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무엇인가를, 누군가를 기억하는 어떤 방식
    메모리얼: 기념과 추모의 장 사람들은 존경할 만한 국민적 영웅의 죽음을 추모하거나 의미 있는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메모리얼을 만든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묘지는 인류 역사에 있어서 가장 오래되면서도 보편적인 형태의 메모리얼이라고 볼 수 있다. 기념이라는 행위는 기본적으로 죽음의 추모, 과거의 회상, 사건에 대한 사회적 환기 및 치유, 관계자의 명예 고양 등의 목적을 가지고 행해진다. 이러한 기념 행위의 장소인 메모리얼은 개인의 사적인 기억이나 사회 공동체가 공유하는 경험과 기억을 되살리고 치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역사적 사건이나 경험을 장소에 새겨둠으로써 공동체의 기억을 더욱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영원한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메모리얼의 디자인 형태 메모리얼의 형태는 국가나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나지만 근대까지만 하더라도 대부분은 조각이나 기념물(monument)의 형태로 만들어져왔다. 미국의 얼굴이자 메모리얼의 집합소라고 말할 수 있는 미국 워싱턴 D.C.의 National Mall에 우뚝 선 “워싱턴 기념비(Washington Monument)”가 그 대표적인 예. 이런 형태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머릿속에 고정관념으로 자리 잡아 기념물이라고 하면 무조건 하늘로 우뚝 솟아 멀리서도 우러러 볼 수 있는 형태를 생각하게 만들었다. 이렇듯 수직으로 솟은 기념탑이나 기둥은 외부공간에서 매우 두드러져 시각적 초점이 된다. 우리나라의 4·19국립묘지나 5·18국립묘지의 중앙에 기념탑이 놓인 것도 같은 이치이다. 상징적 표현의 집합체 일반적으로 기념성을 구현하기 위한 조형설계는 어떠한 설계대상보다 다양하고 높은 수준의 상징적 표현이 요구된다. 기념의 내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아치, 다리, 기둥, 문, 동상 및 조각, 폭포 및 연못, 분수, 조명 등 다양한 조경디테일 요소들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요소들은 메모리얼을 구성하는 실체일 뿐만 아니라 의미를 전달하는 매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워싱턴D.C.의 많은 전쟁 기념물 중에서 유일한 국립 기념물인 “제2차 세계대전 국립기념관(National World WarⅡ Memorial)”은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 2차 세계대전 중 복무한 1천 6백만 미군을 기리기 위해 지어진 이곳의 중앙에는 분수대가 자리 잡고 있으며, 그 주위로 많은 기둥들이 둘러 서 있다. 분수대의 두 개의 큰 물줄기와 양 끝의 거대한 기둥은 각각 2차 세계대전의 주요 격전지였던 태평양과 대서양을 상징하며, 나머지 작은 물줄기들은 참전국들을 의미한다. 나머지 작은 기둥들은 각각 미국의 50개 주와 그 자치속령을 의미하는데, 국가를 위해 청춘과 목숨을 희생한 군인들의 출생지역을 새겨 넣음으로써 그들의 명예를 다시 한 번 기리고 있다. 기억 속이 아닌 실체적 역사경험의 장 메모리얼은 의도적으로 공동체의 의식이 일어나게 하거나 대화를 만들어 내기 위해 또는 위안을 주거나, 반성과 화합의 장을 만들어내기 위해 디자인 된다. 때문에 잘 설계된 메모리얼에서는 기억 속에만 머무는 역사가 아닌 진정한 물리적인 역사를 경험—방문객들이 그들의 몸으로 메모리얼을 경험함으로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마야 린Maya Lin이 설계한 “베트남 참전용사 기념비(Vietnam Veterans Memorial)”를 들 수 있다. 현상공모를 통해 당선된 당시 스무살의 중국계 미국인, 예일대 건축과 3학년생이 내놓은 이 메모리얼의 디자인은 전통적인 기념비 형식을 깨고 오히려 땅 밑으로 내려가는 파격적인 디자인으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125도 각으로 만나는 250피트(약 70m)의 두 개의 직선이 V자 형의 뾰족한 날개 모양을 이루고, 두 직선은 꼭지점을 향하여 지면으로부터 점점 낮아져 가장 낮은 곳에서 3미터 정도의 깊이가 되었다가 다시 지면으로 올라오게 했는데, 거울처럼 반짝이도록 광을 낸 검은 화강석 표면에는 베트남전에서 죽거나 실종된 57,939명의 참전용사들의 이름을 1957년의 첫 전사자로부터 연도별로 새겨 놓았다. 단순한 디자인이지만, 경사를 이용하고 물성을 이용해 관람자를 참여시킴으로써 참전용사와 현재의 나와의 동질성을 통해 전쟁의 경각심을 말해주고 있다. 땅을 보고 걷다가 고개를 숙여 더 낮은 곳으로 걸어 내려가면서 검은 벽에 새겨진 죽은 자들의 이름을 본다는 사실은 사람들을 종교적인 제의(祭儀)에 참여한 것처럼 슬프게 한다. 사람들은 개개인의 슬픔을 되새기며 눈물을 훔치기도 하고 추억과 명상에 잠기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미국인들 모두가 함께 겪은 국가의 힘겨웠던 역사를 동시에 반추한다. 즉, 개인의 감동이 공공의 감동으로 공유되는 것이다.
