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셉테드 디자인의 적용사례(2): 시흥 군자 배곧 신도시 중앙공원을 중심으로
    CPTED 인증을 추진하고 있는 배곧 신도시송도 신도시와 마주하고 있는 시흥 군자 배곧 신도시는 경기 서부권 개발가능지의 최후의 보루이자 서해의 시화공단, 오이도, 월곶, 소래철교, 천혜의 소래염전 갯골생태습지를 안고 있는 시흥시 정왕동 일원의 부지면적 4,907,148㎡에 이르는 대규모 개발지역이다. 이곳에 전체의 21.9%가 주거 및 주상복합용지로 개발되고, 주택 19,600가구가 건설돼 51,000명의 인구가 거주하게 된다. 상업, 교육 및 의료복합, 연구 R&D, 도시지원시설 등이 약 1,700,000㎡(34.5%)로 계획되며, 공원녹지는 약 1,170,000㎡(23.8%)로 주민참여형 친환경 녹색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또한 배곧 신도시는 Open Campus, Medical City, Zero City, U-City, Barrier Free City 등 5대 전략을 통해 자족도시로 계획되었고, 특히 주거민의 생활과 아이들의 생활안전을 위해 범죄를 예방하는 환경설계와 디자인 기법(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을 도입하고 있다.
  • 셉테드 디자인의 적용사례(3): 주거단지를 중심으로 - 계양 센트레빌, 신동탄 SK VIEW 파크
    2005년 9월 경찰청에서는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계획(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발표한 바가 있다. ‘CPTED’란 주거 환경설계에 방범개념을 도입하여 범죄와 범죄에 대한 주민들의 두려움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 모든 사람들이 범죄없는 환경에서 편안하고 행복한 삶을 사는데 기여한다는 개념으로서, 1960년 초 미국의 사회학자인 제인 제이콥스(Jane Jacob)에 의해 최초로 제기되었다. 1970년대 범죄통제능력을 상실한 대규모 고층 공동주택을 철거1)하면서 주거환경과 범죄 방지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증폭되었고, 오스카 뉴만(Oscar Newman)에 의해 구체화 되었다. 국내에서도 1기, 2기, 3기 신도시, 뉴타운, 재개발, 행복도시, 기업도시, 혁신도시 등과 같은 도시개발사업이 지속적으로 계획되고 진행되었지만 도시개발 후 만들어지는 도시공간과 그러한 공간에서 발생하는 범죄와의 관련성에 대한 고려가 전무한 채 진행되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더구나 민간사업 주도로 진행되는 국내 공동주택의 개발사업의 경우, 최소한의 법적인 제한사항2)만 만족시키는데 그치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국내 강력범죄 발생건수가 해마다 급증하고, 특히 여성3)과 아이들4)을 대상으로 한 범죄의 증가율은 심각한 상황에 비춰볼 때 단순히 법적 요건의 만족만으로는 거주자의 안전을 담보하기에는 어려운 현실이다. 계양 센트레빌계양 센트레빌의 셉테드 적용 내용을 살펴보면, 주동의 배치를 고려한 보안등 및 CCTV 설계, 시야가 확보된 수목의 식재계획 등 사각지역이 없는 최적의 보안 설계가 적용이 되었다. 지상에는 적외선 방범로봇(센트리)과 지하주차장에는 비상콜과 연계된 회전형 CCTV를 통해 단지 내 안전을 강화하며, 건물의 모든 입구에 RFID 보안 시스템을 구축해 외부인의 출입을 차단하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는 이상 징후 등 위급사항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시스템이 구축되며, 세대 내 현관문과 발코니 센서는 외부 침입시 경비실뿐만 아니라 지정된 번호로 SMS가 자동으로 전송된다. 단지 내 이동과 시설 이용에 있어서 보행자가 편안하고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아파트 입구에서부터 각 동의 출입구까지 연결되는 보행구간의 경사를 최소화하고, 주민공동시설 등 단지 공동시설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보행자 전용 엘리베이터를 계획했다. 지하주차장은 전체 주차구획을 10~20cm까지 넓혀 누구나 편안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설계 했으며, 주차 후 각 동의 출입구까지 차로와 분리된 보행자 안전통로를 계획했다. 신동탄 SK VIEW 파크지능형 영상감지 솔루션 _ VMS친환경 단지 계획과 함께 범죄예방설계(CPTED) 인증을 받은 ‘신동탄 SK VIEW Park’는 단지 내에 최첨단 CCTV 분석시스템인 지능형 영상감지 솔루션(VMS)을 도입하여, 단지 내 CCTV영상을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분석해 피사체의 특이행동을 화면과 경보음으로 즉각 알려주는 최첨단 시스템을 통해 입주민의 안전을 책임지게 된다. 외부 조경계획은 휴게, 놀이, 운동, 문화 및 예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5개 테마로 조성하였는데 이 테마공간 속에서 자유롭고 즐겁게 이용 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무엇보다 입주민들의 안전을 고려한 범죄예방설계(CPTED)를 도입하여 안전한 외부 공간을 조성하였다.
