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PREV 2024 Year           PREV 06 June NEXT

환경과조경 2024년 6월

정보
출간일
이매거진 가격 10,000
잡지 가격 11,000

기사리스트

[에디토리얼] 가보지 않고 실은 프로젝트 격파하기
5월호 에디토리얼 원고를 서둘러 쓰고 파리행 비행기를 탔다. 딱 한 달 뒤 암스테르담에서 서울로 돌아오는 표만 예약한 채 떠난 긴 여행. 두 가지 큰 원칙만 정하고 모든 걸 열어뒀다. 첫 번째 원칙은 아무런 계획도 세우지 않기. 어느 도시를 다음 행선지로 할지, 내일은 무엇을 할지 미리 정하지 않았다. 두 번째 원칙은 모든 종류의 활자로부터 멀어지기. 여행 중반부에 신문 칼럼 마감이 겹쳐 어쩔 수 없이 노트북을 켰지만, 적어도 책을 한 페이지도 읽지 않겠다는 결심을 지키는 데는 성공했다. 지인의 거처가 있는 베를린에서 예정에 없던 ‘보름 살기’를 하고 다음 도시로 택한 곳은 코펜하겐. 11년 만에 코펜하겐을 다시 방문한 건 『환경과조경』 지면에 담았던 여러 근작을 내 눈과 발로 확인하고 싶어서였다.잡지에 해외 신작을 실을 때면 그 작품의 수준이 높고 메시지가 강하더라도 마음이 무겁고 뭔가 개운하지 않다. 책으로 연애를 배운 느낌이랄까. 여행은 작품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채 지면에 편집하는 부담감 혹은 아쉬움을 뒤늦게나마 덜어낼 기회다. 코펜하겐에 도착하자마자 찾아간 곳은 지난해 완공된 ‘오페라 공원’(Cobe 설계). 지난 4월호(432호) 표지에 올렸던 작품이다. 코펜하겐 내항의 탈산업 부지에 만든 이 공원은 왕립 오페라 극장의 정원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도시 중심부에서 낭만적인 자연 경관을 일상적으로 경험하게 해준다. 뜨거운 햇살 아래 바닷바람 맞으며 공원 구석구석을 걸었다. 교정용 편집본에 빨간색 플러스펜으로 ‘엑설런트 프로젝트’라고 썼던 메모, 섣부른 판단이 아니었다. 오페라 공원에 가기 위해 탄 여객선은 수상 버스 역할을 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다시 배에 올라 운하 곳곳을 다닐 수 있었는데, 어디서 본 듯 익숙한 다리 옆을 지날 때 내 입에서 절로 탄성이 터졌다. 2016년 2월호(334호) 특집 ‘다리, 연결 그 이상’에 실은 ‘시르켈브로엔(Cirkelbroen)’이었다. 영어로 바꾸면 서클 브리지. 원판 다섯 개를 이어붙인 형태의 이 다리는 아모레퍼시픽 사옥 외부 공간의 설치 조형물로 우리에게도 익숙한 올라퍼 엘리아슨(Olafur Eliasson)의 작품이다. 코펜하겐의 작지만 강한 랜드마크로 자리 잡은 시르켈브로엔은 잡지 지면이 담아내지 못하는 기능미와 도시적 매력을 뿜어내며 보행자와 자전거를 불러 모으고 있었다. 배는 곧 ‘시켈슬랑엔(Cykelslangen)’(Dissing+Weitling 설계) 밑을 지났다. 2015년 4월호(324호) 특집 ‘자전거 타고 싶은 도시’와 함께 엮어 실었던 자전거 전용 공중 다리다. 출퇴근시 자전거 이용률을 50%로 높이는 계획의 핵심 프로젝트로 만든 이 다리는 도심과 항구를 도보와 자전거로 연결해준다. 잡지 지면에 넣었던 인상적인 사진들보다 훨씬 더 역동적인 ‘자전거 탄 풍경’이 뱀 모양 오렌지색 다리에 가득 펼쳐져 있었다. 코펜하겐의 자전거는 이미 교통수단 그 이상이다. 『사이클 시크』(북노마드, 2014)의 저자 마카엘 콜빌레-안데르센이 말하듯, 코펜하겐에서는 “치마를 입고 힐을 신고 자전거로 도심을 유유히 누비는 여자, 더블 재킷에 로퍼를 신고 자전거로 출근하는 남자”가 도시의 평범한 풍경이다. 가보지 않고 실은 프로젝트 격파하기(?)는 다음 도시들에서도 계속되었고, 2021년 2월호(394호)에 담았던 로테르담의 ‘보이만스 판뵈닝언 수장고(Depot Boijmans Van Beuningen)’(MVRDV 설계)에서 종지부를 찍었다. 이 미술관은 전시장과 수장고 기능을 통합한 파격으로 유명하지만, 대형 거울 화분 형태의 외벽 하나로 온 도시의 풍경을 담아내며 도시의 일상에 즐거움을 선물하고 있었다. 나 같은 여행객뿐 아니라 동네 사람, 미술관 관람객 모두 이곳을 지날 때면 사진을 찍지 않을 도리가 없다. 거울에 비친 도시와 그 속의 자기 발견하기 놀이, 재미있지 않을 수 없다. 편집주간이 한 달이나 자리를 비운 사이, 편집부 식구들은 격동의 5월을 보냈다. 본지가 주관하는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가 뚝섬한강공원에서 열렸다. 박람회 수상작들을 이번 호 지면에 옮긴다. 6월호의 또 다른 주인공은 도시공원 리노베이션의 새 장을 연 ‘오목공원’이다. “공원은 편하게 앉아 오래 머무르며 품위 있게 쉴 수 있는 도시의 라운지”(박승진, 디자인 스튜디오 loci)라는 설계자의 생각이 어떻게 공간으로 구현되었는지 직접 방문해 눈과 발로 경험해보시길 권한다.
[풍경 감각] 늦은 밤, 지하철 4호선 노선도 앞에서
이번 역은 길음, 길음입니다. 내리실 문은 오른쪽입니다. “길음역이 마음에 들어. 짧아서 불만인 게 많았거든. 봐, 나는 키가 작고, 손가락도 짧아. 근데 이 역에서는 딴청을 부릴 수 있지. 키? 길음. 손가락? 길음. 무엇을 물어도 ‘나는 길음이야’ 한다고. 꽃비 날리는 봄도, 손 살랑 흔들고 돌아서는 가을도. 짧아서 아쉬운 것 모두가 여기서는 길음이야.” “뭐야, 취했어?” “어쩐지 이상한 이야기를 해도 괜찮을 것 같아서. 마장역에서는 네가 그냥 ‘마장’하고 맞장구를 쳐줬으면 해. 가능역에서는 무엇이든 할 수 있을까? 방학은 언제나 방학이니 좋겠다. 미아에 가면 경찰서 의자에 앉아 엄마를 기다리던 어린 내가 있을 것 같아. 수유에는 노란 산수유 꽃이 피면 좋겠다. 길동은 고길동과 홍길동 중 누구일까. 고길동은 둘리랑 쌍문동에 살 테니까 역시 홍길동이려나. 그리고 있지, 사당행. 4호선 하행 열차처럼.” “…….”
