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Beyond the Deoksugung Palace
    덕수궁과 그 경계를 너머제9회 도코모모 코리아 디자인공모전2012년도 제9회 도코모모 코리아 디자인 공모전 “덕수궁과 그 경계를 너머”의 대상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작품으로 배재대학교의 노태호, 강현나, 김태환 학생의 “선원전 2012, 기억의 궁궐”이 선정되었다. ‘선원전 2012’는 지금은 미국대사관 관저와 구 경기여고 터에 놓여 있었던 1910년대의 선원전 영역을 새롭게 건축적으로 제안한 것이다. 지형과 주변 경관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과거의 유형적 복원이 아닌 상징적 의미를 환원시킴과 동시에 선원전의 의미를 전시기능으로 치환한 것이 심사위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덕수궁을 중심으로 벌어진 수많은 역사적 현장을 나름대로 소화하여 새롭게 제시해야 하는 쉽지 않은 주제에 대해 진지하게 풀어나간 많은 젊은 건축가들의 에너지를 통해 문화재 복원과 활용에 관한 다양한 방법론과 한국건축의 가능성을 읽을 수 있었다. 대상선원전 2012, 기억의 궁궐노태호, 강현나, 김태환(배재대학교)
    • / 2012년07월 / 291
  • Green Design Awards
    제2회 녹색도시 공모대전국토해양부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이 주최하고 (사)한국도시설계학회가 주관한 ‘제2회 녹색도시 공모대전’의 대상작으로 건국대학교 건축학과 민현성, 최성준, 장상훈, 이일권 학생의 ‘Urban Shelter’가 선정되었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 건축의 미래’를 주제로 진행된 이번 공모전에는 국내외 대학 및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180팀 또는 개인이 참가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문제들의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대상으로 선정된 ‘Urban Shelter’는 예술과 철공이 공존하는 독특한 지역성을 가진 문래동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유해한 대기환경의 개선을 통해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역점을 두었으며, 바람을 고려한 건물 및 지속가능한 메커니즘과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_ 편집자주 대상Urban Shelter민현성, 최성준, 장상훈, 이일권(건국대학교 건축학과)
    • / 2012년07월 / 291
  • 2012 대한민국 조경박람회
    대중과의 소통 위한 다양한 시도 돋보여 조경 산업의 성장동력 문을 열다조경 산업 성장의 발판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2012 대한민국 조경박람회’가 지난 5월 22일부터 26일까지 5일에 걸쳐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었다. 조경인과 대중이 만나는 소통 창구로서의 역할을 강조한 이번 박람회는 예년에는 시도되지 않았던 신선한 프로그램들이 다각도로 준비되어 시작 전 부터 많은 이들의 기대를 한껏 끌어올렸다. 실제로 개막 첫날 오후부터 관람객 숫자가 눈에 띠게 증가하였으며, 박람회 기간 동안 예년보다 많은 인파가 몰려들어 성황을 이루었다. 한편 ‘2012 대한민국 조경박람회’는 (사)한국조경사회와 리드엑스포가 공동주최하고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서울특별시, 경기도, 한국도로공사, K-water, LH, SH공사가 후원하였으며, ‘하우징브랜드페어’와 동시에 개최됐다.손범수 아나운서의 사회로 진행된 개막식 행사에는 참가업체 담당자들이 메인플라자를 가득 메워 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함께 기원하였으며, 이민우 (사)한국조경사회 회장과 최신 현 조직위원장(대한민국 조경박람회 조직위원회)이 조경박람회 개최를 위해 힘쓴 이들의 노고에 감사를 전하고, 성공적인 박람회 개최를 염원하였다. 박람회 개막식에는 이상정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민기원 (재)경기농림진흥재단 대표이사, 강성익 대한건축사협회 회장이 참석해 축하를 전했으며, 개막식 준비를 추진한 장경천 운영분과장(조직위원회)은 “대중에게 인지도가 높은 손범수 아나운서의 개막식 진행 등 다양하게 형식의 변화를 시도하였는데, 많은 참여와 성원 덕에 무사히 첫 테이프를 끊은 것 같다.”고 전하여 이번 박람회가 중점을 둔 ‘대중과의 소통’을 위해 세심한 부분까지 신경 쓴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개막식 당일에는 컨퍼런스룸(북) 208호에서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전’의 출품작 발표회도 함께 진행되었는데, 설계사들을 통해 직접 작품설명을 들으며 각 작품들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들여다 볼 수 있어 많은 호응을 얻었다. 출품작들의 설계를 맡았던 담당자들이 참석하여 각각의 작품들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이후 안승홍 교수(한경대)를 좌장으로 한 토론회는 작품을 되짚어보고 조경 설계의 발전을 위한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 2012 서울정원문화박람회