  • 포토페이크photo-fake의 조건: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의 이미지 컷 분석
    몇 장의 이미지를 비교하면서 글을 시작하고 싶다. 하나는 베를린 다다Dada를 이끈 존 하트필드John Heartfield의 <슈퍼맨 아돌프가 황금을 삼키고 오물을 뿜어내다>이고 다른 하나는 초현실주의자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의 <파리 오페라>이다. 그림설명에서 읽혀지듯이 하트필드의 작품에는 정치적 비판 의식이 표출되어 있다. 그리고 마그리트의 작품은 무의식의 영역인 꿈을 재현하고 있다. 두 이미지가 전달하는 내용은 표현 방법을 통해 가시화된다. 하트필드의 것이 사진 이미지를 자르고 왜곡하고 붙인 자국과 이미지가 붙여진 빈 바탕을 드러내는 반면 마그리트의 것에는 이러한 조립 흔적이 봉합되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마그리트의 이미지에서 파리에 있는 오페라 건물과 익명의 목가적 자연 풍경은 우리의 인식에서 좀처럼 공존하기 힘들다. 그래서 우리는 이 이미지를 현실 세계의 사건으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인식의 차원에서 오페라 건물과 목가적 풍경 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간극이 존재한다. 나는 앞의 이미지를 ‘가시적 간극을 갖는 몽타주’라고, 뒤의 것을 ‘비가시적 간극을 갖는 몽타주’라고 부르고 싶다. 이 구분의 경계는 유동적이고 느슨할 수 있지만 두 이미지 모두 인식의 차원에서는 그것이 보이든 보이지 않든 간극을 지니고 있다. 조경 설계 과정에서 생산된 두 컷의 이미지를 이 분류에 대응시켜 보자. <그림 3>은 다운스뷰파크 설계경기에서 코너James Corner와 알렌Stan Allen의 제안에 삽입된 이미지로서 사진을 잘라 조립한 자국이 선명하게 드러나기에 가시적 간극을 갖는다. <그림 4>는 같은 설계경기에서 츄미Bernard Tschumi의 제안에 포함된 이미지인데 여기에는 표면적으로 왜곡도 없고 찢긴 자국 또한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미지를 구성하는 디지털과 야생은 현실 세계에서는 좀처럼 공존할 수 없고 안전장치 없이 코요테가 서성거리는 상황은 일상의 풍경이 아니기에 우리는 이 이미지를 가상의 장면처럼 인식한다. 말하자면 이 이미지에는 보이지는 않지만 인식적 차원의 간극이 존재하는데 필자의 분류에 따르자면 이 이미지는 비가시적 간극을 갖는 몽타주에 속한다. 간극 없는 몽타주=포토페인팅=포토페이크‘간극이 없는 몽타주’도 있다. 여기에서 ‘간극 없는’이란 말은 ‘비가시적’이라는 말과는 다르다. 비가시적 간극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으나 각 이미지들의 이질적 속성 덕택에 우리의 인식에서 균열을 일으킨다. 반면 간극 없는 몽타주는 간극이 보이지 않을 뿐더러 인식의 차원에서도 이물감이 들지 않아 현실 세계를 박은 한 장의 사진으로 받아들여진다. 간극 없는 몽타주는 비판적・창조적 의식이 잠입할 틈새를 허용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몽타주 고유의 속성이 없다. 간극 없는 몽타주는 오히려 회화에 가깝다. 간극 없는 몽타주는 사진 이미지에 안료를 덧칠하여 한 폭의 회화와 닮고자 했던 사진의 초기 역사의 픽토리얼리즘pictorialism, 소위 회화적 사진의 전통을 연상시킨다. 나는 간극 없는 몽타주를 ‘포토페인팅photo-painting’이라 부르고 싶다. 보이는 간극은 컴퓨터 도구로 몇 번의 붓질이라는 마법을 행하면 사라지고, 보이지 않는 간극은 이미지의 선택 단계에서 우리의 인식에 균열을 일으키지 않는 것들로만 선택되면서 애초에 생성될 가능성이 제거된다. 포토페인팅은 이렇게 가시적・비가시적 간극들을 지워내 우리의 비판 능력을 순치시키는 이미지의 제작 방식을 말한다. 포토페인팅은 ‘포토페이크photo-fake’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페이크는 이미지를 왜곡하거나 과장 혹은 축소하여 우리의 시각을 교란시켜 발생하는 가시적 차원의 속임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포토페이크는 인식적 차원의 속임수를 말한다. 가시적・비가시적 간극이 있는 몽타주를 바라볼 때 간극은 그 이미지가 한 장의 이미지로 인식되는 것을 방해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여 우리는 그 이미지가 현실 세계가 아니라고 믿는다. 반면 우리는 간극 없는 몽타주를 인식상의 균열 없이 현실 세계를 포착한 한 장의 이미지로 받아들이는데, 이 과정에서 이미지는 그것이 현실 세계라고 믿게 한다. 이것이 내가 말하려는 포토페이크이다. 간극 없는 몽타주는 현실 세계의 모조품fake으로 그것이 현실이라고 우리를 속인다fake. 다양한 시점을 보여주고 여러 시간대가 공존하여 잠재적 의미를 만들어내는 몽타주의 근본 계기들이 간극 없는 몽타주에는 없다. 진정한 몽타주는 사라져가고 있다. 나는 최근의 조경 설계에서 제작되는 이미지가 포토몽타주에서 포토페인팅으로 이행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설계 과정에서 몽타주가 담당했던 역할인 창조적 매체이자 사유의 도구라는 생성적 기능은 다이어그램이나 드로잉의 편으로 옮겨졌다. 