오목공원 리노베이션
다시, 봄 봄이 왔고 나무에 생기가 흐른다. 겨울을 견디지 못한 개체들은 사월에도 가지가 말라 있다. 때 이른 더위에 꽃을 내미는 순서도 뒤죽박죽이다. 오목공원은 지난겨울 완공됐다. 해를 넘기지 말자고, 어찌어찌해 공사를 마무리했다. 가림막이 걷히고 모든 통행로가 열렸다. 농구장에서는 다시 아이들의 공놀이 소리가 들린다. 아직 가끔 쌀쌀하다. 몇몇은 볕을 찾아 의자를 들고 공원 이곳저곳을 옮겨 다닌다. 문득 궁금해졌다. 의자들은 무사한 걸까. 가을과 겨울이 지나는 동안 한 개의 의자가 분실됐다고 한다. 너무 가벼운 탓이었을까. 붙박이 벤치가 없는 공원을 상상했다. 공원은 극장이 아니므로 한쪽만 바라봐야 할 이유가 없다. 혼자도 오고 여럿이 함께 오기도 하기에, 따로 또 같이 앉을 수 있으면 좋다. 무리를 등지고 앉을 수도, 서로를 바라보고 앉을 수도 있어야 한다. 의자와 테이블은 세트다. 공원을 즐기려면 차를 마실 수 있어야 하고 맛있는 점심을 만끽할 수 있어야 한다. 테이블 위에서 대화가 피어난다. 우리는 이런 공간을 라운지라고 부른다. 다양성은 좋은 말이지만 모호하다. 다목적은 합리적이지만 버겁다. 무언가가 선명하다는 것은 그것을 유지하려는 무게가 부담된다. 오목공원은 무목적 공원이다. 설계의 첫 단추는 앉는다는 행위였다. 걷는 것은 속도와 방향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목적이나 목표가 분명하다. 앉는다는 것은 걸음을 멈춰야만 할 수 있는 원초적 행동이다. 아무 생각 없이 무심코 앉아 있는 것은 우리가 공원에서 할 수 있는 가장 필요한 행위다. 공원의 많은 공간을 앉는 행위를 위해 설계했다. 공간 혹은 장치 좁고 긴 통로를 따라 ‘걷는’ 회랑은 오목공원에 없다. 앉아 있는 공간을 단순히 덮고 있는, ‘회랑형 덮개’라고 하는 것이 맞겠다. 덮개가 있으면 비와 더위를 피할 수 있다. 주변의 높은 건물들을 가려주니 안온함이 생긴다. 안과 밖을 구분할 수 있어 쓰임새가 좋아진다. 하나의 시설물이 아닌 공원의 구심점으로 작동하는 공간적 장치다. 해는 계절마다 각도를 달리하며 뜨고 진다. 비바람의 방향도 일정하지 않다. 서로 다른 네 면을 가졌으므로 모든 면이 동시에 그늘지거나 똑같이 비바람이 들이치지는 않는다. 변화무쌍한 날씨로 인해 앉는 행위가 무참히 침해되지 않는다. 회랑 안쪽은 살짝 낮춰진 마당이다. 마당의 가장자리에 길게 걸터앉을 수 있다. 반대편을 바라보면 또 다른 무리가 앉아 있다. 앉는 행위는 때때로 전염되거나 닮아간다. 우리도 좀 앉았다 가자. 공원의 겨울은 길다. 찬바람을 피하고 몸을 녹일 공간이 필요하다. 회랑 아래 작은 실내 공간을 만들었다. 유리로 마감되어 있어서 낮은 각도로 들어오는 겨울철 볕을 모을 수 있다. 지난겨울, 강추위 속 마무리 공사에서 진가를 발휘했다. 각각 작은 전시 공간으로, 책 쉼터로, 식물을 공부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된다. 비록 협소하지만 필요한 장치다. 설계공모 당시 제안했던 커뮤니티 센터는 실현되지 못했다. 회랑과 연결되는 건축물이었다. 공원의 관리 기능과 주민들의 활동을 담을 것을 기대했으나 예산을 비롯한 여러 문제가 생겼다. 대신 기존 관리사무소를 리모델링하기로 했다. 화장실, 수유실, 작은 창고, 관리 사무실로 재구성하고, 중심 공간은 미술관으로 꾸몄다. 지역 예술가들을 비롯해 청년 작가들, 아이들, 동네 예술 동호인들의 전시 공간으로 사용된다. 공원 개장에 맞춰 ‘오목한 미술관’이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키즈 카페는 공모 이후 서울시 예산으로 추가된 프로그램이다. 협소한 야외 놀이 시설을 보완한다. 공원은 아이들과 부모들이 함께 이용하기 좋은 공간이다. 부모들이 잠시 휴식을 즐기는 동안 아이들은 놀이를 즐긴다. 놀이 공간 구성은 별도의 전문 설계 팀이 맡았다. 바깥에는 작은 정원을 만들었는데, 아이들이 식물을 공부하고 가꾸는 장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업데이트 날카로운 기계톱 소리가 요란하다. 어른 팔뚝만한 가지들이 투두둑 잘려 나간다. 큰 나무를 많이 심지는 않았으나 오래된 나무들을 전정하는 작업은 필요했다. 나무 아래는 텅 비었고 위에는 무성한 가지들이 서로 엉켜 있었다. 잘라낸 가지들이 아래로 떨어지니 바닥이 한순간 풍성해졌다. 이만큼의 작은 나무들이 필요한 것이다. 숲은 여러 층이다. 1989년 나무들 아래로 2023년 나무들이 연이어 심긴다. 가장 아래층은 지면을 낮게 피복할 풀들이 차지한다. 중간층의 나무들은 도시를 부드럽게 순화시킨다. 눈에서 멀어지면 소음도 완화되는 법. 기꺼이 숲속에 머물 수 있다. 나무와 풀은 상부상조한다. 같이 모여 있어야 정겹고 아름답다. 오랜 시간 굳어진 땅을 뒤집으니 흙냄새가 피어오른다. 숲을 지나는 길은 살짝 떠 있다. 그 틈으로 풀이 연결되고 물이 흐른다. 벌레들도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다. “사람들은 단단한 길로만 다녀주세요. 여기는 우리가 살아가는 터전입니다.” 길이 이어지다 넓어지는 곳에 앉을 수 있는 의자와 테이블이 놓여 있으니, 여기는 일명 숲속 라운지다. 새들도 쉬어가는 곳. 공원 바깥 보도와 가까워서 드나들기에 좋다. 회랑이 삼삼오오 즐기는 곳이라면, 이곳은 혼자 책 읽고 음악 듣기에 좋다. 원래 큰 나무 아래 그늘은 인기가 많은 장소였다. 공원 리모델링 이전에 사람들이 가장 먼저 차지하는 곳은 바로 이 숲속 벤치였다. 좋지만 벤치가 너무 부족했다. 나무가 듬성듬성 심어진 빈터를 찾아 넓은 공간을 마련하고 의자와 테이블을 여러 개 놓았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농구장과 어른들이 즐겨 찾는 체력 단련장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 학생들의 소란함을 불편해하는 어르신도 많다. 기존 위치를 존중하되, 낡은 시설을 보수하고 쾌적성을 높였다. 리모델링 이전부터 가장 선호도가 높은 공간이었다. 농구장을 둘러친 높은 안전 펜스는 아이들이 공을 주우러 이리저리 다니는 수고를 덜어준다. 체력 단련장의 목재 데크는 비가 와도 물 빠짐이 좋아 운동하기 편하다. 적지 않은 예산의 투임이 있었으나, 좋은 재료로 공간을 개선하는 것은 공공을 위한 당연한 투자다. 비우고 채우기 공원은 때로는 한적하고 때로는 붐벼야 한다. 설계공모 당시 회랑의 다양한 기능에 대해 많이 고민했다. 그중 ‘일시적 시장’을 염두에 두었다. 생산적 교류가 중요하다. 지난 3월부터 마르쉐 농부 시장이 한 달에 한 번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다. 건강한 먹거리를 생산하는 지역의 농부들과 소비자들이 화합하는 장터다. 도시공원은 광장의 기능도 해야 한다. 평소에는 비어있으나 어떤 때는 북적이는 활동을 담아야 한다. 회랑의 공간적 장치―지붕과 단차―가 장터를 만들기에 도움이 된다. 