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아름다운 정원 ; 짜임새 있는 소규모 정원
    위치_서울 강남구 역삼동 조경설계시공_ 모아조경 조경면적_ 218㎡ 정원의 형태가 폭이 좁고 길어서 자칫 단조로움에 빠질 우려가 있으나 소나무, 단풍나무, 감나무 등을 자연스럽게 배치하고 철쭉, 회양목 등을 물결모양으로 군식하여 앞집과의 차폐효과를 주면서 공간의 변화를 주도록 하였다. 폭이 좁은 정원에서 우뚝한 건물의 수직적 경직성을 완화시키고 건축물과 정원과의 연결매체로 대형 모과나무를 식재하여 내부에서 조망하였을 때 화사함을 주고 정원의 깊이를 더하여 주어 이 정원의 시각상 포인트가 되고 있다. 유실수 정원을 선호하는 건축주의 취향에 따라 모과나무를 비롯하여 대추나무, 감나무, 자두나무가 골고루 식재되어 계절감을 뚜렷이 하고 있다. ※ 키워드: 모아조경, 정원, 차폐효과, 유실수, 역삼동, 정원 소유주 ※ 페이지: 30~33
  • 라빌레뜨 공원
    도시공원 혹은 도시 가운데의 정원인 라빌레뜨는 새로운 정신을 반영하는 녹색지대이다. 동시에 자율적이며 대중적 시설이 있는 일종의 여가지대이다. 과학과 문학을 조화시켜 계획한 이 정원은 과학산업관, 그랜드 홀(라 그랑드 알르), 제니뜨(음악도시) 등 그 안에 내재해 있는 시설들 간의 연결을 도모한 질적으로나 다양성으로 매우 특징있는 문화의 총체를 이루고 있다. 라빌레뜨공원 현상공모의 수상자인 베르나르드 츄미(Bernard Tschumi)는 선형·공간활동에 중점을 두고 직선과 곡선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등 “21세기의 새로운 공원모델”이라 불릴만한 획기적인 공원계획안을 내놓아 당시의 영광을 안았다. ※ 키워드 : 라빌레뜨공원, 베르나르드 츄미, 체계, 중첩, 연속성, 장면의 설정, 폴리, 갈르리 ※ 페이지 : 36~41
  • 포항공과대학
    위치 : 경북 포항시 효자동 산 31번지 | 86년 12월 3일 개교 | 10개의 학과 포항공대는 특성화 대학이며 한정된 소수정예의 전문기술인을 양성하는 제한적 목표를 지니기 때문에 초기계획부터 명확하게 완결된 형식의 마스터플랜을 갖고 있었다. 포항시와 영일만이 내려다 보이는 구릉위에 위치하며 대학과 연구소, 기숙사와 운동시설 등 4개의 지구로 구분되어진 대학은 환상형의 외곽도로를 따라 접근하되 일간의 대학조직체계가 이 환상형 도로 내부에서 완결되어지게끔 한다. 모든 구조물은 외곽과 내부의 공간조직을 이중적 구조로 구분하고 있다. 즉, 이것은 안과 밖의 의미로부터 출발하여 자동차와 보행자의 영역분할. Servant Area와 Serveed Area의 분할, Path와 Place의 병치로 해석된다. 포항공대에서 보행자 영역은 반내부적 외부공간으로서 기능상 아트리움 스페이스가 된다. ※ 키워드 : 포항공대, 캠퍼스, 환상형 도로, 물, 휴식공간, 대학광장 ※ 페이지 : p30~35
  • 아드리안 장
    로마가 바라다 보이는 티부티니산맥의 기슭에 위치한 아드리안장은 아드리안 황제가 서기 118년과 138년 사이에 건립한 거대한 건축복합물이다. 그 크기와 장엄함은 고대 전체를 통털어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 “전원도시”로 더 잘 정의되며 황제와 그의 황족 뿐만 아니라 황실궁정의 대부분의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었다. 빌라의 다양한 건물군은 엄격하게 통일된 도시계획개념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다소 자연적인 지형에 의해 결정된 5개지역에 배치하는 식으로 설계되었다. 아드리안장의 공간구성은 Poecile지역, Canopus지역, Great Peristyle지역, Island Nymphem지역, 기타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 키워드: 티볼리, 아드리안장, 아드리안 황제, 별장, ※ 페이지 : 42~47
  • 아름다운 정원 ; 봄을 안겨다 준 정원
    설계·시공 : 청명농원 전체면적 : 612.5㎡(185.6평)조경면적 : 441.5㎡(133.7평)이 정원의 전체적인 느낌은 아직도 겨울잠에서 않은 탓인지 그저 조용하고 차분한 분위기이며 백색과 붉은 색의 조화로 깨끗한 인상을 풍기는데, 네모 반듯한 디딤돌이 그러하고 적벽돌에 백색을 매치시킨 건물이 그러하다. 요모조모 아기자기하게 꾸민 정원을 하나씩 둘러보면, 대문에서 현관으로의 진입은 레벨차를 이용하여 돌계단을 만들었으며, pot에 심겨진 누운향과 진달래가 한창이다. 건물 옆으로 돌아가면 후정이라 볼 수 있는 자그마한 공간이 잇는데 여기에는 백일홍, 섬잣나무, 백목련, 가이즈까향나무 등이 군식되어 있고 아래로 누운향이 받쳐주고 있다. ※ 키워드: 주택정원, 봄, 잔디정원, 후정 ※ 페이지 : 26~29
