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빌딩조경 ; 국립중앙도서관
    주요동선과 건물을 따라 배식하여 동선을 유도하는 한편 도서관의 건물의 각 기능 및 각 부분(건물주변, 광장지역, 휴게공간, 사면지역, 주출입구 주변, 배후지역등)별 기능을 고려하여 상호연계성을 줄 수 있는 녹지체계를 수립한다. ※ 키워드 : 상징공간, 광장, 도서관 ※ 페이지 : 30 - 35
  • 안정된 녹색 공간
    작자인 고바야시에 의하면 이 정원을 구상하면서 가장 고심했던 것은 대문과 현관을 연결하는 동선의 설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점이었다 한다. 일직선으로 연결하면 부지와 대각선이 되어 버리고 결국 몇 번의 도면작업 끝에 중심에서 현재의 위치로 설계하게 되었다고 한다. ※ 키워드: 일본식 정원, 주택, 주거지 ※ 페이지 : 36 - 39
  • 세계의 국립공원 ; YELLOWSTONE 국립공원
    국립공원의 발상지이며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국립공원, 세계최초의 국립공원 YELLOWSTONE은 1872년에 탄생되었다. 아이다호주에 걸쳐있는 이 공원은 그 면적이 8,991㎢에 이르는 광대한 원시지역으로 록키산맥에 속해 있으며 대부분이 와이오밍주 북서부에 해당하고 일부가 몬타나 아이다호주에 속하는데 원시림, 호수, 협곡, 폭포, 화산현상, 간헐천 등으로 이루어진 이 아름다운 자연에는 아메리카들소, 큰곰, 무스 등의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세계최초의 국립공원과 걸맞게 완벽한 자연보호가 되어 있는 옐로우스톤 국립공원이지만 공원내를 순환하는 도로는 정비가 잘되었다. ※ 키워드: 국립공원, 미국, 해외 ※ 페이지 : 78 - 85
  • 한국교원대학교 조경기본설계
    본 계획은 한국교원대학교의 고유한 경관을 합리적으로 조성하기 위한 캠퍼스 환경발전계획의 일환으로 교지 전반적인 조림 및 조경의 기본골격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향후 부분적으로 진행될 실시설계에 대한 확고한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일관성있는 경관으로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캠퍼스내 액티비티 코리더의 결절점에 위치한 3개의 광장과 각 건물군에 형성되는 중정을 연결하는 Green Pedestrian Mall을 조성하여 옥외활동 중심지로서 보행자 전용공간을 확보하여 보행공간간의 연계성을 강화한다. 시설물에 우선하는 기존의 도로체계는 방향성과 보차분리의 원칙을 강조하여 동선의 흐름유지와 아울러 순환도로의 성격을 강화하고 단위 건물별 주차공간의 확보를 통해 보행공간에 대한 자동차의 간섭을 배제했다.※ 키워드 : 캠퍼스 ※ 페이지 : 122- 127
  • 아름다운 정원 ; 삶의 액센트를 부여한 정원
    이 프로젝트의 건물배치는 일반적인 주택의 배치와는 달리 남향 정원의 반대편에 대문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현관과의 동선이 짧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공간의 성격도 다를 수 밖에 없으며, 입구에서 현관에 이르는 공간의 분위기는 한적하고 심플하게 조성함으로서 방문객의 첫인상은 산뜻하게 느껴지도록 꾸몄으며 ㄷ자 건물의 Semi Patio 식 중정은 건물내부에서 보는 시선을 고려하여 창문을 하나의 Frame으로 생각해서 경관조성에 유의, 디테일하게 처리하였다. ※ 키워드 : 정원, 주택, 주거지 ※ 페이지 : 26 - 29
  • 세계의 국립공원 ; 알래스카 DENALI 국립공원
    DANALI란 인디언 말로 높은 산을 뜻하는데, 구체적으로 맥킨리산을 지칭한다. 그러나 데나리 공원은 맥킨리산의 거대함 때문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것은 아니다. 1917년 이 지역을 2차례에 걸쳐 답사하여 훌륭한 대자연, 특히 풍부한 야생동물에 깊은 감명을 받은 사냥꾼이며 박물학자인 ‘셀든’의 진언에 의해 대형 포유류의 보호를 목적으로 미국 의회가 이 곳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였다. 공원의 이름은 맥킨리산국립공원이었으나 그 후 여러번 공원구역 변경으로 1980년에 데나리공원으로 개칭되었다. 데나리 국립공원 내에는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자연보호 활동이 실시되고 있다. 맥킨리산이 1917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을 때 사냥 애호가들의 야생동물 포획은 환경보호 측면에서 그다지 큰 우려는 없는 것으로 보였다. ※ 키워드: 국립공원, 세계의 국립공원, 해외국립공원, 알래스카, DENALI, 데나리공원 ※ 페이지 : 70-75