연주자들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소리는 감동을 준다. 여기저기 걸터앉아 음악을 듣고 차를 마시고 스몰 토크가 오고간다. 공원의 일상은 소소하다. 회랑의 지붕은 바닥에서 3.5m 정도 떠 있다. 저녁 때 공원을 방문하면 위층에서 산책하는 사람이 제법 많다. 더 늦은 시간에 가보면 젊은 커플이 즐비하다.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행위는 즐겁다. 한 개 층 높이에 불과하지만, 시점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 의자를 옮겨가며 아래 중정을 보거나 반대편 숲을 바라볼 수 있다. 폭은 제법 넓어서 필요한 활동을 더 담을 수 있다. 한정된 공원 면적을 늘린 셈이다.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편안한 이동이 절실한 사람 누구라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땅은 유한하다. 그러므로 땅을 점유한다는 것은 가장 강력한 실효적 행위에 속한다. 공원의 기본적 가치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반영구적으로 공간을 점유하는 것에 있다. 수천억에 달하는 땅을, 누군가 차지하지 않도록, 법을 만들고 행정을 통해 땅을 지킨다. 도시는 변화하고 공원도 진화한다. 오목공원은 30년동안 유지되었고 잘 자라주었다. 리모델링을 통해 다음 세대로 이어지게 됐다. 공원을 만들고, 고치고, 즐긴다. 공원은 조경가의 숙명이다. 진행 이수민 디자인 팽선민 박승진·최상민·김희정 인터뷰 도심 속 공공 라운지를 만드는 일 오목공원 리노베이션은 ‘목동중심축 5대 공원 맞춤형 리모델링’ 프로젝트 일환으로 진행됐다. 박승진(이하 진) 오목공원이 위치한 양천구 목동은 88서울올림픽을 기점으로 목동 신시가지를 중심으로 개발됐다. 고층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공원의 필요성이 제기돼 건축, 조경, 도시계획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목동중심축에 다섯 개 공원을 조성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도시는 많이 달라지고 성장했는데, 공원은 시설 보수만 진행됐다. 양천구는 시설 보수와 더불어 공원을 대하는 태도와 이용 방식에 접근해 순차적으로 공원을 리모델링하고 있다. 5대 공원 중 하나인 오목공원의 리노베이션은 다양해진 시민들의 공원 이용 방식을 고려해 진행됐다. 오목공원은 1차, 2차 공사를 거쳐 개장됐다. 1차 개장(2023년 9월)의 반응을 보고 2차 개장(2023년 12월) 전 설계에서 수정한 사항은 없는지 궁금하다. 최상민(이하 민) 두 가지를 이야기할 수 있다. 첫째, 다층적 수목 식재다. 나무 아래 식물을 더해 좀 더 풍성한 숲을 조성했다. 1차 공사를 진행하면서 공원에 맞는 규격, 형태, 물량의 수목을 구하는 게 쉽지 않았다. 2차 때는 현장에서 시공사와 상의하고 상황에 맞게 수정해 나가며 진행했다. 덕분에 다양한 층을 가진 도시숲을 조성할 수 있었다. 둘째, 의자다. 오목공원에는 지붕이 있는 라운지, 숲 라운지 등이 있는데, 이곳을 오랜 시간 편하게 앉아 쉴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다. 1차 개장 이후 시민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는데 의자의 인기가 많았다. 아침 일찍 공원에 방문해 좋은 의자를 선점하지 않으면 앉을 수 없다는 이야기를 듣고 더 다양하고 많은 의자를 마련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양천구와 상의하며 필요한 영역에 의자를 추가 배치하는 등 보완해 나갔다. 김희정(이하 정) 건축적 시점에서 1차와 2차 개장에서 큰 차이가 나는 점은 오목한 미술관과 키즈 카페의 탄생이다. 목공방과 관리사무소로 사용하고 있던 건물이 있었다. 양천구가 이 건물을 미술관으로 사용하자고 제안하면서 오목한 미술관이 탄생했다. 붉은색 건물이 공원과 어울리지 않아 루버를 설치해 건물을 가렸다. 진한 색 루버 덕에 공원과 자연스럽게 융화되는 모습을 연출할 수 있었다. 공모 때는 실내 놀이터, 화장실을 하나의 건물에서 소화하는 것으로 제안했다. 하지만 기존 화장실이 있어서 이를 리모델링하고 실내 놀이터를 키즈 카페로 바꿨다. 키즈 카페는 새로 건물을 지어 만들었고, 건물 외관을 회랑과 비슷한 분위기를 띠게 했다. 설계설명서의 마스터플랜 범례가 인상적이다. 공간의 용도를 적는 일반적인 방식 대신 어떤 공간에서 이용자가 어떤 활동을 하는지 적었다. 민 기본계획도와 미스터플랜을 만들라는 공모 지침이 있었다. 기본계획도가 있는데 마스터플랜을 왜 만들어야 하는지 의문이 들었다. 마스터플랜은 대규모 공간이나 여러 단계로 진행해야 하는 프로젝트에 필요한 도면이다. 오목공원 규모에는 맞지 않는 도면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달리 해석해 도면을 풀어나갔다. 도시와의 관계, 즉 공원 주변까지 확장해 마스터플랜을 만든다는 의미로 접근해 이 공원에서 할 수 있는 100가지 행위를 뽑았다. 30년 동안 오목공원과 함께한 추억을 회상하고, 리모델링된 공원에서 새로운 추억을 만드는 등 공원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모습을 적어 내려갔다. 어떻게 보면 공원을 이렇게 사용하면 좋겠다는 바람을 담은 것이기도 하다. 정 우리의 직업과 연관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무언가 미루어 짐작하고 예상하는 게 설계를 하는 데 필요한 과정이 아닐까. 이런 과정이 설계에 반영되어 방문객들이 공간을 더 잘 이용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진 도시에서 아무 목적 없이 편안하게 들렀다 갈 수 있는 공간이 공원이다. 다른 공간은 뚜렷한 목적이 있다. 길은 어디를 향해 걸어가는 곳이고, 음식점이나 카페는 무언가를 먹거나 마시는 곳이며, 영화관이나 공연장은 무언가를 보는 곳이다. 설계가는 사람들이 왜 공원을 찾는지 고민하고 필요한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만 시민들에겐 아무 생각 없이 발걸음이 닿는 곳이어야 한다. 우리의 마스터플랜은 왜 공원이 필요한지를 나열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공모 당시 다른 설계안들은 대부분 중앙을 부드러운 유선형 공간으로 설계했는데, ‘어반 퍼블릭 라운지’만 정사각형 회랑 디자인을 제안했다. 진 둥근 형태보다 사각형이 주는 느낌이 더 강하다. 원과 달리 중심에서 변 위의 한 지점에 이르는 길이가 각기 다르므로 사각형이 가진 분위기가 원보다 더 강하면서 부드럽다. 