다이어그램과 드로잉은 몽타주의 속성을 차용하거나 몽타주의 재료인 사진과 혼성되고 있다. 대신 포토페인팅 기법으로 만들어진 이미지 컷은 우리의 비판적인 혹은 창조적인 인식 기능을 마비시키고 만들어질 공간의 사실 정보와 분위기를 예시하기 위해 평면도를 설명하는 소모적 이미지로 복무한다. 이 이미지의 목적과 기능이 본래 그러했다고 말하는 편이 적절한 진단일지도 모르겠다. 사실 이미지 컷은 설계가의 머릿속에 부유하는 상상적 공간이라는 관념 덩어리를 시각적으로 충실히 재현하여 고객에게 전달되기만 하면 되었다. 설계가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이미지 컷의 역할, 이를테면 설계 프로세스에서의 효용성이나 고객의 성향과 부합하는 이미지가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논할 능력이 내게는 없다. 이런 계열의 문제는 이미 김아연, 정욱주가 다른 지면(『환경과 조경』, 제257・262호)에서 통찰하였다. 나는 여기에서 내가 이미지 컷을 이해하는 방식인 포토페이크의 작동 조건, 다시 말해 이미지 컷이 생산되고 수용되는 과정을 말하려 하고 이해를 돕고자 지난해 개최된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의 이미지 컷 몇 장에 주석을 달아 보았다.
  • 청평 오로라연수원
    Aurora Training Institute 북한강 지류며 놀라운 경관을 제공하는 청평호수를 내려다보며 하나님께서 만드신 창조물의 위대함과 아름다움을 마음껏 누릴 수 있는 곳에 연수원이 자리 잡고 있다. 주변 인접지에 배치되어 있는 기존 주택들과는 규모나 외장재 마감이 주는 감동이 남다른 것 같다. 하루 24시간 내내 다른 모습을 그리는 청평호수의 짙푸른 청록의 수면, 그리고 푸르다 못해 빛이 나는 중첩된 산의 숲들이 인간의 연약함과 겸손함을 깨우치게 한다. 연수원은 전정이 위치한 남동향에서는 3층이지만 북서향에서는 2층으로 지형의 고저차를 고려하여 디자인했고, 웅장하고 강력한 주변의 자연경관에 맞서는 조경이 아닌 그 경관을 끌어들이는 ‘비움의 조경’, 즉 차경을 통해 공간의 양과 음, 대와 소, 극대비의 조경기법을 사용하게 되었다. 우리 선조들이 마당을 비워 자연의 경관을 정원으로 삼은 것처럼, 또한 건축의 웅장함에 겸손한, 그런 조경을 하고 싶었다. Landscape Architecture _ CTOPOSLandscape Construction _ CTOPOSArchitecture _ Fill ArchitectureArchitecture Construction _ Fill ArchitectureLocation _ Hoegok-ri, Seorak-myeon, Gapyeong-gun, Gyeonggi-do, KoreaArea _ 1,000㎡Completion _ 2012. 11Photograph _ Choi, Shin HyunEditor _ Park, Ji HyunTranslator _ Ahn, Ho Kyoon Looking down at the beauty of the river and the sparkling waters of the lake, the training institute is standing surrounded by the landscape impressive enough to remind us of how great God’s creation is. It is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neighboring buildings in size and choice of claddings. The lake, whose calm and clean waters create different impressions in every moment, and the forests on the mountains lead us to think of how humble and vulnerable we are. The training institute is 3 stories tall looking to the southeast while 2 stories tall facing the northwest. The building was designed to be naturally integrated into the surrounding landscape, rather than to be standing out against it. This method could be understood as the landscape architecture of emptiness, which focuses mainly on the vivid contrast between yin and yang, and big and small. It can be traced back to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where our ancestors created the front garden of the void to fully enjoy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s their private landscape. Following this tradition, I hoped to develop a landscape architecture of humble character.
