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정원기행 ; 서초동 B씨 정원
    시설물과 수목이 적절히 어우러져 옥외공간의 기능과 미를 겸비한 것이 이 정원의 특징. 이집 정원을 들어섰을 때의 첫 느낌은 880평 남짓 평면처리된 잔디밭에서 오는 탁트임이다. 그리고 넓은 잔디밭에 설치한 스프링클러 시설이 독특하게 보이고, 정원 내부로 깊숙이 다가감에 따라 군데군데 조성도니 위요된 쾌적한 공간과 휴식공간에 접하게 된다.도로에 인접한 지역은 수음을 차단하기 위해, 마운딩을 조성하고 상록수종 식재로서 완충의 성격을 살렸다. 시설물은 가족끼리 또는 손님을 맞이하여 담소하고 쉴 수 있는 공간에 주로 배치되었다. ※ 키워드 : 시설물, 수목, 잔디밭, 서초동정원※ 페이지 : 14~15
  • 금호도 개발 기본계획 ; 광양제철소 주거단지 개발 기본계획
    -발주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위치 : 전라남도 광양군 골약면 금호도 일대 -면적 : 총 1.98㎢(약 60만평) -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연구소, 환경설계부 금호도 종합개발기본계획은 전라남도 광양군 광양만 일대에 세워질 광양제철소의 임직원 및 공장종업원을 위한 주거단지의 개발계획으로 총 면적 약 60만평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 금호도에 수용인구 약 10,000명, 건립주택호수 약 2,500호의 규모이다. 본 계획은 단일주체(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에 의해, 개발 운영되는 사택단지이기 때문에 일반 도시 주거지 개발에서 시도하기 어려운 기법과 접근방식을 도입, 실험할 수 있다는데 특징이 있다. 공원녹지계획은 자연환경의 적극적인 보존과 개발의 균형을 이루고 고립적인 사택단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락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주거생활을 풍부하게 하도록 하였으며, 공급처리 시설의 기본 계획과 토목기술 분야에 대한 계획은 주식회사 세마건축과 공동연구로 이루어졌다. ※ 키워드 : 광양제철소 임직원, 주거단지 개발계획, 사택단지 공원계획 ※ 페이지 : 85~87
  • 자연속에 나타나는 경관
    이미지 페이지입니다. e-매거진 참조바랍니다. ※ 페이지 : 54~57
  • 보여주고 싶은 경관 ; 충남 예산군 고택을 찾아서
    경관이란 우리가 어디에 있든지간에 보거나 느낄 수 있는 우리 주변의 세계를 말한다. 즉 경관은 우리의 눈을 통하여 항상 펼쳐지는 대상으로서 인간의 감각적 선호를 좌우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렇기 때문에 경관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조경이란 분야가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예산은 일찍이 오산, 혹은 고산이라고 하는 옛이름을 지녔고, 그 후 예산은 금물, 덕풍, 임존성 등의 여러 고을이 합하여 이루어지는 등 삼국시대 이래로 오랜 역사와 전통이 아로 새겨져 있는 아름다운 고장이다. 추사 고택 : 추사 김정희 선생은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서 출생하였다. 유년기를 이곳에서 보냈고, 말기에 여생을 또한 이곳에서 마쳤다. 신암면은 남쪽에 무한천, 북쪽은 삽교천으로 이루어지는 삼각주형 야산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두 강안은 간만차가 심한 조수로 인한 깊은 협곡을 이루고 있다. ※ 키워드 : 경관, 충남 예산, 추사 고택, 수당 이남규 고택, 한곡정 ※ 페이지 : 21~27
  • 지형의 변화를 얻기 위한 석가산
    석가산은 말 그대로 돌을 쌓아 오린 산봉우리나 동굴의 생김새를 꾸며 놓은 정원 축조물의 하나이다. 흔히 말하듯이 경관의 아름다움을 결정짓게 될 요소는 ‘지형’과 ‘물’ 그리고 ‘식물’ 등 세가지로 구분된다. 석가산은 바로 이 세가지 요소 가운데 지형의 변화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안된 기법이며 중국에서 시작된 것이다. 중국정원에 있어서는 석가산이 매우 중요한 존재가 되고 있다. 석가산을 꾸미기 위해서는 반드시 돌이 쓰여야 하는데, 중국정원의 기원으로 볼 수 있는 주의 영대를 비롯하여 한 무제의 상림원, 태액지 또는 진의 금곡원 등에서는 전혀 자연석이 쓰인 사실이 없다. 한민족의 나라인 명의 오풍록이라는 책자에서 볼 수 있듯이 강남 땅의 민간정원에서 석가산의 축조가 크게 유행한다. 한국정원에서 자연석을 쓰는 기법은 멀리 삼국시대로부터 비롯된다. 즉 우리가 알기로는 고구려 장수왕이 평양으로 천도하면서 꾸민 안학궁 원지의 치석기법과 신라 문무왕에 의해 꾸며진 안압지의 치석이 그것이다. 이 기법은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된 기법으로 생각되며 중국에는 이러한 기법이 없다. ※ 키워드 : 석가산, 중국정원의 석가산, 한국정원의 자연석 기법 ※ 페이지 : 96~99
  • 정원기행 ; 제주도 동감녕리 한씨 정원
    집의 입구가 단순하며 대체로 길게 뻗은 정원이다. 정원이라기 보다는 주인의 분별있는 솜씨로 가꾸어진 아기자기한 ‘마당’으로 보인다.바닥은 평평하고 고르며, 출입구 쪽으로부터 자연석을 깔아 기다란 통로부분이 조금 높아 보인다. 들어서자 첫 시선을 이끄는 것은 화단 경계석을 따라 가지런히 심어 놓은 제프란시스 이파리군의 정연한 흔들림. 이어 물받이 댓돌의 다듬어진 직선, 정지간벽면의 섬세한 돌쌓음. 인공의 정교한 직선이 자연형태 속에 무리 없이 수용되어 뜻밖의 아름다움으로 다가서는 경이로운 느낌을 준다. 키워드 : 제주도 정원, 동감녕리 한씨 정원, 화단 경계석페이지 : 12~13
