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뚝둑, 걸어보길
Step by Step, Echoing the Past
  • 이호우, 김태원
  • 환경과조경 2024년 6월

[크기변환]step 01-1.jpg

 

레트로스케이프

레트로스케이프(retroscape)는 회상, 추억, 복고의 의미하는 ‘레트로(retro)’와 경관을 뜻하는 ‘랜드스케이프(landscape)’를 결합한 단어다. 미래를 지향하는 정원보다 과거의 기록을 통해 옛 경관을 피워내는 레트로스케이프에 집중하고자 했다. 급속하게 변화하는 대도시 속이 정원은 과거의 경관을 남기는 장치로 시민에게 과거의 경관을 생각하며 쉴 수 있는 매개체가 된다.

 

메모리얼 가든

개발로 인해 사라진 자연을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했다. 현재의 대상지는 과거 한강의 모래톱을 그대로 재현하기엔 힘든 땅이 되어버렸다. 사라진 모래를 대변하는 장치를 활용해 과거 한강의 모래톱과 현재의 모습이 연결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자연의 경계에 위치한 뚝섬의 모습은 곡선을 통해 표현했다.

 

뚝둑, 걸어보길

‘뚝둑’은 뚝섬과 둑섬의 앞 글자를 합친 의태어다. 뚝둑이 가진 두 가지 의미를 정원에 담았다. 첫째, 말이 뛰어다니던 경관과 소리, 이곳을 이용하던 방문객의 발소리를 나타냈다. 둘째, 현재와 과거의 장소를 직선과 곡선으로 표현해 경관적 시간을 나열하고, 이전의 모습을 기억하고 걸어볼 수 있게 했다.

 

step 03.jpg
중앙에 그늘을 드리우는 버드나무를 심고 달려오는 말들의 발자국을 표현한 벤치를 두었다.

 

 

환경과조경 434(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설계 이호우, 김태원

시공 권아림, 이호연

후원 에이가든 컴퍼니, 무안가드너

 

이호우는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생태복원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그린스마트시티학과에서 박사 수료 후 현재 논문을 쓰고 있다. 도시에서 쉼의 공간과 자연의 숨을  생각하는 담 대표로 정원 활동을 하고 있다.

 

김태원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전통 조경을 전공하고 미래유산대학원에서 한국정원컨텐츠학을 공부 중이다. 한국 고유의 정서와 경관이 갖는 자연관과 철학을 믿는다. 현대적인 공간에서 전통을 탐색하고 지키는 조경가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