기존 공원에서는 원형 요소가 눈에 띄지만 자세히 보면 중앙과 주변 숲을 나눈 것은 직선의 산책로다. 이를 틀로 잡아 사각 모양을 도출했고 이 형태가 정사각형의 회랑까지 이어졌다. 정 공모에 참여하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박 소장이 사각형 회랑을 그린 도면을 보여주며 같이 공모에 참여하자고 제안했다. 설계안을 보며 기존 오목공원과 완전히 다른 풍경이 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네모이기에 설계하는 데 수월한 점이 많았다. 유선형 공간을 만들면 곡선이 생기는데, 이 곡선을 살려 건축물을 만들 경우 무리하게 설계해야 하는 부분이 발생한다. 사각형이어서 원보다 더 자연스럽게 설계할 수 있다. 주변 상업 시설의 유동 인구를 수용하기에는 공원의 규모가 작다. 많은 행위를 담으려면 공간이 입체적이어야 한다. 곡선에 벤치를 두면 빈 공간이 생기지만, 직선을 따라 벤치를 둘 수 있기에 쓸모없는 공간이 생기지 않는다. 직선 덕분에 효율적이고 쓰임새가 많은 공간이 탄생했다. 공모 때 제안한 안과 완공된 공원을 비교해보니 회랑 2층을 사용하는 것과 회랑 사이의 수목이 잔디마당으로 옮겨진 점이 다르다. 진 공모에는 한 변 길이 40m, 폭 7.2m, 높이 3.8m의 정사각형 회랑을 제안했다. 그때와 비교하면 한 변의 길이는 짧아지고 폭은 더 넓어지고 높이는 낮아졌다. 지금의 회랑 모습과 비슷한 사례가 없어서 기차 플랫폼을 많이 참고했다. 설계 당시 대구를 자주 왔다갔다했다. 기차를 기다리며 플랫폼의 폭과 플랫폼들 사이의 폭을 걸음 수로 재보면서 공원에 어울리는 공간감을 찾았다. 사각형이라 맞은편 사람과 불편한 눈 맞춤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36m란 길이는 신기한 보호 거리를 만든다. 맞은편 사람의 성별 정도만 구분할 수 있을 뿐 어떤 행동을 하는지는 잘 보이지 않는다.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적당한 프라이버시 보호가 된다. 햇빛의 방향에 따라 그늘이 있는 곳이 달라지는데, 사각형이라서 하루 종일 그늘이 지거나 해만 드는 공간이 없다. 그늘이 어디 있느냐에 따라 그늘 밑으로 의자를 들고 이동하면 된다. 나무 위치도 비슷한 원리를 적용해 햇빛이 회랑 어디까지 비추고 그늘이 어느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지는지에 따라 정했다. 정 회랑을 설치할 위치에 키가 큰 다섯 그루의 수목이 있었다. 회랑 지붕에 구멍을 만들어 수목을 보존하려니 나무 폭에 맞게 구멍을 뚫어야 하고, 지붕을 뚫고 나온 나뭇가지를 보호하는 난간을 만들어야 하는 등 세심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이 생겼다. 그런데 수목을 잔디마당으로 옮기자 문제가 쉽게 풀렸다. 잔디에 앉은 사람에게 그늘을 선사해주고 2층 산책로를 걷는 사람에게 눈높이에서 수목을 바라보는 경험을 제공해준다. 회랑을 완성하기까지 여러 문제에 부딪쳤을 것 같다. 정 수많은 문제에 직면했다. 회랑 2층이 공중 산책로로 바뀌면서 고민했던 부분은 기둥이다. 기둥의 굵기를 정하기 위해 거리에 설치된 전신주 둘레를 재보았다. 도시에 설치된 전신주의 굵기가 비슷한 줄 알았는데, 직접 확인해 보니 모두 크기와 굵기가 다르더라. 다양한 전신주 둘레를 회랑 기둥에 적용해 보며 회랑에 어울리는 기둥의 둘레를 시뮬레이션했다. 안정적이면서 회랑 높이와 폭의 비례와 맞는 기둥을 설치하고 싶었다. 하중을 견뎌야 하므로 재료도 신중하게 선택했다. 사용한 재료는 철골 기둥이다. 구조 계산으로 나온 기둥의 두께는 23mm인데, 설정한 기둥 사이즈에 맞는 철골을 찾을 수 없었다. 용접을 하지 않고 봉강에 열을 가해 가운데 구멍을 뚫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심레스(seamless) 파이프에서 착안해 기둥을 제작했다. 용접으로 철골을 이어 붙이지 않고 하나하나 구부려가며 기둥 두께에 맞게 연결하고 속은 비워 단단한 기둥을 만들었다. 많은 고생을 했지만 원하는 모양대로 완성되어 뿌듯하다. 폭에 대한 고민도 깊었다. 박 소장이 나에게 준 미션이기도 했는데, 공중 산책로를 산책뿐 아니라 팝업 스토어가 운영되는 등 공간으로 기능하도록 하라는 제안이었다. 여러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폭을 확보하는 게 중요했다. 산책로를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길이로 만들고 여기에 여유 폭을 더했다. 이 여유 폭은 난간 밖으로 튀어나온 공간인데 난간에 발을 헛디뎌 추락할 위험을 줄인다. 이 공간을 비워두기보다는 화분을 두어 자연스럽게 공원과 어우러지게 하고 안정성까지 확보했다. 회랑 한가운데를 잔디마당으로 만들었다. 진 처음에는 여러 안을 고민했었다. 이곳을 가변형 공간이라고 생각하면서 고민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회랑 어디서든 중정을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하고자 했고, 그래서 비워야겠다고 결정했다. 도시공원은 도심 속 숲이라 자연을 어느 정도 구현해야 한다. 그렇기에 공원에 나무를 가능한 한 많이 심어 녹지 공간으로 기능하게 해야 한다. 넓게 비워진 공간에 잔디를 깔았다. 잔디를 사용함으로써 녹지가 더해졌을 뿐 아니라 휴식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쓰임새가 많아진 것이다. 민 점심시간에 방문해 보니 직장인들이 회랑 벤치에 앉아 쉬고 있었다. 담소를 나누기도 하지만 가만히 잔디를 바라보며 쉬는 사람도 있었다. 나도 따라서 회랑에 앉아 잔디를 바라봤다. 푸른 잔디로 만든 빈 공간을 바라보는 것도 쉼이 된다는 걸 깨달았고 이런 휴식이 더 여유롭다고 느꼈다. 여러 프로그램으로 채워지는 빈 공간이지만 잔디 그 자체만으로 색다른 휴식을 선사할 수 있다는 게 잔디가 가진 장점이지 않을까. 정 이 공간에 패턴을 더하고, 길을 만들었으면 공원과 어울리지 않았을 것 같다. 오히려 잔디를 깔고 비워두어서 회랑과 그리고 공원과도 더 조화로울 수 있었다. 주로 잔디는 들어갈 수 없는 불가침 공간으로 여겨진다. 진 예전에는 잔디 관리가 어려워 들어가지 말라고 막았지만 요즘은 다르다. 관리만 잘하면 잔디를 밟고 누울 수 있다. 잔디를 보식하고 보조제를 깔아서 잔디가 무게에 대한 내성을 가지게끔 했다. 이곳에서는 잔디를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 중앙 잔디마당이 비가 오면 빗물을 저류해 수경관을 연출한다는 점이 독특했다. 실현되었나. 민 일시적으로 물을 모으려면 잔디마당의 중앙 지면을 낮춰야 한다. 물을 담을 수 있지만 배수 문제와 겹치게 되고, 잔디 생육 문제와도 연결된다. 