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아놀드 수목원은 급속하게 발전할 기회를 마련하게 되었다. 수목원 관리의 편리성과 식물수집에 필요한 자금을 이유로 하버드대학은 1882년 아놀드 수목원의 부지를 보스톤 공원으로 편입시키고 그 토지의 소유권을 보스톤시로 이전시키게 된다. 이에 대한 댓가로 보스톤시는 아놀드 수목원의 치안관리와 도로 등의 인프라를 공원으로서 관리하게 되고 하버드대학은 식물채집, 수목의 전시 등 수목원의 전체적인 운영을 맡게 되었고 이로 말미암아 체계적 발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저 평범하고 평화로운 공원으로만 보이는 이 수목원은 놀랍게도 1900년대 초 아시아에서 식물을 채집하고 육종하고 계량하여 식물자원으로 만드는 식물유전자원 채집기지 역할을 하였다. 특히 아놀드 수목원은 수많은 아시아의 식물을 북미에 소개하였다. 이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메타세쿼이어'이다. 많은 사람이 메타세쿼이어의 원산지를 중국이 아닌 미국으로 알고 있는 것도 중국에서 발견된 메타세쿼이어가 하버드대 아놀드 수목원으로 보내진 후 아놀드 수목원에 의해 보급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북미대륙에 심겨져 있는 수많은 메타세쿼이어는 1948년 중국에서 하버드대 아놀드 수목원으로 보내진 메타세쿼이어를 당시 수목원장이었던 Elmer Merrill박사가 메타세쿼이어 보급운동으로 종자와 꺾꽂이 형태로 세계적으로 보급한 결과이다. 당시 도입된 메타세쿼이어는 아직도 아놀드 수목원의 정문에 심겨져 있으며 아놀드 수목원의 로고도 사용되고 있다.
  • 유비파크 (Ubi Park)
    경기도 파주 운정 택지개발지구 내에 위치한 Ubi Park는 ‘어린 왕자’를 중심 컨셉으로 하여 자연, 그리고 인간이 함께 하는 공원을 꿈꾸며 친수환경의 생태도시 구현과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의 첨단정보 기능을 도입하여 첨단 도시를 접하고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편리한 환경과 깨끗한 도시, 두 가지를 동시에 꿈꾸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 또한 레스토랑, 카페, 기념품 샵 등의 시설이 들어서 있어 관람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Ubi Park 체험관Ubi Park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문화 및 전시시설 건물로서, 지하 1층ㆍ지상 2층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지붕은 만곡선의 형태로 한국적인 유선형의 대지형태를 상징하고 있으며 지붕위에는 구(球)형태의 조형물이 위치하여 있다. 또한 건물자체가 와동저수지에 반쯤 걸쳐있으면서 수면 위에 떠있어 보이는 독특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체험 공간인 홍보관의 안으로 들어가면 언제 어디서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해주는 RFID 방식의 유비카드(Ubi-Card)를 발급받아, 360도 서클영상관 ‘Ubiquitous is...’, 'Good Morning PAJU', 'G&G Street', 'U-house', '휴먼시아 영상관' 등을 통하여 도시의 미래생활을 경험할 수 있다.물의 노래계단식 구조로 만든 야외 공연장인 ‘물의 노래’는 객석의 곳곳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공연중에 객석으로 물이 흐르게 하여 환상적인 분위기를 선사한다. 거꾸로 하우스거꾸로 하우스는 “집은 편안해야 한다”는 기존의 가치를 뒤집어 집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가져보는 공간으로, SBS 방송 프로그램 세트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조성한 공간이며 종영된 후에도 많은 관람객들이 찾아 오고 있다. 이 집은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집의 외관이 모두 거꾸로 되어 있으며 항상 움직여야만 살 수 있도록 맞춤 설계된 공간이다. 위치 _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야당리 325번지 운정 택지개발지구 내대지면적 _ 약 496,909㎡조경면적 _ 약 136,426㎡발주 _ 대한주택공사조경설계 _ 동인조경마당시공사 _ 화승건설(주)조경식재 _ (주)호벤조경시설물 _ 다원조경(주)공사기간 _ 2006년 9월~2007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