  • 펜타곤 메모리얼
    Pentagon Memorial지난 2001년 9월 11일 미국 국방부를 향했던 테러리스트의 공격으로 희생당한 184명의 유족 대표단은 그들이 사랑했던 이들을 명예롭게 할 메모리얼을 건립하기 위한 계획을 구상하고 착수하기에 이르렀다. 그로부터 8개월 후인 2002년 여름, 펜타곤 메모리얼 국제설계공모가 발표되었고, 미 육군공병단에 의해 공모에 참가한 작품들을 평가할 심사위원들이 구성되었다. 심사위원단은 세계 50개국으로부터 접수된 1천 1백개 이상의 참가작들을 평가하여, 최종 결선에 진출할 6개의 작품을 선별하였다. 이후 2003년 3월 3일 미국 국방부와 미 육군공병단은 만장일치로 KBAS의 계획안을 당선작으로 발표하였다. 아메리칸항공 77편의 충돌 지점에 인접한 펜타곤 메모리얼은 다른 어떤 장소와도 같을 수 없는 특별한 곳이다. 개인적인 해석은 방문객의 몫으로 남기면서, 무엇을 어떻게 느껴야 하는지 미리 정하지 않은 설계를 통해 숙고와 판단을 요구한다. 사실상 개인과 집단 모두에게, 2001년 9월 11일 일어난 비극적인 사건의 숭고한 중요성을 증언하기를 바라고 있으며, 이는 생명을 빼앗긴 이들의 이야기를 시작하는 특수한 요소들이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졌다. 희생자들의 나이에 근거한 시간표가 작성되었고, 184개의 추모의자들(Memorial Units)이 나이의 선(Age Line)을 따라 77편의 궤적에 평행하게 배치되었으며, 이는 1930년에서 1988년까지 분포하는 각 희생자들의 태어난 해를 표시한다. 형태와 배치가 매우 유기적이며, 각 추모의자는 각자에게 헌납된 특별한 장소로 분리됨으로써 이번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이처럼 캔틸레버(외팔보) 형식의 추모의자의 방향은 그 사람이 충돌의 순간에 미 국방부 건물에 있었거나 77편에 탑승했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각 개인의 이름이 추모의자의 끝에 새겨졌는데, 밤에는 조명을 밝힌 풀(pool)로 인해 물 위에 떠있는 것처럼 보인다. Concept Design _ KBAS(Keith Kaseman & Julie Beckman)Landscape Architects / Architect of Record _ Lee + Papa and AssociatesClient _ The Pentagon Memorial Fund, Inc.Owner _ US Department of Defense / Washington Headquarters ServicesLocation _ Arlington, Virginia, USASize _ approximately 2 acresCompletion _ 2008. 9. 11Building Materials _ Stainless Steel, Granite(Gold & Black), Concrete
    • / 2009년06월 / 254
  • USS 애리조나 메모리얼과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USS Arizona Memorial & Hiroshima Peace Memorial Park6월은 호국보훈의 달이다. 한국전쟁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아쉽게도 필자가 원고 청탁을 받은 것은 외국에 있는 메모리얼로 제약이 되어있어서 한국전쟁 메모리얼은 다루지 못하고, 대신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전쟁이었던 제2차 세계대전과 관련된 메모리얼을 소재로 글을 전개하고자 한다. 