    정원문화의 저변 확대를 위한 첫발 내디뎌‘행복을 키우세요’ 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올해 첫발을 내디딘 ‘서울정원박람회’가 서울 양재동 aT센터 전시장에서 지난 5월 17일부터 20일까지 4일간 열렸다.(주)한국조경신문대표 김부식 주최로 열린 이번 박람회는 ‘힐링가든’을 컨셉으로 주제관, 기획관, 체험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여 관람객에게 정원문화를 알리고 직접 정원을 꾸미고 가꿀 수 있는 기회도 제공했다.먼저 주제관은 ‘리디아의 정원’ 이야기를 주제로 삭막한 공간에 꽃을 심어 정원으로 조성했을 때의 차이를 관람객에게 보여주며, 정원의 중요성과 가치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등 삭막한 도시를 변화시키는 ‘치유정원’을 체험하게 했다.다음으로 기획관에 꾸며진 ‘함께 만드는 정원’은 정원 전문가와 사전에 접수·지원한 푸르네가든 볼런티어 50여 명과 함께 빈 공간에 정원 조성을 시연해 관람객들의 발길을 붙잡았다. 관람객들은 정원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성현푸르네 대표 해설사의 설명으로 지켜볼 수 있었으며, 완성된 정원에서 송인규 쉐프가 직접 수확한 채소로 만든 음식을 먹으며 즐거운 관람을 하기도 했다.
  • 용산공원 설계국제공모 당선작 활용을 위한 심포지엄
    긴 호흡갖고 시민과 공감대 확보해야지난 6월 12일, ‘용산공원 설계국제공모 당선작 활용을 위한 심포지엄’이 SETEC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되었다. 이 심포지엄은 당선작 ‘미래를 지향하는 치유의 공원’의 활용방안과 조경, 도시,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시사점을 도출하여 기본설계에 반영하기 위해 추진되었다.시작에 앞서 이우종 (사)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회장은 축사를 통해 “용산공원이 민족의 터전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오늘을 시작으로 더 많은 일을 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역사적, 생태적, 정서적으로 치유될 수 있는 공원이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본 행사에서 양병이 서울대 환경대학원 명예교수는 국제공모 추진 개요와 추진경과, 결과를 발표하였으며, 이번 공모의 당선사인 West 8의 최혜영 팀장은 “남산과 한강을 연결하며 가장 한국적인 경관을 조성하고자 노력했으며 이 디자인으로 자연, 역사, 문화의 치유가 되길 바란다”며 웰빙, 에너지 등의 부분에서 미래지향적 공원으로 조성하고자 한다는 포부를 밝혔다.
  • 2012 디자인 대구 페스티벌
    대구, 디자인 통해 공생을 말하다 지난 6월 5일부터 12일까지 8일간 대구스타디움 일원에서 대구광역시의 주최로 ‘2012 디자인 대구 페스티벌’이 펼쳐졌다. 이번 행사는 지난 12월에 개최되었던 ‘2011 디자인 대구 행사’의 참가대상의 범위와 행사내용을 더욱 확대하여 ‘공생’이란 주제로 다양한 각도에서 대구를 새롭게 디자인하고, 이 과정과 결과를 체험할 수 있는 축제로 계획되었다.디자인 대구 페스티벌의 마지막 날인 12일에는 대구스타디움 VIP 라운지에서 ‘공생(共生), 함께하는 도시’라는 주제로 ‘2012 디자인 대구 포럼’이 개최되어 관련분야의 전문가와 지역전문가로 구성된 패널 및 시민들이 인식을 공유하고, 디자인 대구 페스티벌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행사의 피날레를 장식했다. ‘디자인 대구 페스티벌’과 연계하여 개최되었던 ‘제4회 컬러풀 대구 도시디자인 공모전’의 시상식도 이날 함께 진행되었는데, 일반부 19명, 학생부 24명으로 총 42명이 상을 받았으며,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인 김연수 의원이 시상했다.‘디자인 대구 포럼’은 계명대학교 생태조경학과 김수봉 교수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대구가 디자인을 통해 공생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마련될 수 있기를 바란다.”는 (사)한국조경학회 영남지회 장병관 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행사의 막이 올랐다. 김연수 행정부시장은 “가고 싶고 투자하고 싶은 대구가 될 수 있도록, 앞으로 대구가 크게 성장하여 나라발전에 공헌할 수 있길 바란다.”고 인사말을 전했으며, 대구광역시의회 이윤원 부의장은 “시민 모두가 따뜻한 마음으로 손을 맞잡고 더불어 살아가는 아름다운 대구를 디자인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이 모색되기를 바란다.”고 축사를 전했다.
