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조경기술사, 기사 검정고시의 최근 출제경향
    15~6년전 조경이 전문분야로 설정된 이래 불과 5, 6년 전까지만 해도 기술인력의 확보라는게 전제가 되어서 다소 합격이 용이한 것도 사실이었으나 따지고 보면 그때는 그때 나름대로 영역에 대한 불확실성이라든가, 아니면 고사 준비를 위한 자료의 부족 등으로 어려움이 많았다. 이같은 사실을 감안하여 국가기술자격검정고시를 치르고자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뜻에서 검정기준, 출제경향, 1986년도 출제문제, 참고도서 1987년도 국가검정고시 시행계획을 자료로 엮어 소개한다. 조경기사 1, 2급이나 조경기술사 공히 조경인으로서의 자질 및 기초적인 상식을 묻는 문제에 대한 비중은 예나 지금이나 모두 높다. 다만 달라진 경향이 있다면, 첫째, 조경 기술인으로서 실무해결능력을 묻는 문제들이 더 많이 출제되고 있고 둘째, 문제가 상당히 전문화 되어 구체적인 사항이나 수치까지 묻는 추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실기고사가 승패를 좌우할만큼 난이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까다롭게 출제된다는 사실이다. ※ 키워드 :조경기사, 조경기술사, 1987년 국가기술자격검정고시, 1986년 국가검정고시 출제문제 ※ 페이지 : 51~58
  • IFLA
    제 25회 IFLA 세계총회가 1987년 9월 1일부터 4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며 동시에 세계학생 조경작품전이 열린다. 참가 및 모집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번 세계총회의 주제는 “조경을 통한 즐거움”으로 조경인의 역할과 대준의 호응을 얻을 수 있도록 디자인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국제적인 논의가 깊이있게 이루어질 것으로 본다. 세계총회의 일정은 다음과 같다. 1987년 8월 28일~4일, 이사회 정기총회는 1987년 9월 1일~4일, 정기총회, 강연, 워크샵 등이 Palais du Chaillot에서 행해지며 파리의 중요한 조경구조물 등의 방문. 1987년 9월 제25회 IFLA세계총회와 함께 개최되는 이번 세계학생작품전은 세계총회의 주제인 “조경을 통한 즐거움”과 맥락을 같이하여 인류의 즐거움과, 놀이와 축제를 위한 경관을 창조해내는 젊은 조경학도들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 것이다. ※ 키워드: 제25회 IFLA 세계총회, 프랑스 파리, 세계학생 조경작품전 ※ 페이지: 113
  • 사찰조경에 비친 한국인의 자연관
    산천의 변화가 많은 자연지세에 맞추어 자리잡은 한국 사원건축은 반드시 직선과 직각을 활용한 건물 배치를 하기가 매우 어려운 일이어서 적지않은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주변의 지세에 따라서 터전을 잡고 보면 일견 불규칙하게 보이기 마련이었다. 그러한 건축군(建築群)의 배치는 오히려 불규칙속에서 자연관의 조화를 이룰 수 있었던 공간적 특성이 전혀 부자연스럽지 않고 오히려 자연스러운 질서를 이루고 있는 것처럼 보여지게 마련이다. 그래서 사찰건축의 배치는 어느 하나도 똑같지 않은 전혀 균제되지 않은 그 자체로서 대자연의 일부처럼 보인다. 자연을 다루는 한국인의 심성은, 더욱이 선인(禪人)의 세계에서는 지나치게 가공되거나 오밀 조밀한 공간을 피하고 가능한대로 자연환경의 훌륭한 입지적 조건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소박하고 정감이 넘치는 생활터전을 형성한다. ※ 키워드 : 사찰, 가람, 불교, 사찰조영 ※ 페이지 : 40~44
  • 환경관리에서의 위락지 평가방법
    특정한 위락지역(Recreation Sites)의 가치는 자원관리에서 종종 중요한 고려대상이 되고 있다. 위락 지역에 대한 분석의 목표는 대안평가과정에서 효율적이고 장연에 대한 비교적인 수치를 제공함으로써 그런 지역에 대한 금전적 가치를 도출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뉴질랜드 북섬에 있는 튜티라호수에서 수행된, 특별한 위락지역에 대한 분석을 요약한 것이다. 방법론은 공공재(public goods) 형태의 위락 쾌적성에 대하여 방문과 관련있는 소비자잉여(consumers surplus)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는, 널리 적용되고 있는 여행비용의 접근방식에 기초를 두고 있다. 연구의 결과는 환경관리의사결정에서의 유용성과 비용편익형태의 경제평가에 대한 적용과 관련하여 토의된다. ※ 키워드 : 위락지 평가, 환경자원평가, 가치, 소비자잉여, 비용, 편익 ※ 페이지 : 34~39
  • 문화의 공간적 상상력과 조경
