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개포동 엘지 자이
  • 환경과조경 2004년 10월

· 대지면적 : 15,487.30 m2
· 세대수 : 212 세대
· 조경면적 : 6,363.03 m2
· 조경공사비 : 약 20 억원
· 준공일 : 2004. 6.
· 엘지건설 조경담당 : 강철현과장 조영철과장
· 조경설계 : (주) 그룹.한(박명권소장, 최철호부소장, 장경수대리 )
· 조경공사 : 고려조경 (대표이사 : 정타)

도심속 친 환경 단지를 위한 새로운 시도
최근 우리 나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주거단지 조경 설계에서는 친 환경, 또는 생태주거 단지로의 설계 경향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독일이나 일본 등 선진의 사례에서 많이 접하는 것과는 달리 실제 우리 나라의 독특한 주거 문화에서 비롯된 제한적 여건 속에서는 이를 제대로 수용하기가 쉽지 않음을 많은 설계가들은 느끼고 있을 것이다. 생태 주거단지 조경설계의 주요 핵심 과제는 첫째, 자연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거나 환경을 조성하여 인간만이 아닌 다양한 생물들과의 공존을 모색하고자하는 시도이고, 둘째는 점차 고갈되어 가는 지구자원과 에너지를 최대한 아끼고 활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들이다. 이를 통하여 비로소 그 속에서 생활하는 우리들의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위한 환경을 가꾸어 나가는 것이 세 번째의 과제라 할 수 있다.


친 환경 단지를 위한 세가지 시도

하나, 생물의 서식처 만들기
우리는 개포동 자이를 설계하면서 가능한 한 위에서 언급된 세 가지 목표들을 하나씩 이루어 나가려는 시도를 하였다. 우선 삭막한 도심의 고밀화된 주거 단지 속에서도 생명의 소중함과 자연과의 공생의 장을 열어가기 위한 노력으로서 수생 비오톱을 계획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연 구릉을 만들고 계류를 따라 물이 흘러서 생태연못에 이르고 이곳에서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갈 수 있는 서식처를 만들고 이 물을 다시 정화구역으로 보내어 침전과 여과과정을 거쳐 맑아진 물이 다시 순환되는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현재 우리 나라에 도입된 생태연못은 실제 적용에 있어서 몇 가지 제약이 따른다. 문제는 정화구역의 깊이인데 면적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략 2 m 이상의 깊이가 요구되고 있다. 이는 지하주차장이 거의 모든 대지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적 현실에서는 많은 문제가 있다. 아마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어야 앞으로 이와 같은 생태 연못을 도입하기가 보다 용이 할 것이다. 다행히도 우리 부지 내에서는 정화 구역을 설치할 수 있는 자연 지반을 외각에 비교적 넓게 확보 할 수 있었기에 이를 도입할 수 있었다.
둘, 녹시율을 높여라
우리가 시도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단지 내의 미기후를 조절하고 시각적 쾌적성을 높일 수 있는 녹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벽면이나 포장면 등 가급적 많은 면적을 녹화하여 식물들의 증산 작용과 투수성포장의 온도 조절 기능을 활용하고, 여름철 과다한 에어컨사용과 겨울철 난방기 사용량을 최대한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지하수의 고갈을 막으면서 쾌적한 녹색환경을 만드는 것이 그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단지내 모든 포장재를 가급적 투수성이며 자연재료를 활용한 소재로 계획하였다. 단지중앙을 가로지르는 보행통로는 잔디블럭을 사용하여 녹화하였고 주차장에도 이를 사용하였다. 또한 보도는 투수성 점토블럭을, 차도에도 아스팔트 대신 투수블럭을 사용하였다. 입면의 녹화를 위해 단지 중앙보행로 좌우로 목재 트렐리스를 활용한 벽면녹화를 시도하였고, 수직적인 건물의 입면을 차폐하기 위해 주요 시각적 정점에는 대적송을 군식하였다. 단지가 좁고 조경 면적이 작음에도 녹음의 풍성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은 이와 같은 시도 때문이다.
셋 , 건강을 위한 단지
최근 아파트 단지의 분양광고를 보면 ‘환경친화’라는 말보다 많이 언급되고 있는 것이 바로 ‘건강(Well-being)’이다. 이제 현대인들에게 건강이란 화두는 ‘돈’과 함께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단지계획에서 건강(Well-being)을 주제로 한 여러 분야의 시도들이 있지만 우리 조경의 관점에서 보면 외부공간에서 제공되어지는 오픈스페이스의 활용을 어떻게 ‘건강’이란 주제와 연결시킬 것 인가라는 시각으로 접근 할 수 있겠다. 과거의 사례를 보면 오로지 주어진 공간의 틀 속에서만 이런 운동 시설들이 설치되었는데 이제는 단지 전체가 하나의 다양한 운동공간으로 변모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보다 체계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하여 코스를 따라 여러 가지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휘트니스 코스와, 가족단위의 휴게공간과 함께 조성된 피지컬 프라자를 설계하였다. 휘트니스 코스는 숲 속의 오솔길을 따라 조깅과 산책을 겸할 수 있고, 피지컬 프라자에서는 가벼운 운동과 함께 바비큐 파티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물론 이와 같은 물리적인 운동 시설보다도 더욱 효과적인 건강 아이템은 녹음이 풍부하고 생명이 살아 숨쉬는 자연 환경을 조성하는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우리는 위와 같은 세가지 과제를 통하여 나름대로 친 환경 주거 단지를 설계하려고 노력하였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과제는 조경 설계를 통한 표피적인 접근에 앞서, 단지계획 초기부터 단지 주변의 자연경관이나 생태계와의 유기적인 연계를 꾀하고 에너지 절약과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건축적 메카니즘을 도입해야 하며,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함께 병행되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제 우리는 모든 계획과 설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환경의 질’ 임을 부인할 수 없다. 우리 조경가들은 이러한 노력의 가장 중심에 서야할 역사적 사명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