  • 석파정 및 서울미술관
    Seokpajeong and Seoul Museum 석파정은 흥선대원군의 별서로 이름 높은 곳이다. 이곳은 본래 조선 철종과 고종 때의 문신이며 영의정을 지낸 김흥근1796~1870의 별서였다. 석파정 초입의 큰 암반에 한수운렴암閑水雲簾庵, 물과 구름으로 발을 쳐서 한가한 시간을 보낸다이라는 글귀가 있어 김흥근 이전에도 별서공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매천야록』에는 대원군이 이 별서를 탐내어 팔라고 했으나 김흥근이 듣지 않자, 아들 고종과 함께 이곳에서 하루를 묵은 뒤 별장을 차지했다고 나온다. ‘임금이 묵고 가신 곳에 신하가 살 수 없다.’는 것이 당시의 정서였기 때문이다. 이후 흥선대원군은 이곳의 이름을 석파정이라 바꾸고, 자신의 호도 석파로 정했다. 당시 석파정은 안태각安泰閣, 낙안당樂安堂 등 모두 8채의 집으로 크고 장중하게 구성되어 대원군의 위세를 과시했다. 대원군 사후 그의 후손들이 승계하여 소유하다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성 콜롬비아병원결핵요양소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1960년대부터 1996년까지 소유가 자주 바뀌면서 오랫동안 관리 부실로 폐허나 다름없던 공간을 석파문화원이 2006년에 인수한 후 4년의 인허가와 설계, 2년간의 시공을 거쳐 2012년 서울미술관의 부속공간으로 거듭났다. 석파문화원은 유니온약품그룹 안병광 회장이 운영하는 문화재단이다. 안 회장은 평소 문화, 예술, 조경에 많은 관심을 가졌는데, 소중한 문화유산이 방치되어 폐허가 된 것에 안타까움을 느껴 인수한 후 미술관을 건립했다. Landscape Architect _ Cho, Han SookLandscape Construction _ buseokwonLocation _ Buam-dong, Jongno-gu, Seoul, KoreaArea _ 38,261㎡Completion _ 2012. 12Photograph _ Lee, Hyeong Joo + Choi, Hyun CheulEditor _ Oh, Jeong HakTranslator _ Hwang, Ju Young Seokpajeong is well-known as the Byeolseo(suburb villa) of Heungseon Daewongun(regent of King Gojong). It was originally a Byeolseo owned by Heing-geun Kim(1796-1870), a courtier and prime minister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period of King Cheoljong and King Gojong. A large rock carved with Chinese characters meaning “Spending leisure hours by drawing a curtain of water and cloud” located at the entrance suggests its long history as a Byeolseo. According to Maechonyarok(collection of Maecheon's works), Daewongun was very fond of this Byeolseo and asked Kim to sell this. When refused, he spent a night with his son King Gojong and took this Byeolseo. At that time, people thought that ‘a retainer cannot live where his king have slept.’ Heungseon Daewongun named this Seokpajeong and made his pen name Seokpa. Then, Seokpajong boasted its majestic composition of 8 houses including Antaegak and Nakandang. After the death of Heungseon Daewongun, his descendants inherited it, and was once used as Saint Columbia Hospital(sanatorium for tuberculosis). Frequent changes of owner during 1960 to 1996 caused poor maintenance. But four years of licensing procedure and design, and two years of construction since the acquisition by Seokpa Culture Center in 2006 made this an annex of the Seoul Museum. Seokpa Culture Center is a cultural foundation owned by Byeong-gwang Ahn, the CEO of the Union Pharmacy Group. As an amateur of culture, art and landscape architect, he felt sorry for the ruined status of the cultural heritage, and took over it to make an art museum.
  • 조경의 경계를 넘어: 조경의 영토를 넓혀나가는 주목할만한 조경가 12인(7)