    문학에서는 공간이 곧 작품의 배경을 의미한다. 그것은 도시나 마을과 같은 지역을 뜻한다. 이러한 배경은 서사성의 근간을 이루며 이를 통하여 독자들에게 어떠한 고정상황을 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히스꽃과 바람뿐인 언덕, 그리고 히스크립이라는 인물의 성격이 교묘히 하나가 되는 작의가 소설에서 나타나는 배경의 기능이다. 그것은 독자에게 어느 구체적인 장소를 상상적으로 인식하게 해주는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고전소설이 필연적으로 낭만성을 떠나 논의될 수 없듯이 조선조 고전소설의 배경을 이루고 있는 것은 기화요초가 핀 정원, 혹은 황활한 풍경 등의 정해진 공간 설정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그러한 소도구적 장치 속에 바로 선인들이 추구했던 이상적 공간조경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문학속의 조경은 바로 배경을 묘사하여 공간을 구상적으로 드러나게 하는 작위적 표현방법이다. 그러므로 보다 명증하게 그들의 공간의식을 증명해주는 배열과 배치인지도 모른다. ※ 키워드 : 고전문학, 문학속의 조경, 공간의식, 춘향전, 옥호빙 ※ 페이지 : 105~108
  • 가로수의 월동대책
    온대성 기후대에 위치한 우리나라에서는 가로수의 동계관리가 소홀할 뿐만아니라 식재지 환경이 적합지 못하여 겨울에 피해를 입는 경우가 허다하다 동해로 인해 고사되는 원인은 겨울동안의 한냉으로 인한 수목의 조직내 결빙과 세포의 결빙이 있으며 한풍에 의한 증산의 과대로 건조되어 고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동해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가로수의 월동대책을 알아보았다. ※ 키워드 :가로수 월동대책, 동해 ※ 페이지 : 122~125
  • 조선의 궁원
    조선왕궁이 위치한 서울의 지세는 북쪽의 북악(北岳)을 주산(主山)으로 하고 왼쪽에 청룡인 낙산(駱山), 오른쪽에 백호인 인왕산(仁旺山)과 남쪽에 안산(案山)인 남산(南山)을 두고 명당수(明堂水)인 청계천(淸溪川)이 북북서에서 시작하여 동으로 흘러가고 객수(客水)인 한강이 동에서 와서 서로 흘러가는 극히 길(吉)한 형국을 형성하고 있다. 이 명당수의 중심혈(穴)에 자리한 것이 정궁인 경복궁이다. 1935년 경복궁을 창건하면서 종묘(宗廟)도 같이 창건되었는데 그 배치는 중국 주대(周代)부터 내려오는 ‘左視右社面朝後市’의 제도를 참작하여 정궁의 왼쪽에 왕가의 조상을 모시는 신궁(神宮)인 종묘를 배치하고 왕궁의 오른쪽에 국토신(國社檀)과 오곡신(國稷檀)을 모시는 사직단(社稷檀)을 배치하고 왕궁앞에 조정(朝庭)을 배치 하였다. 그러나 왕궁의 뒤에 시장(市場)을 배치하지 않은 것은 배산임수(背山臨水)하는 지리설의 영향인듯 하다. ※ 키워드 : 조선왕궁, 경복궁, 종묘, 창덕궁, 창경궁 ※ 페이지 : 99~104
  • 골프코스의 레이아웃
    골프에 있어서 한 코스는 연속된 18개의 홀로 구성되어 있고 국제경기의 경우 총연장 6,800야드 이상인 것이 추천되고 있다. 18홀의 적당한 표준 길이는 6,350야드 또는 6,200대에서 6,400야드(5,670~5,852m)의 범위가 된다. 첫 홀은 정식 Par 4나 약간 짧은 Par 5로 하고 나머지는 길이. 특징과 방향을 달리하되 짧은 Par 3과 긴 Par 5를 잘 조합한다. 가능하면 전반과 후반에 그 수를 같이 배정하되 하나도 같은 것이 두 번 연이어지는 일이 없게 한다. 다만 Championship용 코스 레이아웃에서는 마지막 몇 개를 계속 Par 5로 하면 Round의 끝에 가서 열기를 고조시키게 된다. 첫 번째 Tee와 10번 Tee, 9번째와 18번째 그린을 클럽하우스 앞이나 근처에 배치하고 그 가까이에 연습장이 있도록 한다. ※ 키워드: 골프코스, 코스 레이아웃, 18홀, 골프장 설계 ※ 페이지 : 126~131
  • 깨끗하고 반듯한 환경가꾸기
    88서울올림픽의 현장이며 1천 5백만 수도권 주민의 휴식공간인 경기도는 지역특성을 살려 계절마다 장소마다 향토 특색이 부각된 아름답고 쾌적한 자연경관을 조성하고 품위 있고 생동감 넘치는 생활환경을 가꾸어, 가까이는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에 대비하고 궁극적으로는 녹수청산의 옛 모습을 되찾아 도민의 정서함양과 문화적 생활환경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국토공원화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주민들이 보다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범도민적으로 홍보하는데 다른 어는 도에 비해 적극적이다. ※ 키워드 : 경기도, 국토공원화운동, 청결, 환경 ※ 페이지 : 120~121
  • 경기장 주변 조경
    경기장은 어디까지나 경기시설이 위주로 건설된 곳이기 때문에 대부분 조경적인 땅가름이나, 부지계획이 선행되지 못하고 일단의 시설물 위주로 모든 계획이 진행되어 조경계획은 부득이 기존의 상위 계획에 따라 처리되어야 하는 등 어려움과 문제점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 키워드: 경기장, 올림픽 ※ 페이지 : 137 -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