    • / 2012년07월 / 291
  • 철원 철새마을 ‘철새협동鳥합’ 전시회
    사라진 경계, 진화하는 마을만들기 프로세스지난 6월 1일, 서울 아트선재센터에서 “철새협동鳥합 전시회”의 개전식과 동명의 서적 출판을 알리는 기념식이 개최됐다. 이 전시회에서는 DMZ 부근 철원군의 철새마을에서 조경가, 건축가, 생태학자, 환경교육 전문가, 커뮤니티 디자이너, 지역 브랜딩 디자이너가 2년 여 동안 마을 주민들과 함께 작업한 협동 디자인 결과물을 선보였다.전국 각 지역의 수많은 공공건축물들이 탄탄한 준비과정 없이 단기간에 지어진 후 정작 제대로 운영이 되지 않아 골칫거리가 되는 경우가 많은 현실에서, 철새협동鳥합은 ‘느리지만 탄탄한 계획과정’으로 새로운 공공건축 계획과 마을만들기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있다. 총괄계획을 맡았던 조경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공간 환경을 다루는 분야와 마을만들기같은 프로젝트는 실천적인 작업의 성격상 늘 현장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정작 개별 프로젝트의 실현 과정을 꼼꼼하게 다룬 사례가 드물었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철새마을이란 구체적인 사례를 기반으로, 하나의 프로젝트가 여러 방식으로 중재 되고 진화되는 프로세스를 솔직하게 드러내고자 했다.”고 밝혔다.철새마을 프로젝트의 연구책임자 김아연 서울시립대 교수는 “프로젝트의 기록이 담겨있는 『철새협동鳥합』에는 재능기부를 한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을 통해 그간 겪은 시행착오를 공유하고, 이번 사례처럼 좋은 공간이 앞으로도 더 나왔으면 좋겠다.”는 소감을 전했다. 이어 김아연 교수는 ‘프로세스 디자인’이란 개념으로 협동 디자인의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들을 소개했다.
  • Ken Smith
    켄 스미스 Q. 당신이 작업할 때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것을 얻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가? A. 나는 거대한 컨셉과 아이디어들만 있고 세부적인 디테일이 뒷받침 되지 않는 작업을 좋아하지 않는다. 지금 우리 주변에 멋진 아이디어는 있되, 설계프로세스가 모호한 작품들이 얼마나 많은가? 나에게 디테일은 컨셉과 동등한 것이다. 그래서 나는 항상 디테일을 컨셉화 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하고자 한다. 이번 용산공원 프로젝트에서도 역시 신화컨설팅 팀과 함께 특정하고 세밀한 것에 관심을 가졌고,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으며, 그것을 전체 개념과 연결하려고 노력하였다. 나의 중요한 전략 중의 하나는 바로 이 연결점을 프로젝트 전면에 가져오는 것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큰 프로젝트에서 이러한 디테일이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번 용산 안에서 제시했던 ‘사회적 영역(Social Network)'이 방금 말한 디테일과 컨셉의 연결점의 예가 될 것이다. 비록 이용자의 동선은 조금 복잡해지더라도, 기존의 보도와 차도를 그대로 활용하여 용산의 과거와 미래를 이어간다는 개념은 각 건물과 시설에 대한 디테일한 이해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다. Q. What is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in a design project? In order to achieve it, what kinds of activities should one focus on? Is there any price you have to pay to achieve it? A. I will talk in backwards. The thing that I don’t like being involved is something that bringing up the concept but not having followed trough to the details. To me, the details are very related to the concepts. So, I always look for the project where I can be involved all the way from the concept down to some of the critical detailing, because one understands the project in the details. There are many good ideas but then become something else, a kind of wayward design process. I think one of the things I do in a project is to think about specics of it as well as articulate those specifics, and trying to link the specifics to the general. One of the strategies of my design is to carry that connection through the project. A lot of people don’t think that’s important, even in a large project I always ght to be involved in details. In Yongsan project, the ‘social network’ was a good detail that is xated on the idea of repurposing the existing infrastructures as much as possible. Using existing pathways and vehicular roads was really important, even though they made a difficult circulation system, they were the critical detailing of the design. For me, that kind of detailing was important to have the concept work properly.