    The Forefront of Landscape Architecture 12 Innovators Opening New Horizons of the Field 최근 도시는 물론이고 사람들의 발길이 잦지 않았던 시골 마을까지 전 국민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는 이슈 중 하나가 이른바 ‘걷기’이다. 서울시를 비롯해 전국의 지방 소도시까지 ‘걷고 싶은 길’을 명소로 만들고 있고, ‘둘레길’, ‘올레길’ 등 ‘걷기’를 테마로 한 관광 상품들도 앞 다투어 등장하고 있다. 과거 좋은 도시를 지칭했던 ‘아름다운 도시’, ‘살기 좋은 도시’ 등 수많은 상징적 표현 가운데 이제 ‘걷고 싶은 도시’가 도시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대세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 ‘걷고 싶은 도시’일까? 임승빈 교수(서울대학교 명예교수)는 최근 라펜트에 연재하고 있는 ‘도시사용설명서’에서 “걷고 싶은 길은 걷기 편안하고 매력적인 경관을 가지며, 이제는 보행자의 권리를 찾아야 할 때이다.”라고 주장하며 “우리는 차량에 대한 열렬한 사랑을 이제 떠나보낼 때가 되었고, 조금 불편하더라도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쾌적한 도시환경조성과 건강증진에 기여한다는 인식이 보편화되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하지만 임 교수님의 주장에는 미흡하게도 진정한 의미의 ‘걷고 싶은 도시’ 만들기는 아직도 해결해야할 숙제가 많다. 한때 차량들로 인해 보행자들이 지하터널로 건너야 했던 대한민국의 상징, 광화문 광장에도 횡단보도가 생겨나고 보행 중심의 광장으로 재탄생하며 도시의 풍경이 바뀌어 가고 있지만 여전히 ‘보도블럭 깔기’와 ‘광장 만들기’에 그치는 ‘물리적 보행환경’의 개선에 머무는 수준이다. 참의미의 ‘걷고 싶은 도시’를 위해서는 이와 같은 잘 정비된 하드웨어와 더불어, 거리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활동들을 수반할 수 있는 문화적인 소프트웨어 또한 중요하다. 또 무엇보다 애착을 가지고 도시와 거리를 걸으며 가꾸려는 사람들 자체의 노력 또한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자동차가 아니라 사람이 주인인 도시, 장애인과 노약자들이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공존의 도시, 차를 타는 것보다 걷는 게 오히려 편리한 도시,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즐겨 걸으며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이 결국 현대도시의 매력과 경쟁력을 되살리는 길일 것이다. 이번호에서는 미국에서 20여 년에 걸쳐 스마트성장과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해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최근『Walkable City걷기 좋은 도시』를 저술하는 등 탁월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조경가 제프 스펙Jeff Speck을 소개하고 최근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 ‘걷고 싶은’ 도시의 발전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1. 대규모 도시설계(Large Scale Urban Design) _ Signe Nielsen 2. 해일에 대비한 갯벌 및 해안 생태 공원(Salt Marsh Design) _ Susan Van Atta3. 좁은 도시면적을 이용한 레인가든(Stormwater Treatment) _ Mayer Reed4. 도시의 빗물관리를 위한 그린 인프라스트럭처(Green Infrastructure) _ Nette Compton5. 국가도시공원 조성의 성공적 모델(Downsview Park) _ David Anselmi 6. 생태복원, 재생 디자인(Ecological Restoration) _ Keith Bowers7. 걷기 좋은 도시 만들기(Walkable City) _ Jeff Speck8. 조경 이론(Urban Design and Landscape) _ Witold Rybczinski9. 에너지 경관 및 시민 참여(Renewable Energy Plant & Community Design) _ Walter Hood10. 탄소제로 및 친환경 소재(Life-cycle Design and low-impact material) _ Michael McDonough Partners11. 친환경 주거정원(Sustainable Residential Design) _ David Kelly, Rees Roberts Partners12. 대규모 도시옥상농업(Urban Rooftop Farming) _ BEN FLANNER, Brooklyn Grange 제프 스펙(Jeff Speck) Speck & Associates사 대표, 미국 도시계획사, 미국 조경가협회 명예회원 걷기 좋은 도시(Walkable City)의 선구자제프 스펙은 윌리엄스 칼리지에서 미술사와 경제학 전공을 수석 졸업하고, 이태리 플로렌스의 시라큐스대학 분교에서 르네상스 건축사를 전공했으며, 하버드 건축대학원을 우수하게 졸업하였다. 이후 10여 년간 Duany, Plater-Zyberk & Company(DPZ)의 타운플래닝 디렉터를 역임하였으며, 2003~2007년 동안 미국 국립예술기금의 디자인 디렉터로 임명되어, ‘도시디자인을 위한 시장 협의회’를 이끌었으며, ‘커뮤니티디자인을 위한 주지사 협의회’를 창설하였다. 현재는 Speck & Associates사를 설립해 주로 저술, 강연, 공공기관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를 통해 활동하고 있으며, 스마트성장과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해 주로 관료집단과 부동산 개발기업에 대한 자문을 맡고 있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매사추세츠 로웰시의 다운타운 계획, 6개 도시의 워커빌리티(걷기 좋은 정도)에 대한 비교 연구, 롱아일랜드 바빌론의 대중교통 위주 타운 계획, 오클라호마시티의 다운타운 50개 블록의 거리환경을 개선하는 프로젝트 180 등이 있다. 