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대중소설과 공간읽기
  • 환경과조경 2003년 12월
2002년 7월 필자는 ‘문학비평을 할 처지도, 또 그럴만한 지식이나 소양도 없다’는 거창한 전제를 걸어놓고 『소설속 공간산책』이라는 이름의 책을 펴낸 바 있다. 그리고 건축을 업으로 하는 입장에서 왜 그런 무모한 짓(?)을 했는가라고 마뜩찮은 표정으로 물어오는 분들에게는 ‘하이브리드로 세상을 읽어보고 싶었기 때문’ 사실 이 말은 토론토대학에서 과학기술사를 강의하고 계셨던 홍성욱 교수의 책 『하이브리드 세상읽기(2003.4, 안그라픽스 출간)』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어 사용한 변명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소설속 공간산책』을 출간하게 된 동기나 과정은 사실 심각하게 고민하였던 것이 아니라 우연찮은 기회에 인터넷 잡지에 글을 연재하게 되었고, 그 글을 본 건축계의 지인들이 온라인은 아직도 한계가 있는 것이니 오프라인으로 그 내용을 다시 내보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정도로 흘려보낸 발언을 필자가 곡해하여 믿었던 때문이라고 해야 옳을지도 모른다.이라고 답을 드리곤 했다. 그리고는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나 서현의 『건축, 음악처럼 듣고 미술처럼 보다』 혹은 홍성용의 『영화속 건축이야기』 등등의 책들처럼 근대 이후 고립된 전문영역으로 스스로의 위안과 자기논리를 위해 일반 대중과 괴리된 담론을 추구해온 소위 전공분야의 고민과 논리 그리고 그들이 추구하는 이상을 보다 대중적인 것으로 진전시키기 위한 작업이라고 자위하곤 했다. 그런 까닭에 건축이나 도시설계를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공부삼아 다양한 스펙트럼을 갖는 동시대의 문화를 현상적으로나마 이해해 본다는 취지에서 틈틈이 읽어왔던 소설을 건축적으로 변환하고자 했음이라고 책의 출간에 대한 이유를 밝혀둔 바 있다. 특히, 작가들의 섬세한 눈과 수려한 문장은 건축가나 계획가들이 만들어내는 일상적인 공간이나 환경을 전혀 다른 입장에서 읽기도 하고 때로는 허구이거나 혹은 사실(facts)이거나 간에 건축가의 작업이나 계획가의 의도와는 다른 새로운 상징이나 기억을 작품속의 공간에 부여함으로써 장소를 만들어가는 그들의 작업에 일종의 경외감을 가지며 주말마다 그들의 글을 읽어오는 일에 흥미를 가지곤 하였다. 우리가 늘상 취식하는 감자가 북아메리카를 원산지로 하고 있다는 사실도 구효서의 라는 작품을 통해 알았고, 송영 선생의 덕분에 전쟁의 참화를 겪은 바그다드의 오랜 역사가 알고 싶었으며, 우다이와 쿠사이가 미군에 의해 모슬에서 죽었다는 소식을 접하고는 권삼윤이 지은 라는 책을 구해 읽게 되었으니 그게 또 행복이었다. 아침부터 매미소리가 캠퍼스를 가득 메웠던 지난 8월에는 윤대녕의 을 읽으며 경주에서 강릉으로 이어지는 수로부인의 설화를 따라잡고 싶어 가족들을 채근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들의 세계를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십대들의 공간환경 지각과 일상공간에 대한 그들의 세계관을 김영하의 나 정이현의 소설집 를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할 수 있었으니 단순히 건축공부 이외의 부산물로 십대에 속한 딸자식 둘과의 이야기 코드를 맞춰보는 기회도 얻었다. 집과 주거공간에 대한 예를 들어보자. 비록 소설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이 땅에 서구의 주거문화가 이식되기 시작하던 때 석영(夕影) 안석주의 만문만화(漫文漫畵)는 전차에서 종아리를 드러낸 젊은 여자들의 ‘나는 문화주택만 지어주면 일흔살도 괜찮아요’ 조선일보 1930년 1월 12일자 夕影 안석주의 漫文漫畵, 『녀성 푸로파간다-시대가 오면라는 비유를 일컬음으로써 서구의 문화이식에 대한 갈등과 충돌을 얘기한 바 있으며, ‘재산푼어치나 뭉둥그린 제 어머이 덕에 구미歐美의 대학大學 방청석 한 귀퉁이에 앉아서 졸다가 온 친구와 일본 긴자銀座통만 갔다온 친구들과 혹은 A, B, C나 겨우 알아볼 만치된 아가씨와 결혼만 하면 문화주택! 문화주택하고 떠든다’ 조선일보 1930년 11월 28일자 夕影 안석주의 漫文漫畵, 『1931년이 오면』고 세태를 안타까워하기도 했다. 일제에 의해 도시조직이 재편되고 당시 집장사들에 의해 지어진 가회동의 한옥과 일본의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방계회사인 조선도시경영주식회사가 새롭게 조성한 장충동의 주거지를 당시의 사회상과 더불어 상징적으로 대비시킨 박범신의 도서출판 이룸, 2001년 6월, 26쪽 및 343쪽 참조은 서울의 주거공간 변화과정과 그에 따른 사회의 분파 내지는 갈등을 잘 일러주기도 한다. 또 1966년 신문연재 당시 폭발적인 인기를 불러 모았던 이호철의 세태소설 이 소설은 본래 1966년에 신문연재가 되었던 소설인데 2003년 단행본으로 복간되어 출산되었다. 이소북, 2003년 4월, 324~327쪽는 이미 40년 전에 신문에 연재되었던 소설이 왜 굳이 21세기에 다시 출간되었을까를 곱씹어 보지 않더라도 첫 장을 넘기면서 현재형으로 읽히는 매력을 선사하기도 하며, 이 땅에 단지식 아파트의 효시가 되었다고 하는 마포 주공아파트의 풍경과 서민들의 공간 생산양식을 읽어내게 한다. 물론 그 안에서 생활을 영위하는 도시민의 일상이 적나라하게 묘사되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서하진의 《라벤더 향기》, 문학동네, 2000년 8월, 48~49쪽 참조를 통해서는 실속보다는 치레가 우선하는 우리의 삶터와 함께 치레에 높은 값을 매긴 뒤 분양을 받아 한참을 기다려 실속을 담으면 모델하우스에서의 왜곡된 주거문화의 원인과 경위를 유쾌하지만 씁쓰레한 표정으로 읽어갈 수 있으며, 조정래의 《조정래 문학전집 4》, 해냄출판사, 1999년 6월, 112~113쪽 참조.를 통해서는 1970년대 전반부의 노동운동과 도시빈민투쟁, 국가보위에 관한 임시조치법, 사채동결과 비상계엄령 선포 그리고 이어진 유신개헌 단행 등으로 1960년대 후반기에 지속되었던 고도경제성장이 일시적인 침체기를 맞이하던 때의 풍광을 고스란히 읽어낼 수 있다. 또한 유례가 없는 도시화의 과정속에서 찌들고 피폐해가는 농촌의 모습과 그들의 일상공간에서의 탈출과정 그리고 무작정 상경한 젊은 남녀들을 맞는 도시의 광폭함을 고스란히 그려내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는 어떠한 공간환경의 변화를 겪어왔는가는 정도상의 실천문학사, 2003년 2월, 19~20쪽 참조을 통해 짐작하기도 한다. 박 철 수 Park, Cheol Soo · 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조경학부 교수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