잔디 생육을 위해 배수를 원활하게 하려면 잔디 중앙을 높여 가장자리로 물이 흐르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배수 문제도 있지만 잔디마당의 활용, 일시적인 수공간 연출을 위한 별도의 장치 마련, 유지·관리 방법 등 다양한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여러 사람과 논의한 끝에 아쉽지만 수공간 아이디어는 구현하지 않기로 했다. 정 가끔 상상한다. 갑자기 폭우가 쏟아져 잔디마당이 잠기면서 자그마한 호수가 생기는 모습을 생각해본다. 현재 상태에서 트렌치를 막고 방수 패드를 깔아 물을 담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회랑과 단차가 있으니 잠길 수 있을 것 같다. 상상은 어디까지나 상상이다. 실현되진 않을 테지만 잠시라도 도심 한복판에서 작은 호수를 볼 수 있다는 건 낭만적일 것 같다. 공원 리모델링과 건축 리모델링에 차이가 있다면. 정 기술적 부분과 디테일 요소에선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결국은 똑같다. 설계란 어떻게 해야 효율적으로 공간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지 고민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경설계는 살아 있는 자연을 다루는 일이므로 건축과는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 건축 리모델링은 페인트나 재료를 활용해 색을 바꾸고 기존 시설물을 없애거나 새로운 시설물로 교체하는 등 기술적 요소에 대해 많이 고민하는데, 조경은 설계에 포함해야 할 요소가 많다. 회랑에 기존 나무를 보존해야 하는 과제가 있었는데, 이때 나무는 설계의 방해 요소인 동시에 새로운 제안을 하는 기준이 되었다. “로비가 서성이는 공간이라면, 라운지는 앉아서 떠드는 장소다. 공원은 일하러 오는 데가 아니다. 운동만 하는 곳도 아니다. 공원은 편하게 앉아 오래 머무르며 품위 있게 쉴 수 있는, 도시의 라운지(여야 한)다.” 박승진 소장이 어느 인터뷰(각주 1)에서 말한 내용인데, 오목공원의 정체성이라고 생각한다. 도시 라운지가 갖춰야 하는 최소한의 조건이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진 도시 라운지가 갖춰야 할 최소한 조건은 의자다. 오래 전 선유도공원에서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벤치는 한자리에 고정되어 있고 앉아 쉴 수 있는 시설이다. 당시 선유도공원이 개장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의자가 고정되어 있지 않았는데, 시민들이 의자를 원하는 곳으로 이리저리 옮기며 자유롭게 사용하고 있었다. 이후 벤치가 모두 고정되었지만 잠시나마 시민들이 벤치를 자유롭게 활용하던 모습이 아직도 생생하다. 그때부터 공원에 의자를 왜 붙박이로 해놔야 하는 지 의문을 가졌다. 오목공원을 설계할 때는 무조건 의자를 움직일 수 있게 할 것이라 마음먹었다. 라운지가 되려면 모여 앉을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요소가 의자, 특히 움직일 수 있는 의자다. 어느 공원을 가도 벤치는 한자리에서 내리쬐는 땡볕을 받아내고 비를 정통으로 맞기도 한다. 의자를 자율적으로 가지고 다니면 햇볕과 비를 피할 수 있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테이블도 같이 있어야 한다. 의자에 앉아 음식을 먹기도 하는데 테이블이 없으니 손에 들고 있거나 의자 사이에 두거나 땅에 놓기도 한다. 음식을 올려놓는 테이블이 필요하다. 정 최소한의 건축도 필요하다. 오목공원에는 실내 공간, 즉 실내 라운지를 조성해 공원의 쓰임을 풍요롭게 했다. 회랑 모서리에 실내 공간을 조성했다. 단순히 사방이 뚫린 통로로만 쓰이도록 비워 둘 수 있지만, 회랑에 작은 건축물을 더해 식물·책·그림 쉼터로 활용하면서 공간의 쓰임새를 확장할 수 있었다. 이제 오목공원은 설계가의 손을 떠나 시민의 품으로 돌아갔다. 어떻게 공원을 이용하기를 바라는가. 정 2차 공사를 하면서 본 방문객의 표정이 기억난다. 의자와 테이블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머뭇거리며 망설이다가 이리저리 옮겨가며 이용했다. 망설이던 표정이 편안한 표정으로 바뀌면서 공간에 빠르게 적응해 나갔다. 자연스럽게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쓰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공원을 자신의 아지트처럼 이용하면 좋겠다. 민 1차 개장하고 시민들이 자신의 집 마당에 들어온 기분이라 이야기했다. 영화 ‘기생충’을 보면 마당에 잔디가 깔려 있고 그곳에서 캠핑하고 파티를 한다. 그런 행위를 이 공원에서도 할 수 있으니 더 좋은 반응이 나온 것 같다. 앉아 있는 동안은 나만의 공간이라고 생각하면서 편안하게 공원을 대하면 좋겠다. 진 작년 가을 중정에서 버스킹, 오케스트라 연주 등 콘서트가 개최됐다. 3월부터 한 달에 한 번, 주말에 마르쉐 농부 시장이 열린다. 처음부터 이렇게 활용되기를 염두에 두고 공간을 만들었는데, 실제로 잘 쓰이는 모습을 보니 보람을 느낀다. 디자인 팽선민 **각주 정리 1. 배정한, “오래 머무르는 공원, 도시의 라운지”, 「한겨례」 2023년 09월 24일. 글 박승진 디자인 스튜디오 loci 소장 사진 유청오 공원 설계 총괄 디자인 스튜디오 loci(박승진) 조경 설계 디자인 스튜디오 loci(박승진, 최상민, 오지훈, 고희선, 김희서) 건축 설계(회랑, 실내 놀이터, 미술관, 관리실 리모델링) 모스건축사사무소(김희정, 정다현, 최찰, 이제현) 경관 조명 설계 이온에스엘디 전기 통신 설계 코담기술단 사이니지·회랑 실내 가구 설계 및 제작마음 스튜디오(maumstudio) 실내 놀이터 구상 및 기획 설계 조경작업소 울 조경 시공 신성종합조경 회랑 시공 퍼스트종합건설 미술관 및 관리실 리모델링 웅산건설산업 실내 놀이터 건축 시공 새강종합건설 실내 놀이터 시설 설계 및 시공 아이땅 공사 감독 서울시설공단 발주 서울시 양천구청 공원녹지과 위치 서울시 양천구 목1동 921번지 면적 21,470m2 완공 2023. 12. 디자인 스튜디오 loci는 작은 설계 회사다. 푸른 별 지구, 우리가 사는 곳곳, 자연과 도시와 정원,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에 관심을 가지고 즐겁게 작업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본사 사옥, 통의동 브릭웰 정원, 오목공원 리노베이션 등 사람과 자연을 잇는 다양한 규모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박승진은 경관, 도시, 정원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loci 대표소장이다.