『메트로폴리스』매거진의 편집기자를 맡고 있으며, 미 국토방위국의 지속가능성 추진본부의 자문을 맡고 있다. 안드레스 두아니, 엘리자베스 플래터자이벅과 함께, 「Suburban Nation: The Rise of Sprawl and the Decline of the American Dream, The Smart Growth Manual」을 공동 저술했으며, 최근『Walkable City: How Downtown Can Save America, One Step at a Time』을 출간했다. Q. 걷기 좋은 도시는 곧 지속가능한 도시라 할 수 있습니까?A. 세 가지 측면에서 그렇습니다. 경제학자 크리스토퍼 레인버거와 에드워드 글레이저가 주장하듯, 걷기 좋은 도시는 우수한 인력들을 끌어오는 힘이 있습니다. 도시별 특허 출원의 수에 대한 연구결과는 창의성과 걷는 도시의 연관성을 증명합니다. 한편, 공중보건학자인 딕 젝슨이 주장하길, 걷는 도시는 비만과 교통사고, 천식 등을 줄임으로써 사망률을 낮추고, 사회 전반적인 의료비용을 낮춘다는 결과를 보고한 바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환경저술가인 데이빗 오웬은 이제까지 통념적으로 알려져 있던 도시와 공해 배출량의 연관성에 대한 관점을 뒤집으면서, 미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인구 밀도가 낮아질수록 개인별 탄소배출량이 오히려 늘어남을 극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실제로 뉴욕 맨해튼 사람들은 미국의 1920년대 배출량에 머무르고 있을 정도로, 개인별 화석연료 소비가 적습니다. 결론적으로, 걷기 좋은 도시는 국가를 부유하게 만들고, 시민을 건강하게 하며, 지구 환경을 덜 파괴합니다. Q. 센트럴파크, 하이라인과 같은 도시 어메니티가 있고, 걷거나 대중교통을 통해서 출퇴근하고 일을 보는 것 자체가 미국의 일반 대중은 상상할 수 없는 사치 항목일지도 모릅니다. 걷기 좋으면서 쾌적한 도시 환경이, 중저층도 누구나 살 수 있을 정도로 저렴해질 수 있을까요? 걷기 좋은 도시가 되려면, 거기에 합당한 밀도를 공급하는 고층아파트가 필수적이지 않을까요?A. ‘걷기 좋은 도시는 비싸다.’는 문제점을 제기하는 사람들은, 미국 도시 중에서 극히 일부라고 할 수밖에 없는 사례를 들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도시들은 이미 예전부터 걷기 좋은 도시들입니다. 맨해튼이나 샌프란시스코에 사는 미국인의 수는 얼마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아이오와의 시더래피드라든가, 매사추세츠의 로웰과 같은 중소규모 도시에 절대 다수가 거주합니다. 그런데 이런 도시들에서 나타나는 문제는 도시중심부에 주택이 드물거나, 저소득층 주거건물이 지나치게 많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시장 가격에 맞춰진 주택이 보다 많이 공급되어야 하고, 주택고급화가 이슈화되기 전까지는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고층 주택이 물론 걷기 좋은 환경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층건물을 옹호하는 사람들은 5층짜리 건물로 이루어진 지역이 얼마나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확실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도시 중심부의 밀도를 저해하는 요인은 건물의 높이가 아니라, 법정 주차대수에 대한 규정입니다. Q. 걷기 좋은 도시라는 관점에서, 성공적인 도시 오픈스페이스는 어떤 형태라고 생각하십니까? 또 걷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데 있어 조경가의 역할은 무엇이인가요?A. 미국의 경우에, 걷기 좋은 도시를 위한 이상적인 오픈스페이스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교통과 갓길 주차, 그리고 적절하게 계획된 자전거 시설물 등입니다. 여기에 추가적인 광장이나 플라자 등은 유용하긴 하지만, 명확한 공간감을 잃을 정도로 규모가 커진다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습니다. 건물의 벽면 높이와 도로 폭 간의 비율 또한 중요하고, 지나치게 넓어진다면 사람들이 기피하는 장소가 됩니다. 광장이란 딱 그곳을 맞대고 서 있는 벽면의 높이만큼만 유익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조경가들이 이런 좋은 공간을 만드는 과정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외부 환경에 대한 장식가의 역할만을 수행합니다. 수목은 부적절하게 정의된 도시 공간을 개선하는데 놀라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조경가들은 수목을 장식적으로 활용하는데 그치지 말고, 뚜렷한 공간감을 창출하는데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 최신현 _ (주)씨토포스 대표