    • / 2012년07월 / 291
  • 황지해
    Hwang Ji Hae DMZ 가든, 쇼가든 부문 금상 이어 첼시 전체 최고상까지 수상섬진강변 시골마을 소녀, 전 세계가 주목하는 최고 정원예술가로 성장지난 5월 22일, 우리나라에선 조경박람회가 한창이던 그 때, 영국 런던에서 낭보가 날아들었다. 조경박람회와 동일한 기간에 런던에서 개최된 첼시 플라워쇼에서 우리나라의 황지해 작가가 ‘고요한 시간: 비무장지대 금지된 정원(Quiet Time: DMZ Forbidden Garden)’으로 쇼가든 부문(200㎡ 규모 대형정원) 금상을 수상한 것이다. 개장이 임박하기까지 스폰서가 구해지지 않아 출품 무산의 위기까지 갔었던 터라 이번 수상소식이 더욱 반갑기 그지없었다. 실제로 황작가는 제작비를 마련하지 못해 주최측으로부터 정원 조성 작품비를 납부하지 못한다면 출품을 포기해야 한다는 최후통첩을 받기도 했다. 다행히 안타까운 소식을 접한 강운태 광주시장의 제안으로 지역의 기업(호반건설, 남광건설)들이 나서서 총제작비 8억원 가운데 부족분이었던 5억원을 지원해 정원을 조성할 수 있었다. 지난해 ‘해우소 가는 길’로 처음 출전해 아티즌 가든에서 금메달을 수상(본지 2012년 3월호 (통권제287호) 참고)한데 이은 2회 연속 금메달 수상, 거기에 올해 신설된 전체 참가자 중 최고작에게 수여되는 영국왕립원예협회 회장상의 초대 수상자가 되기까지 첼시 180여 년의 역사를 통틀어 신기록을 세워가고 있는 황지해 작가를 이메일로 인터뷰했다. 그녀는 어떻게 미술가의 삶을 살게 되었으며, 정원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 출품이 무산될 위기에서의 심경 등 수상자이기에 앞서 한 사람으로서의 황지해 작가의 모습을 지금부터 만나보자. 유년 시절 자연이 가르쳐준 미술이제는 세계적인 정원 디자이너가 된 황지해 작가의 유년 시절은 어땠을까? 거액의 제작비로 인해 아무나 쉽게 출전할 수 없다는 첼시 플라워쇼에 2번이나 출품을 한 것을 보면 유복한 가정에서 자랐겠구나 하는 편견이 들지도 모른다. 적어도 작년 ‘해우소 가는 길’을 출품했을 때만 하더라도 스폰서를 구하지 못해 자비를 들여 출품한 것을 보아도 그럼직했다. 그런데 예상 외로 유년 시절과 사춘기 시절을 작은 시골에서 보냈단다. 자연히 의도하지 않아도 놀 수 있는 공간은 야생화가 널린 들판과 강 자락을 타고 오르는 풀과 나무들이었다.“어머니께서 배려해주신 창문만 열어도 손에 닿는 유실수들이 동네 수퍼보다 좋았고, 지금 생각해도 어머니가 가꿔주신 텃밭은 끝이 없는 보물창고였어요. 그 텃밭은 가장 쉬운 미술시간이었고 가장 쉬운 자연학습 시간이었습니다. 색깔 견본표를 공부하지 않아도 모든 색깔이 다 있었고, 그 안에 작은 벌레부터 날아다니는 나비까지 저에게는 모두 큰 존재였지요. 다 자라서 어른이 된 지금도 그때의 시간이 가장 따뜻했던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 의성 소우당
    Uiseong Sowoodang의성 소우당은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1 171-3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면적은 4,589㎡로 소우(素宇) 이가발(李家發)이 터를 잡고 그 증손 이장섭이 1890년대 조영한 조선 말기 상류가옥 및 별원의 대표적인 곳이다. 현재 안채, 사랑채, 별당, 연지 등이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공간적, 지형적으로 연계시키고 있으며, 2000년 1월 7일 중요민속문화재 제237호로 지정되었다. Uiseong Sowoodang which is located in 171-3, Sanun-ri, Geumseong-myeon, Uiseong-gun, Gueongsangbuk-do is 4,589m2 area. It was picked out the site by Sowoo Lee Ga-Bal and constructed by Lee Jang-Seob, the grandson of Lee Ga-Bal, in 1890’s. It is the representative the upper class’s house and garden of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aesthetics of adaptation is connected spatially, topographically and functionally with Anchae, Sarangchae, Byeoldang and the pond. It was appointed as Important Traditional Cultural Assets no.237 in 7th, January, 2000.
    • / 2012년07월 / 291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