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를 거쳐 우리나라 1세대 조경설계 사무실인 서안에서 설계 실무를 했다. 워커힐호텔, 서울아산병원,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등의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2007년에 현재의 사무실을 열어 풀무원 물의 정원, 남해 사우스케이프 오너스클럽, 강릉 시마크호텔, 아모레퍼시픽의 기술연구원 및 오산 뷰티캠퍼스, 제주 오설록 티하우스, 아모레퍼시픽 본사 사옥, 통의동 브릭웰정원, 대구 미래농원(mrnw) 등을 설계했다. 최상민은 단국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조경 디자인을 공부했다. 조경설계사무소 디자인엘을 거쳐 디자인 스튜디오 loci 소장으로 실무를 담당하고 있다. 사람이 자연을 경험하는 방식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통의동 브릭웰정원, 대구 미래농원(mrnw), 북촌 설화수의 집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김희정은 조성룡도시건축과 희림건축에서 실무를 경험했다. 2012년 스튜디오 유비에이씨(studio ubac)로 시작해 현재 모스건축사사무소를 운영하는 대표소장이다. 경주 금관총 보존전시 공간, 양양 기사 문항 어촌 뉴딜사업, 자양동 한국야쿠르트 사옥, 세계유산 축전 수원화성 파빌리온, 성북동 한양 도성길 순성쉼터, 제물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도시재생 가이드라인 수립, 남해 상주초등학교 나무로 만든 비밀기지 프로젝트 등 문화, 도시, 건축 그리고 일상에까지 이르는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구획된 분야와 장소의 경계를 넘나들며 건축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오목공원 리노베이션] 경관–건축으로서 조경
경관은 건축된 것인가(각주 1) 가렛 에크보(1910~2000)가 던진 질문이다. 그는 이 문장으로 조경의 오래된 화두인 경관과 건축의 관계를 짚었다. 단 세 단어로 말이다. 질문에 담긴 맥락은 다음과 같다. “건축가는 구축에만 관심을 두고, 조경가는 배경을 이룰 경관에만 관심을 두는 듯하다. 이러한 전문적, 학술적, 법적 경계는 땅에 없는 지적인 분리를 자아내고 있다. 우리는 건물과 경관을 한눈에 보는데 말이다. …… 조경은 그 이름이 암시하는 바를 해내야만 한다. 경관과 건축을 통합해야 하는 것이다.” 에크보는 건물과 경관, 실내와 실외, 정형과 비정형의 경계를 끊임없이 되묻고 해체한 모더니스트 조경가로 꼽힌다.(각주 2) 에크보가 지금의 오목공원을 봤다면 어떻게 평했을지 자못 궁금하다. 디자인 스튜디오 loci(이하 loci)의 시도는 구축의 기술이 경관의 조직을 이루어낸, 달리 말하면 건축의 언어로 조경의 표현을 이루어낸 사례라 할 수 있다. 정사각형 공원의 한가운데 정사각형 회랑으로 틀을 짠 단순하고 과감한 설계는 에크보의 질문에 대한 동시대 조경의 답으로서 의미가 있다. 새롭게 자리매김한 건축의 언어 리모델링 이후 다시 찾아간 오목공원은 익숙함과 새로움을 차례로 느끼게 했다. 차도를 건너 공원 입구로 들어서는 과정은 전과 같았다. 입구의 위치와 울창한 숲은 그대로였고, 이용자를 맞이하는 조형물의 모습도 눈에 익었다. 그런데 안쪽으로 들어서 만난 공원의 풍경은 완전히 달랐다. 예전의 오목공원은 가운데 선큰광장이 넓게 펼쳐지고 계단과 화단이 주위를 둘러싸고 있었다. 눈앞의 오목공원은 가운데 네모나게 잔디가 깔렸고 주위에 트인 입면의 회랑이 세워져 있었다. 공원의 골격과 인상을 지배하던 붉은 톤의 석축과 그로 인한 단차는 대부분 사라졌다. 턱 없이 매끄럽게 다듬어진 공원의 표면과 쭉 뻗은 콘크리트의 선형은 리모델링보다 리노베이션, 리디자인이란 단어를 떠올리게 했다. 들어서는 과정은 익숙하고 들어서서 보는 풍경은 새롭다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 주변부보다 중심부를, 평면보다 입단면을 더 많이 재설계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1988년 설계안을 보면 그 차이가 드러난다. 정방형 부지에 원과 마름모로 중심을 잡고 상하좌우 대칭을 부여한 기존 평면은 현재의 공원 배치에서 동일하게 확인되는 특유의 중심성이 전작에서 비롯된 것임을 보여준다. 시야를 확장해보면, 이러한 중심성은 목동 신시가지 계획의 선형 중심축에서도 정가운데를 차지하는 특유의 입지와 밀접하다. 오목공원은 목동의 다섯 근린공원 중 세 번째에 해당한다. 다른 공원들이 선형 중심축의 굽이와 끄트머리에 위치한 것과 달리 이 공원은 두 축이 맞물리는 가운데 위치해 유일하게 정방형 부지를 갖추고 있다. 가장 많은 변화가 일어난 부분은 단연 중앙의 광장이다. 예전에는 주출입 동선을 따라 들어오면 석축으로 이루어진 단 위로 안내되어 약간의 거리를 두고 광장을 내려다보게 됐다. 광장으로 가려면 방향을 틀어 계단을 내려가야 했다. 지금은 같은 동선을 따라 들어오면 기다란 회랑의 트인 입면을 창틀 삼아 중정을 바라보게 된다. 회랑을 지나 잔디로 발 딛기까지 의자 높이만큼의 단차가 있긴 하지만 동선이나 시각 측면에서 전보다 한층 열린 모습이다. 주변부가 다수의 교목이자리를 지키며 우거진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면, 중심부는 재료와 형태, 레벨과 시각이 모두 달라졌다. 기하와 단차를 이용해 땅을 조각하듯 공원을 형상화한 설계자는 건축가 류춘수(이공종합건축사무소, 이하 이공건축)다. 목동의 다섯 근린공원 중 두 공원을 대상으로 별도의 설계가 발주되어 하나―파리공원―는 조경가에게, 다른 하나―오목공원―는 건축가에게 맡겼던 셈이다. 그가 건축가임을 특별히 의식하지 않더라도 예전 오목공원의 설계 양상은 상당히 건축적이다. 동선과 영역을 설정할 때 두드러지게 쓴 직각과 원호, 마운딩보다 단에 가까운 경계부의 지형 처리, 주요 지점에 쓰인 구조물이 그러한 인상을 준다. 주목할 점은 구조물에 관한 건축가의 제안이 시공과 정비를 거치며 점차 축소된 이후, 조경가의 리모델링 제안에서 다시 구조물이 부각된 것이다. 이공건축의 안에서 눈길을 끄는 마름모꼴 평면의 목재 프레임 구조물은 실현되지 않았으며, 정중앙의 원형 구조물은 실현되었다가 2008년경 공원 정비와 함께 철거됐다. 이번 리모델링에서 loci는 상층까지 활용 가능한 회랑 건축물을 설계 핵심으로 제안해 실현에 옮겼다. 말하자면 현재의 오목공원은 건축가가 심은 나무를 배경으로 조경가가 지은 건축물이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각주 3) 리모델링을 매개로 일어난 변화와 교섭의 양상은 상당히 흥미롭다. 