    Choi, Shin Hyun조경건축가와 건축가얼마 전 반가운 소식을 접했다. 조경가가 건축을 한다는,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조경가가 건물을 설계하고 있다는 뉴스였다. 유치한 이야기지만 건축가가 찍을 수 있는 준공도장은 조경가는 할 수 없다는 설움에 살지 않았는가. 또 마음 한편으로는 조경가들은 조경과 건축의 상생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우리는 얼마나 건축을 이해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물음도 들었다. 이 소식의 주인공은 (주)씨토포스의 최신현 대표이다. 디자인이 천직이라고 말하는 그는 조경이 하는 건축은 주변 경관을 배려하는, 현재 매스를 빈 공간에 들이대는 건축과는 많이 다를 수 있다는 시사성을 던진다.최신현: 고등학교 시절 내가 살 집의 건축디자인도 직접 할 정도로 건축 등의 디자인에 관심이 무척이나 많았다. 그러던 중 미국에 계신 부친의 지인이 조경이란 분야를 나에게 이야기를 해주었는데 그게 너무나 좋았고 설렜다. 그때부터 조경이 하고 싶었다. 건축에 대한 관심이 많았던 만큼 조경에 대한 관심도 점점 커졌고 건축과 주변 경관을 아우를 수 있는 것이 조경인 것을 알게 되었고, 그렇게 조경이 다루는 범위를 알고 난 뒤 조경학과 진학을 결심했다. 정말 즐겁게 캠퍼스 생활을 했다. 특히나 디자인 과목은 더 열심히 했고, 건축이나 토목과의 수업도 들을 정도로 열정적으로 빠졌던 것 같다. 조경과 건축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그 생각으로 대학 때 건축학과의 수업은 거의 다 수강했다. 조경실무에 나와서 건축분야와 협의할 때도 관련 분야를 잘 알고 접하니 수월했다. 일을 하면서 건축 안을 항상 제시하고 있으며, 큰 건축사사무소와 일할 때도 주로 초기부터 함께 디자인하자고 제안한다. 몇 년 전 미국의 유명한 IDA라는 회사와도 협업에서도 내가 건축배치를 잡기도 하고, 그 프로젝트가 공모에 당선되기도 했다. 그동안 해왔던 작업들 모두 건축가에게 일방적으로 맡기지는 않았다. 건축가들과 협업을 해보면 주변 경관과 어울리는 디자인이 아니라 자신의 건물이 돋보이는 디자인을 많이 하는 편이다. 하지만 환경에 따라 디자인은 달라져야 한다. 도시에 건축물이 들어서더라도 도시의 맥락에 맞추어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오랫동안 살아온 선조들의 마을을 보면 튀는 건물이 없다. 배치와 형태가 조금씩 다를 뿐이다. 주변 환경과의 통일성이나 조화로움을 담는 것이야말로 선조들의 지혜가 닮긴 디자인이고 삶의 디자인이다. 그런데 어느 날부터인가 갑자기 도시 안에 잘난 건물들이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서로 잘 낫다고 경쟁구도의 모습을 띠고 있다. 그런 현상을 보면서 주변과 어울리고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이 기준이 되어 건축물이 조성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공원 안에 들어서는 건축물은 이용자들에게 편안하고 공원과의 조화에 있어 그리 튀지 않고 세련되게 들어가야 한다는 기준으로 다루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공원에 들어가는 모든 건물디자인은 대략적이나마 schematic 디자인은 해왔다. 혹은 건축가가 그렇게 하도록 가이드라인 등을 제시하기도 했다. 북서울꿈의숲도 그랬고 동탄신도시 등이 그 예이기도 하다. 그런 연장선상에서 건축 석사과정에 입학했고, 예건(대표 노영일) 측의 요청으로 예건 사옥을 디자인하게 되었다. 그간 협업이나 공원디자인 과정에서 건축설계는 해왔지만 건축공종으로 수주해서 디자인과 시공을 한 것은 첫 번째이다. 건축물도 매스만을 다룰 것이 아니라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 노영일 대표는 일반건축가와 조경건축가가 어떻게 다른지 알고 싶다고 말하며, 조경이 하는 건축이 차별화 된 것을 보여주길 기대한다는 의사를 전달해왔다. 그렇게 시작하게 되었다. 조경과 건축이 디자인 초기부터 맞물려 계획한다면 건물과 공간이 서로 섬길 수 있는 디자인이 도출될 수 있다. 예건사옥도 그런 의미에서 접근하고 있는데, 공장 안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어떤 욕구가 생길까, 일하면서 잠깐 눈을 돌리면 창을 통해 바깥의 아름다운 정원을 바라볼 수도 있고, 또 멀리가지 않아도 아름다운 경관을 바라보며 테라스에서 쉴 수 있는 공간을 바라지 않을까, 출퇴근하면서 늘 정원을 바라보면 좋겠다, 자기만의 업무공간에서 벗어날 때만이라도 주변 경관을 바라보면 좋겠다는 등 이용자의 입장에서 고민을 했다. 건축가 보다는 조경건축가가 조금은 주변 경관을 바라보지 않겠는가.이런 성격이 잘 드러난 곳이 바로 ‘전통공간(오래된 전통마을 등)’이다. 일시에 디자인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경험이 계속해서 축적하여 나온 디자인의 결정체이다. 선조들은 집을 한 채 짓더라도 원래 있던 주변 자연과 아주 친밀하게 만들어냈다. 낯선 건물 하나를 공간에 이입하는데 있어 더 화려하거나 웅장한 건물이 아니라 인근 환경과 동화하려고 했던, 그 스며들 것 같은 친밀한 디자인이 가슴에 와 닿았다. 동시대에 살아가는 우리는 지금 ‘전통공간’을 통해 축적된 디자인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만큼 실수가 없는 디자인이 있을까. --------------------------------------------------------------------조경가 최신현은 현재 (주)씨토포스 대표이사로, 현재 서울시 공공조경가 그룹의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조교수를 역임한 바 있으며, 한국조경사회 수석부회장직을 수행하며 조경분야 권익 발전에 힘쓴바 있다. 디자인 한 서서울호수공원이 ASLA에 수상하며 세계적 조경가 반열에 오르기도 했다.