  • 청주운천시범공원계획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운천동 620번지 일대 면적 : 약 233,000㎡(70,480평) 설계·시공 : 한림종합조경 청주시는 충청북도의 행정·교육·문화·상업의 중심지이지만 도시환경의 측면에서 이렇다할 뚜렷한 특징을 지니고 있지 못하다. 더구나 개발된 공원의 절대적인 양적부족과 공원녹지체계의 미비는 이러한 현상을 더욱 확증시켜주고 있다. 이에 청주시민을 위한 여가공간 ·시설의 질적·양적 확충은 단순히 좀더 많은 여가기회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기도 하지만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고 특색있는 도시환경을 이루는데 그 목적이 있기도 하다. 현재의 부족한 공원의 개발에 대한 요구, 지역적 특성을 부각시키는 환경요소의 소유에 대한 요구, 쾌적한 도시환경에 대한 요구 등 이 모두는 운천공원개발에 대한 동인이기도 하지만 아울러 운천공원개발의 방향이기도 하다. ※ 키워드 : 청주 공원, 운천공원 ※ 페이지 : 162~167
  • 척산 직원생활 연수관 조경계획
    본 계획은 직원들의 복지후생증대 및 교육을 위하여 신축되는 한국도로공사 척산직원 생활연수관에 대하여 주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경관조성과 이용객의 다양한 욕구와 형태를 퉁족시킬 수 있는 조경계획 및 설계를 통하여 쾌적한 천수환경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키워드 : 연수관 ※ 페이지 : 154 - 161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대학이란 곳은 교육과 연구를 위한 기본시설 외에도 주차장, 보행로, 운동장 등의 지원시설과 학생들이 정열과 의지로 학문을 탐구하면서 한편으론 낭만적인 대학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공간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이상적인 대학캠퍼스가 되기 위해서는 자연의 산이나 호수와 각종 시설들이 자연스럽게 융합되어 시각적 조화를 이루며 동선을 매끄럽게 계획되어 불편한 점을 최대한 배제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대학캠퍼스를 건설하기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이번에는 캠퍼스 조성이 비교적 오래되지 않아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를 찾아 보았다. ※ 키워드 : 캠퍼스 ※ 페이지 : p32 -37
  • 아름다운 정원 ; 자연과 어우러진 정
    이 주택정원은 구룡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도심지 안에의 주택정원에 있어서는 상록수림의 침엽수로 수벽을 쳐서, 주변경관의 딱딱한 분위기를 없애주는데 반해 이 주택은 자연경관 그 자체가 훌륭한 조망의 대상이고, 그 대상을 정원안으로 끌어들이기에 충분하다. 정원조성 전엔 정원대지가 경사져 있어서인지 불안하고 어수선한 분위기였고 생활의 장으로서는 불필요하였다. 이런 공간을 현관진입공간, 전정공간, 후정공간, 휴식공간 등 4부분으로 명확하게 구획지어 놓고, 정원대지를 평탄하게 조성하여 편한한 공간을 만들었다. ※ 키워드 : 주택, 정원, 거주지 ※ 페이지 : 26 - 31
  • 태국의 에머럴드 사원
    에메럴드 사원은 태국 왕실의 사원으로서 왕궁을 두르는 성벽안에 있다. 본존을 비취와 같은 돌로 만드었기 때문에 에메랄드 사원이라 한다. 에메랄드 사원의 전체적인 느낌은 웅장하면서도 근엄하며, 화려하면서도 단아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사원의 규모로 보나 건축미로 보나 어떤 관광자원보다 뒤떨어지지 않으며 태국 국민의 긍지와 자부심을 나타내기에 부족하지 않다. ※ 키워드 : 해외, 태국, 사원 ※ 페이지 : 38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