구조물 외에도 설계에서 불규칙한 선을 쓴 부분은 대개 조경의 몫으로 여기기 쉽지만, 건축가가 분수나 화단에 썼던 그러한 선들은 이번 리모델링에서 조경가에 의해 상당 부분 소거됐다. 오목공원은 동시대 한국 조경에서 에크보의 문제를 논하기에 가장 좋은 현장이다. *환경과조경434호(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정리 1. Garrett Eckbo, “Is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Magazine 73(3), 1983, pp.64~65. 2. 관련 내용은 가렛 에크보의 전기에 해당하는 다음 책에서 참고할 수 있다. Marc Treib & Dorothée Imbert, Garrett Eckbo: Modern Landscapes for Living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3. 이 문장은 다소 이견을 부르리라 예상한다. 나무를 심은 것은 시공 업체 인부이고, 현재의 건축물은 협업한 건축가의 작품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다만 공원의 전체 틀을 그린 두 기획자의 역할에 착목해 이러한 표현을 선택했다. 임한솔은 서울대학교와 한양대학교에서 조경과 건축을 공부하고역사건축기술연구소에서 일했다. 현재 한국연구재단의 박사후 국내연수 지원을 받아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건축과 조경이 나뉘지 않았던 시절, 한국 공간 문화의 역사와 미학을 탐구하고 그로부터 얻어낸 앎을 바탕으로 지금의 공간 문화를 이롭게 하고자 한다. 제15회 심원건축학술상을 수상했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지난 5월 16일부터 26일까지 뚝섬한강공원에서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가 개최됐다. 초청정원(1개)을 비롯해, 작가정원(10개), 학생·시민·기업동행정원(10개, 15개, 17개), 기관참여정원(4개), 글로벌정원과 시민참여로 조성한 정원(19개) 등 76개 정원을 선보였다. 정원 명칭을 비롯해 작가정원 공모 키워드에서 발견되는 ‘동행’이라는 단어는 서울시의 정책과 연관을 맺고 있는데, 시는 ‘정원도시 서울’(2023), ’매력가든·동행가든 프로젝트’(2024)를 연이어 발표하고 정원이 시민 일상이 되도록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초청정원은 지난해 서울시 조경상 대상을 수상한 김영민(서울시립대학교 교수)과 김영찬(바이런 소장)이 조성했다. 작가정원 국제공모는 다양한 조경가의 참여를 유도하고자 규모와 공모 키워드를 달리해 두 개 부문으로 진행됐다. ‘정원이 가진 회복력(작가정원 A)’, ‘정원과의 동행(작가정원 B)’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자연과 함께하는 정원, 모두가 함께하는 정원을 조성하고자 했다. 작가정원 A는 정원을 통해 심신의 안정 및 평안을 추구하며, 자연의 회복력을 기반으로 정서적 회복력에 기여하는 정원이다. 지구 환경을 고려한 재사용, 재활용, 자원 순환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더해져 있다. 작가정원 B는 남녀노소 여러 계층이 각자의 방식으로 즐길 수 있는 정원이다. 지속가능한 공공 정원을 통해 사람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지구의 생명체와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새로운 한강 풍경을 그려낸다. 2023년 11월 16일부터 12월 18일까지 33일간 진행된 공모에 111팀(작가정원 A 51팀, 작가정원 B 60팀)이 작품을 제출했다. 그중 국내 6팀, 해외(중국·태국·방글라데시) 4팀의 작품이 최종 참여작으로 선정됐다. 심사는 정원 조성 이후 현장에서 이루어졌다. 심사 결과 허양·천훙량(He Yang‧Chen Hongliang)의 ‘섹션 가든’과 이지훈·문경록의 ‘기억과의 동행’이 A, B 부문별 금상을 수상했다. 한편, 이번 서울국제정원박람회는 도심 속 대형 공원에서 뚝섬한강공원으로 그 무대를 옮겼다. 한강공원이 명실상부한 서울 시민의 랜드마크1인 만큼, 첫 주말에만 50만 명이 박람회장을 찾는 등 인근에 거주하는 시민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까지 그 어느 때보다 많은 방문객이 박람회를 찾았다. 개최 5일째 되는 날에는 방문자 수가 102만 명을 돌파했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는 막을 내렸지만, 뚝섬한강공원에 조성된 초청정원과 작가정원, 기업정원은 존치되어 자연을 일상 가까이에서 즐기는 정원 문화 확산을 꾀할 예정이다. 진행 김모아, 이수민 사진 유청오 디자인 팽선민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작가정원 국제공모 주 최 서울특별시,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조직위원회 주 관 환경과조경 위 치 서울시 뚝섬한강공원 일대 기 간 2024. 5. 16. ~ 26.(박람회 이후 존치) 작가정원 A 키워드 정원이 가진 회복력 규 모 3개소(260m2 내외/개소당) 지원금 1억2천만원(개소당) 상 금 금상: 1천만원(1팀) 은상: 7백만원(1팀) 동상: 4백만원(1팀) 작가정원 B 키워드 정원과의 동행 규 모 7개소(140m2 내외/개소당) 지원금 7천만원(개소당) 상 금 금상: 7백만원(1팀) 은상: 5백만원(2팀) 동상: 3백만원(4팀) 초청정원 앉는 정원 _ 김영민ㆍ김영찬 작가정원 A 금상 섹션 가든 _ He YangㆍChen Hongliang 은상 회복의 시간 _ 이창엽ㆍ이진 동상 더 버터플라이 이펙트 _ Nicha Chongkriengkrai‧Sorat Sitthidumrong 작가정원 B 금상 기억과의 동행 _ 이지훈ㆍ문경록 은상 바이오로지컬 셀프 오거나이징 가든 _ Shen ShixianㆍYang Yiming 겸재선생님, 한강공원에서 뵈어요 _ 조동범ㆍ임승재 동상 호미 정원 _ 차용준 정원의 삶: 토룡은 큰 물에도 스러지지 않는다_ 김현ㆍ김은영 뚝둑, 걸어보길 _ 이호우ㆍ김태원 심심해지다 | 명상하다 | 고마워하다 _ Md Adshraful Azad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앉는 정원