전쟁이야기를 잠깐 해보고자 한다. 제2차 세계대전은 문자 그대로 세계 전체를 전장으로 하고 세계의 거의 모든 나라를 끌어들인 전쟁이었다. 참가국은 연합국측이 49개국, 동맹국측이 8개국이며, 중립국은 스위스 등 6개국에 불과하였다. 동원병력 1억 1천만명, 전사자 2천 7백만명, 민간인 희생자 2천 5백만명으로, 제1차 세계대전과 비교할 때 제2차 세계대전은 동원병력수가 약 2배, 전사자는 약 5배, 민간인 희생자는 약 50배이다. 서양에서는 독일과 이탈리아가 전쟁을 일으켰고, 동양에서는 일본이 중일전쟁과 미국을 상대로 한 태평양전쟁을 일으켰다. 1941년 12월 7일 아침, 일본 제국 해군이 야마모토 이소로쿠 사령관의 지휘를 받으며 진주만에 대한 기습공격을 시작했다. 하와이 주 오아후 섬에 위치한 진주만에 대한 기습 공격은 미국 태평양 함대와 이를 지키는 공군과 해병대를 대상으로 감행되었다. 전투기 및 폭격기 등으로 구성된 비행단이 발진하여 아침 7시 55분 목표지점에 도착하여 공격을 개시하고, 그들은 완전한 기습공격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뜻의 암호 통신문인“도라, 도라, 도라”를 함대로 전송하였다. 당시 진주만에는 130척의 미 태평양 함대의 함정들이 평온하게 정박하고 있었고, 9척의 전함중 7척이 포드섬 남쪽해안의“전함 선착장”에 일렬로 묶여져 있었다. 약 8시 10분경 USS 애리조나는 1,760파운드의 관통용 폭탄 세례를 받고 갑판이 뚫려 전방 화약고가 인화·폭파되면서 1,177명의 승무원과 함께 침몰하였다. USS 오클라호마호 역시 수발의 어뢰를 맞고 완전히 뒤집혀 4백명 이상이 그 안에 갇혔으며, 캘리포니아호와 웨스트버지니아호는 정박지에서 그대로 침몰하였다. 이밖에 메릴랜드, 펜실베이니아, 그리고 테네시호 등도 극심한 피해를 입었다. 미국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던 하와이가 공격을 당하면서 엄청난 피해를 입었고, 이로 인하여 제2차 계대전에 개입하는 것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던 미국인들은 하나로 단결하게 되었다. 일본은 건드리지 말아야 할 미국을 공격함으로써, 결국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이어지게 된 태평양전쟁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미국은 1942년 8월에“맨해튼 계획”으로 명명된 원자폭탄제조계획에 착수하여, 1945년 7월 16일 원자폭탄실험에 성공한 후 일본과의 전쟁종결 수단으로서 동시에 원자폭탄의 효과를 정확히 측정해보고자 히로시마, 고쿠라, 니가타, 나가사키 등을 목표도시로 선정한 후, 비교적 공습피해가 적고 연합군포로수용소가 없었던 히로시마를 제1목표로 정하였다. 일본의 전황이 압도적으로 불리한 상황에서 1945년 8월 6일 오전 8시 15분 인류사상 최초의 원자폭탄이 히로시마에 투하되었다. 원자폭탄은 시가지 상공 약 600m 지점에서 눈을 멀게 할 정도의 섬광과 함께 작렬하여, 폭심지로부터 2㎞에 이르는 시가지의 건물이 흔적도 없이 부서지고 불타버렸으며, 폭풍과 열선 등에 의해 약 14만명(1945년 12월 기준)에 달하는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고, 이중에는 한국인 2만명도 포함되어 있었다.