  • 관광지 조경실태와 현황 ; 관광지 조경의 실태와 개선방향
    관광지에서의 조경은 작게는 휴양과 위락 및 편의를 제공하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며, 크게는 인간도 자연의 일원임을 인식하여 경제발전과 더불어 급속하게 발달된 기계문명의 부작용으로 인해 파괴된 자연환경을 회복시켜야 한다. 국토자원의 보존과 균형 있는 이용을 위해서 관광지 조경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하여야 하겠다. 첫째 훼손 및 훼손 가능지역의 보호와 복구, 둘째 향토 경관미의 조성, 셋째 시설물 및 구조물 등의 설치시 생태계 파괴의 극소화, 넷째 전문적인 지식으로 설계와 시공, 다섯째 구조물, 인공녹지공간, 주위 경관의 삼위일체 추구, 여섯째 민족 고유의 조경수법 창출. 관광지 조경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서는 제도보완도 뒤따라야 한다. 첫째 다양한 조경소재의 개발을 촉진하여야 한다. 둘째 공사비용의 현실화가 되어야 한다. 셋째 전문화된 조경업체 육성 및 교육과정의 전문화가 되어야 한다. ※ 키워드 : 관광지 조경, 향토 경관미, 관광지 조경수법 ※ 페이지 : 38~42
  • 밀러의 작품세계
    Zvi Miller(이스라엘). 1982년 세계조경가협회 회장. 이스라엘에서 가장 큰 자연공원인 카멜국립공원과 Rosh Hanikra의 천연 바다동굴과 같은 프로젝트는 자연경관자원이 ‘어떻게 그들의 고유한 경관적 특성을 침해받지 않고도 수많은 사람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광장이나 플라자는 도시 구조 내의 도착지점으로서의 장소성을 갖는다. 공간 분할이 다양하여, 때로는 한 옆으로 휴식장소를 제공하고 때로는 포장패턴이나 고저차에 의해 사람들의 움직임을 유도하기도 한다. 카멜산정이 있는 카멜도시공원에서는 항구도시 하이파와 인근의 만을 내려다 볼 수 있다. 모서리진 지역은 옹벽으로 되어 있고, 다양한 테라스로 처리된 계단들은 보행자들에게 앉아서 도시의 독특한 전경과 바다, 그리고 언덕들을 조망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 키워드 : 밀러, 카멜국립공원, 덴마크광장, 카멜도시공원 ※ 페이지 : 72~76
  • 작은 화단, 플라위 베드, 화분상자
    도시주거공간의 조경은 협소한 조경면적의 문제를 생각한 것이어야 한다. 작은 뜰에 다단식의 밀도 있는 화단을 조성하거나 발코니와 실내에 플라워 베드(flower bed), 화분상자를 적절히 배치하는 일 등이 도시주거공간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조경환경과 작업’이라고 하겠다. -작은 화단 : 도시주택의 화단은 늘 조경공간이 작다는 점에 착안해야 한다. 전원주택이나 산간집은 넓고 시원한 자연환경 자체가 조경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화단의 스케일 문제에 집착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도심주택의 좁은 대지는 그것을 조경화하기 위한 특별한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 플라워 베드 : 플라워 베드를 이용한 실내화단 조성은 뜰이 없는 아파트, 연립주택, 상가 주택의 실내에 적합한 조경이다. 플라워 베드는 그것 자체가 화분이 되어 화초를 심기도 하지만, 화분을 집결시켜 얹어 놓기도 한다. - 화분상자 : 화분상자는 고정장치로서 형서되는 것과 때로는 옮길 수 있는 독립된 상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정화분대는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수목이 배치될 부분이 미리 정해지고 그곳에 실내의 한 부분으로 화분상자를 만드는 경우를 말한다. ※ 키워드 : 도심주거공간의 조경, 작은 화단, 플라워베드, 화분상자 ※ 페이지 : 88~91
  • 세계의 조경 ; 프랑스 편 - 새로운 조경공간을 창조하는 파리
    프랑스의 조경양식을 역사적인 면에서 개관하면, 자연적인 형태를 그대로 내버려둔다는 것은 그 자체가 미개한 노릇이라고 보고 인공적인 형상 변형에 의한 미의 창조를 시도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완벽하고 철저한 지배를 통해 상징적인 부와 권력의 절대성을 과시하려 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프랑스의 조경관에 비추어 그 양식의 대부분이 기하대칭적인 정형의 방식으로 표현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오늘날에 와서는 이러한 인공적인 효과에다 자연적인 효과를 가미하여 인공과 자연의 보완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시대적인 흐름에 순응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베르사이유궁전의 조경은 길다란 시각축과 원로, 일정하고 질서 있는 패턴에 따른 기하학적인 배식, 거대한 숲, 수자원의 최대한 활용, 1천 4백여개의 크고작은 분천, 거대한 동식물원, 곳곳에 적정 배치된 조각물 열주랑, 옥외극장, 별궁 진귀한 화초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파리가 한 덩어리의 예술 자체로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은, 프랑스의 조경감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놀라운 건축술과 시각공간의 창조술이 함께 어우러져 나타내는 공간미의 앙상블이 현저하기 때문이다. ※ 키워드 : 파리의 역사적 배경, 파리시 중심지구 조경, 파리시 가로경관 ※ 페이지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