  •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속 정원
    Gardens in Suncheon Bay Garden Expo 2013물을 담는 큰 그릇 K-Water Garden _ 최윤석((주)그람디자인)하나씨드뱅크가든 Hana Seed Bank Garden _ 오경아(오가든스)색, 펼치고 개다 The Color, Open and Close _ 김연금(조경작업소 울)SK 행복정원 Steps Towards to Happiness _ 임춘화(아이디얼가든)취죽사랑방 Bamboo Garden-House _ 이대영((주)씨토포스)
  • 조경헌장 세미나 _ 한국조경의 리얼리티
    한국조경의 위기와 가능성이 공존하는 시대 2009년 유럽을 시작으로 전 세계로 확산된 경제위기라는 단어가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사회 전반에 걸쳐 경제 위기론이 드리워있다. 뿐만 아니라 농촌에서는 농업의 위기, 대학에서는 인문학과 공대 위기론, 최근에는 원전비리로 인한 전력위기에 대한 불안까지 감돌고 있다. 특히 건설분야의 위기는 관련 분야뿐만 아니라 국민 전체를 충격에 휩싸이게 만들었다. 지금 한국사회는 위기론에 휩싸여 있다.조경분야에도 위기감이 돌고 있는데, 이는 비단 하루 이틀 일이 아니다. 10년 전, 20년 전, 30년 전에도 조경분야는 위기를 말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한국의 현대조경 역사는 위기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때문에 조경분야에서는 한국조경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법을 찾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하지만 한국조경의 40년 역사 속에서도 아직 조경분야는 안정되지 못한 상태이다.지난 5월 24일에는 대학로 예술가의 집에서 ‘한국조경의 리얼리티’라는 주제로 ‘조경헌장 세미나’가 열렸다. 위기의 해법을 찾기보다, ‘한국조경’ 그 자체를 거칠게 뜯어서 들여다보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세미나는 조경헌장 제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한국조경’의 정체성 확립의 초석을 다지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이날 세미나에서 배정한 교수서울대학교는 현재 조경분야가 처한 상황에 대해 ‘조경의 위기와 조경의 가능성이 공존하는 시대’라고 진단했다. “제도권 조경은 일감이 없다고 아우성인데, 도시 환경과 시민은 보다 높은 질을, 보다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의 질을 요구하는 상황이다.”라면서, “바로 이 아이러니한 지점에서 조경은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비전을 디자인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관에서 주도하는 대규모 인프라 사업이 많이 줄었다. 그런데 아직 조경분야에서는 관 주도의 대규모 인프라 사업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 기존의 조경사업들은 여러 업체가 수주한 하나의 사업만으로도 몇 년을 먹고 살만큼 수입의 규모가 컸다. 인프라를 구축할 국토는 한정되어 있는데, 너나 할 것 없이 조경업종에 가담하면서 파이는 그만큼 쪼개져 점차 작아졌다. 업체수가 늘어난 만큼 인프라 구축은 더욱 가속화되었고,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시점보다 빠르게 일감이 줄어드는 원인이 되었다.다행인 것은 대규모 인프라 사업들이 줄어드는 시점에 배 교수의 말처럼 시민들의 조경에 대한 요구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선 당시 ‘국비지원을 통한 공원조성, 생활권 마을숲 조성, 훼손된 산길·물길 되살리기, 도시·농촌 생태마을만들기’ 등이 공약으로 제시되었고, 정권교체 이후에는 주요 국정과제로 ‘국가도시공원, 동네쉼터, 도시농업 공간, 생활권 마을숲, 생태놀이터 등 도심 생태휴식공간의 확충’이 구체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국토교통부 업무분담녹색도시과에 조경이라는 단어가 명시되기도 했다. 위기라기보다 조경사업의 형태가 달라졌고,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하는 시기인 것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조경분야 대부분이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그 원인은 무엇일까?
  • 2013 경기정원문화대상
    도시, 정원을 꿈꾸다지난 5월 23일, ‘2013 경기정원문화대상’의 시상식이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에서 개최되었다. 이곳은 이번 공모의 대상을 수상한 장기영 씨의 ‘자연과 함께 하는 정원’이 자리한 곳이다. 시상식에는 방광자 위원장(경기정원문화위원회, 상명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김진호 위원장(경기도의회 농림수산위원회), 김한배 회장((사)한국조경학회), 정주현 회장((사)한국조경사회), 김정한 대표((재)경기농림진흥재단)가 참석했다. 시상식은 최연철 부장((재)경기농림진흥재단 녹화사업부)의 경과보고와 방광자 위원장의 심사평, 그리고 시상과 축사에 이어 정원투어와 가든파티 순으로 진행되었다.올해로 3회를 맞이한 경기정원문화대상은 생활 속의 정원문화 정착을 위해 경기도 곳곳에 숨겨진 아름다운 정원들을 발굴할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1·2차의 전문가 심사와 온라인투표를 통해 최종당선작을 발표한 바 있다. 전문가 심사는 조경가, 정원디자이너, 조경학과 교수, 전문언론매체 편집장 등으로 구성된 경기정원문화위원회가 총괄했으며 지속성, 참여도, 관리상태, 사회기여도, 경관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선정하였다. 접수된 총 35점의 작품 중 17점의 작품이 선정되었고, 그 중 대상 1개소와 최우수상 2개소를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