  • 조각이 있는 작은 정원
    Fawcett의 분수를 세우기 위해 디자인이 되고 Mr. Demetrios는 테이블 모델로부터 실물사이즈의 분수를 완성시켰다. 각 모조물들은손가락 굵기의 내부보강재에 의해 수직으로 형태를 유지하고 바깥은 마분지로 형태를 만들었다. 이 단계에서는 물의 흐름과 율동이 연구되어져서 청동판 금속 용접으로 형태를 떠 형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덮개를 벗기고 난 후에 마분지로 형태를 만드는 과정이 이뤄졌다. 이러한 과정으로 탄생된 이 조각물은 이제 Fawcett 정원의 모든 요소들을 끌어들여 만족을 가져다 주는 정원의 정신으로 되었으며, 분수는 각기 독자적인 선율을 부여하고 도시의 소음을 감쇠시켜주고 있다. 식당과 연결된 2층 데크로 발길을 옮기면 15피트나 되는 분수의 끝부분이 보인다. 분수의 매력에 끌려 내려서면 분수의 멜로디는 더욱 선명해지고 이곳에선 정원의 남쪽 경관이 시원스레 보인다. 이곳에서는 정원에서 3개의 주요요소인 온천장과 합체된다. 마당에 있는 벽돌 파티오는 넓은 플랜팅 베드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이곳에 있는 소량의 식물은 날이 갈수록 풍성하게 성숙도를 더해간다. 자줏빛의 서양오얏나무는 자연과 더불어 공명하며 무성한 잎으로 캐노피를 제공한다. ※ 키워드: 정원, 조각, 조각정원, 해외정원, Richard Schadt, 분수, Fawcett ※ 페이지 : 34-39
  • 아름다운 정원 ; 작지만 짜임새있는 정원
    대지의 위치가 정면 도로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는데 위치함으로서 정면에서 차폐가 우선적으로 처리되다보니 다소 갑갑한 점을 배제할 수 없었으며, 입구의 차고는 차고의 슬라브가 지상부로 1.5m 정도 돌출되므로 돌출부를 성토해서 조그만 돌산을 조성하였으며, 현관에서 대문에 이르는 동선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동선으로 이용에 편의성을 최대한 반영시켜 넓게 적극적인 자연석 포장으로 조성하였다. 동선의 움직임에 따른 시선을 의식하여 시선이 멈추는 곳에는 석등 및 독립수를 식재하여 시선에 변화를 주었으며 계절의 변화에 따른 수목배치와 함께 주변의 경관이 시각적으로 문제점으로 남아 주변은 차폐위주로 식재처리함과 동시에 시선이 가까운 곳에는 이끼, 맥문동, 비비추 등으로 섬세한 디테일을 조성하였다. ※ 키워드 : 정원, 차폐식재, 주택정원, 정원디테일 ※ 페이지 : 24-27
  • 한국종합무역센터 조경기본계획
    한국종합무역센터의 건립은 내부적 무역활동의 통일성을 강화하여 무역환경의 선진화를 기함과 동시에 물리적 환경의 정체성을 부각하여 잠실 부도심의 관문과 중핵을 조성함을 계획의 배경으로 하며 본 무역센터 옥외공간의 쾌적한 환경 조성과 활성화가 계획의 목적이 된다. ※ 키워드 : 한국종합무역센터, 코엑스, COEX ※ 페이지 : 128-135
  • 빌딩조경 ; 럭키금성트윈타워
    미려하면서도 장중한 건물을 동서측에 배치하고, 두 건물을 선큰가든 및 연결동 형태의 아트리움을 계획 조형상의 일체감을 형성하여 녹지대 및 화단 등의 조경시설물을 밀도있게 배치함으로서 건물 주위 경관의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한 완충작용을 기하도록 하였다. 또한 대지 전면 중앙부에 주정차가 자유로운 교통광장을 설치하여 중앙의 아트리움 및 선큰가든으로의 직접 출입을 원활하게 하였다. 아울러 건물 1, 2층 부분을 기둥선에서 후퇴시켜 유리벽으로 처리함으로써 공공의 유도 및 접근시 여유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등 공공에 대한 배려를 주어진 여건에서 최대한으로 강화하여 녹지 및 휴식공간의 충분함을 도모하였고 조경공간의 확대, 가로수 및 보도공간은 물론 나아가 여의도광장의 수림대까지를 함께 포용하는 거시적 안목으로 조경계획을 입안하였다.※ 키워드: 트윈타워, LG타워, 빌딩조경 ※ 페이지 : 2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