  • 발리 메모리얼과 멜버른 전쟁기념관 중정
    유족들의 참여로 만들어진 발리 메모리얼 2002년 발리 폭파사건은 어쩌면 우리에게 낯선 사건일지 모른다. 당시 우리는 2002년 월드컵 열기의 감흥이 아직 남아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호주 사람들에게 있어 2002년 10월 12일은 그들의 역사상 가장 기억하고 싶지 않은 순간중 하나가 되었다. 202명의 무고한 생명이 테러의 희생물이 되었고, 그중 91명의 호주인들이 생을 마감한 날이기 때문이다. 이날을 추모하는 공간들이 크게 영국, 호주, 발리에 생겨났고 가장 많은 희생자가 발생한 호주는 멜버른과 퍼스, 시드니 그리고 캔버라에 각각 추모 공간을 만들었다. 그중 22명의 희생자가 있던 빅토리아주는 사건발생 3주기를 맞아 멜버른 Lincoln Square에 Bali Memorial을 조성했다. 여타 추모공간이 남은 유족들에게 큰 의미가 되고 있는 건 분명한 사실이지만, 대상지 결정이나 디자인만큼은 그들의 의사나 의도와 상관없는 공간이 되곤 하는 게 일반적인 예가 아닌가 싶다. 그러나 발리 메모리얼은 조금은 다른 시도가 이루어진 사례로 남을듯하다. 바로 대상지 선정과 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 유족들의 절대적인 의견과 의도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희생자들의 대부분이 젊은 청년들이었기에 유족들은 그들의 젊음을 상징하는 지역을 대상지로 삼길 원했고, 이러한 이유로 발리 메모리얼이 대학가에 들어서게 되었다. 또한 그들은 물과 햇볕 그리고 탁 트인 공간이 대상지내에 포함되길 원했다. 이러한 그들의 제안은 202개의 자그마한 바닥조명(전체 희생자를 상징)과 91개의 분수(호주인 희생자를 상징) 그리고 빅토리아주의 희생자 22명의 이름이 기록된 추모 현판의 도입으로 실현되었다. Design _ Melbourne Council & Victim’s FamiliesLocation _ Lincoln Square, Melbourne, AustraliaBudget _ Au$ 185,000Construction _ 2construct 강한 대비가 인상적인 멜버른 전쟁기념관 중정멜버른에는 ‘Shrine of Remembrance’라는 이름의 전쟁기념관이 있다.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의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기념관인데 이 기념관의 중심축이 멜버른 중심가를 한축으로 가로지르는 Swanston Street의 축과 같이 하고 있어 이곳의 역사적 무게감을 더해 주고 있다. 여기에 소개하는 정원은 이 전쟁기념관의 한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을 처음 방문하면 한눈에 들어오는 전쟁기념관 건물의 모습과는 달리 이 정원은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하지만 하나 둘 계단을 오르다 보면 어두운 대리석과 대조되는 두 가지 색이 눈에 들어오는데, 하나는 기념관을 바라볼 때 왼쪽에 위치한 붉은색의 안내센터 입구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오른편에 위치한 ‘Garden Courtyard’이다. 평면상으로는 두 곳 모두 왕관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기념관 입구에서 볼 때는 단순한 벽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어서 잘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안내센터 입구로 들어서면 전혀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다. 붉은색의 벽과 바닥 그리고 헌화할 수 있는 곳 말고는 벽에 새겨진 몇몇 글들이 눈에 보이는 전부. 상당히 건축적인 공간이지만 거대한 기념관이 압도하는 느낌의 외부공간과 달리 위요된 분위기가 느껴지는 곳이다. 붉은 색의 벽면과 함께 위요된 듯 비어있는 이 공간은 때로는 기념을 위한 공간으로 단순히 비어두는 것도 효과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게 한다. ‘Garden Courtyard’역시 안내센터 입구와 같은 형태의 공간 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형태적으론 같지만 반대편의 빈 공간과는 달리 이곳은 올리브, 오크, 덩굴류 식물과 함께 목재데크로 채워져 있다. 즉 틀은 같지만 다른 내용의 그림이 그려있는 곳이다. 이러한 특성은 기념관 테라스에 올라가면 확연히 확인할 수 있다. ‘Garden Courtyard’ 디자인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전쟁으로 인해 목숨을 잃은 고인을 추모하고 소중한 가족을 잃은 유족들을 위로하기 위해 올리브 나무를 이식시킨 것이다. 이식된 올리브 나무 주변으로는 사암과 목재데크, 낙엽성 오크로 마감되었는데, 이러한 요소들은 이 정원을 보다 드라마틱하고 시적인 인상마저 들게 한다. 이 공간은 특별한 날의 기념 및 회상의 자리로 이용된다. 벤치와 벽구조물은 꽃을 헌화하기 위한 제단이 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구조물 아이템은 헌화된 꽃들의 섬세함과 강한 대조를 이룬다. Architect _ Ashton Raggatt McDougallLandscape Architect _ Rush/Wright AssociateClient _ Shrine of Remembrance TrusteesLocation _ Shrine of Remembrance, Melbourne, Australia
  • 제주 4·3 평화공원과 부산 유엔기념공원
    4·3 Peace Park in Jeju-do & UN Memorial Park in Busan 죽어간 넋이 진정으로 위로 받는 날이 오길 제주 4·3 평화공원에는 사건의 증언, 유가족 기록, 관련 자료의 보관 및 진상규명에 관한 연구, 또한 평화와 인권 관련 학술대회 및 전시 문화 행사를 진행할 공간으로서 제주 4·3 평화 기념관이 들어서 있다. 공원은 크게 두 개의 공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주진입부에서 가까운 위령탑을 중심으로 한 공간이며, 다른 하나는 그 너머에 위치한 위령제단이 세워진 추념광장이다. 공원의 중앙부에는 이유 없이 죽어간 사람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조형물“귀천(歸天)”과 제주도민의 화합과 평화, 통일을 기원하는 위령탑이 세워져 있다. 조형물 “귀천”에는 제대로 된 장례조차 치르지 못한 영혼들이 이제라도 수의를 입고 편안히 저승길을 가시라는 해원의 의미를 담았다. 이를 중심으로 주변에 원형을 그리며 동선이 나 있는데, 동선상에는 수변공간과 조형물“비설飛雪”, 지역별 추념의 광장 등이 들어서 있다. “비설”은 조형물이 위치한 부근에서 희생된 두 모녀의 비극을 죽음의 순간까지 아기를 꼭 껴안은 모성애로 표현한 작품이다. 눈 쌓인 겨울에 아무런 이유없이 죽어간 두 생명이 마치 덧없이 흩날리는 비설을 닮았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4·3 위령제단은 오석의 아치형으로 영원성을 상징하는 동시에 도민화합, 민주와 인권 그리고 안락의 공간을 상징하며 참배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내 나라를 지켜 준 이방인의 희생을 생각하면 너무나 작은 보답 유엔기념공원은 크게 진입부(정문 광장), 상징구역, 주묘역, 녹지지역으로 나누어진다. 상징구역에는 터키, 그리스, 뉴질랜드, 노르웨이, 태국 등 참전국의 전쟁 기념비들이 각국의 지원을 통해 건립되어 있고, 주묘역에는 호주 기념비, 프랑스 기념비, 캐나다 기념 동상, 영연방 위령탑과 호주, 캐나다, 프랑스, 네덜란드, 터키, 영국, 미국 등 7개국의 묘역이 있으며, 녹지지역에는유엔군 위령탑, 제2기념관, 연못, 유엔군 전몰장병 추모명비, 무명용사의 길(수로), 한-태 우정의 다리 등이 조성되어 있다. 공원 안에는 추모관, 기념관 등의 건물도 들어서 있다. 이중 유엔군 전몰장병 추모명비 건립은 2006년에, 노르웨이 기념비는 2007년에, 수로水路인 “무명용사의 길”은 2008년에 준공하는 등 각종 정비 사업이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다. ‘유엔군 전몰장병 추모명비’는 대한민국의 지원으로 2006년 10월에 건립된 것으로, 우주를 뜻하는 원형수반에 전몰영혼들이 머무는 하늘과 명비 그리고 보는 이들이 담겨 있으며, 수반 안에는 전쟁을 상징하는 철모가 맞은편에서 평화로운 연꽃으로 승화하는 내용을 표현하고 있다. 검정색 명비에는 참전 각국에서 제공한 40,895명의 전사자(실종자 포함)의 이름이 알파벳 순서(국가별, 개인별)로 새겨져 있다. ‘무명용사의 길(Unknown.. Soldiers’Pathway)’은 2008년에 준공되었다. 유엔군 위령탑에서 남향으로 내려가는 길에 조성된 수로水路인 이 무명용사의 길은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된 11개국을 상징하여 11이라는 숫자와 많은 것을 연관시키고 있다. 11개의 물 계단, 수로 위쪽의 11개의 분수대, 수로 가에 늘어선 11주의 소나무 등. 또한 수로 위쪽의 분수대는 각 11개씩 양쪽에 자리하고 있는데, 이는 유엔기념공원 안장국인 11개국 뿐 아니라, 한국전쟁에 참전한 22개국(한국 포함)을 의미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