정원에 가는 이유 우리는 정원에 왜 가는가. 단지 아름다운 것을 보기 위해 가는 것인가. 정원은 단지 심미적 요소로만 채워지는가. 정원은 아름다운 것들의 향연인 공간을 넘어, 생각보다 많은 의미와 가치를 담은 장소가 되어야 한다. 우리는 정원이 보는 것 이상의 공간이 되도록 정원 본래의 의미와 가치를 찾고 담아내고자 한다. 인간과 자연이 모두 앉아 쉬는 정원 쉼의 정원, 즉 앉는 정원을 제시한다. 뚝섬한강공원 잔디밭에서 이루어지던 쉼의 행태 중 앉기에 집중했다. 더불어 인간의 쉼뿐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함께하는 쉼으로 정원을 채우고자 했다. 뚝섬한강공원의 잔디밭은 본래 일상을 벗어난 쉼, 돗자리 위 펼쳐진 쉼, 한강을 바라보는 쉼, 산책 속의 쉼, 무의식적 멈춤 속의 쉼 등 다양한 쉼이 머무르는 공간이다. 가장 기본적인 쉼의 행위는 눕기, 앉기, 서기로 분류할 수 있다. 앉기는 걸터앉기, 다리 꼬고 앉기, 기대어 앉기, 나란히 앉기 등 가장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된다. 앉기의 방식은 외부 요인에 더욱 다채롭게 변주되고, 변수가 무한한 정원에서 더욱 넓고 진한 스펙트럼을 보인다. 정원의 구조 정원에 제대로 앉아서 쉼을 즐기려면 공공장소이지만 어느 정도 사적인 공간으로 느껴져야 한다. 공공 공간에서 사적 영역을 형성하려면 가로, 세로 5m 정도의 공간이 필요하다. 이 정사각형 아홉 개를 3열, 3행으로 배열해 하나의 정방형 공간의 정원을 만들었다. 아홉 칸은 다섯 개의 앉는 칸과 비워진 네 개 칸으로 구성된다. 한 칸을 앉는 칸으로 사용하면 사이 한 칸은 비우는 방식이다. 그래야 다양한 쉼이 머무를 수 있다. 비워진 칸은 나와 타인의 거리이며, 작은 풍경을 위한 간격이기도 하다. 앉는 다섯 칸은 일종의 방으로 각기 다른 다섯 가지 방식의 앉기를 제안한다. 그 위치와 비워진 칸과의 작용에 따라 경험하는 풍경이 달라진다. 인간의 쉼 앉기의 방식은 크게 앉기, 같이 앉기, 따로 같이 앉기로 나뉜다. 세 가지 앉기 방식 내에서 다양한 변주를 통해 다섯 가지 방을 구성했다. 첫 번째 방은 따로 아늑하게 앉는 방이다. 가장 번잡한 위치에 놓은 이 방은 역설적이게도 벽처럼 높은 등받이와 칸막이를 두어 가장 사적이고 아늑하게 꾸렸다. 두 번째 방은 같이 자유롭게 앉는 방이다. 가운데 평상을 놓아 개인 또는 다수가 함께 앉을 수 있게 했다. 세 번째 방은 따로 같이 앉는 방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의자를 두었다. 정원의 중심에서 지나다니는 사람을 맞이하는 거실처럼 가장 규정되지 않은 자유롭게 열린 쉼의 공간이다. 네 번째 방은 따로 바라보며 앉는방이다. 각기 다른 높이의 스탠드는 개인의 영역을 형성하고 사람들이 다양한 관점으로 한강을 바라보게 한다. 다섯 번째 방은 같이 나란히 앉는 방이다. 상대적으로 외진 위치의 방으로 뚝섬한강공원 본래 잔디밭에서 벌어지는 행태에 가장 가까운 활동들이 일어난다. 깊은 폭의 벤치는 사람들이 한참 앉아 한강을 바라보게 만든다. 아홉 칸의 정원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어붙이면 선형공원, 근린공원, 도시 경관 등 수많은 형태로 변주할 수 있다. 이로써 앉는 정원은 공원, 도시, 경관으로 확장할 수 있는 최소 외부 공간의 단위가 된다. 자연의 쉼 우리는 정원의 꽃과 풀을 보고 예쁘다고 느낀다. 아름답고 화려한 정원일수록 일반적으로 관리가 많이 필요하다. 이는 즉 그냥 두면 자연이 우리가 아는 정원처럼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꽃과 풀이 자란 자연의 모양을 그 자체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정원을 조성하고자 했다. 특별한 수종보다 개망초, 마타리, 엉겅퀴, 개미자리처럼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종을 사용했다. 인간에 의해 수없이 변형되어 온 자연과 식물이 회복하며 자연 또한 쉼을 가지는 정원이 되기를 바랐다. 도시의 폐기물을 정원의 자원으로 활용해 여전히 살아가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목재 잔재물로 만든 바이오차와 폐콘크리트, 폐석재를 활용했다. 도시의 폐기물은 정원에서 분류되고 정렬되어 자연에게 쉼을 제공하게 된다. 폐기된 것에서 나름대로의 역할을 되찾은 새로운 자연의 조각이 된 폐기물들로 낭만적인 암석정원을 연출했다. 서로의 영역을 존중함으로써 자연의 흙과 돌, 꽃과 풀은 본연의 상태로 돌아가 쉼을 가지고 인간에게 쉼의 즐거움을 제공한다. 자연의 쉼으로 채워진 네 개의 칸은 그 위치와 인간의 쉼의 모습에 따라 다양한 풍경을 연출한다. 이로써 아홉 칸이 비로소 채워지며 서로를 그 자체로 받아들이게 된다. 설계 김영민, 김영찬 조성 바이런(김인호, 문선아, 강아람) 시공 공간시공 에이원 후원 예건 김영민은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다. 학생을 가르치는 선생이고, 설계를 하는 조경가이며, 글을 쓰는 사람이다. 이론적 담론을 생산할 수 있는 설계를 추구하며, 설계를 각성시킬 수 있는 이론과 비평 작업을 해나가고자 한다. 김영찬은 극동대학교 환경디자인학과를 졸업 후 CA조경기술사사무소와 동심원조경기술사사무소에서 설계에 대한 업무 영역을 넓혀왔다. 현재는 바이런에서 소장으로 자리매김하며 새로운 공간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과 풀어나가는 과정을 즐기고 있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섹션 가든
동식물과 인간의 공생 동식물과 인간이 함께하는 정원을 꿈꾸며, 자연의 횡단면을 통해 미시 세계를 볼 수 있는 정원을 조성했다. 지그재그 경사로를 따라 놓은 다섯 개의 서식지 섬은 한국의 식생 커뮤니티를 보여준다. 서식지 섬에 설치된 유리벽은 토양의 단면, 그 속에 담긴 식물의 뿌리와 곤충의 삶을 드러낸다. 한국의 경관 특성을 담다 완만하게 경사진 대상지의 고저차를 증폭시켜 더욱 가파른 지형과 흥미로운 옹벽을 만들었다. 공간의 큰 골격은 한반도를 형상화한 것이다. 정원에는 코르텐스틸로 만든 다섯 개의 서식지 섬을 배치했다. 각 섬에 양치식물, 철쭉, 돼지풀, 구절초 등의 초본 식물, 형형색색의 꽃을 피우는 식물을 심고 고목 등을 배치함으로써 산골짜기, 꽃이 핀 초원, 숲이 우거진 황무지 같은 한국의 대표적 경관을 담았다. 자연을 학습하는 정원 정원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코르텐스틸 옹벽사이에 유리벽을 끼워 넣어 토양의 단면, 식물 뿌리의 성장, 토양 속 곤충을 볼 수 있도록 했다. 딱정벌레 유충의 서식지를 만들기 위해 버려진 고목들을 모았는데, 유리벽을 통해 죽은 나무가 토양으로 변하는 전 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작은 포유류와 땅속에 사는 동물도 볼 수 있다. 한국에는 코뿔소 딱정벌레, 사슴벌레, 꽃벌레 등과 같은 많은 종류의 딱정벌레가 있는데, 성충들이 참나무 수액을 먹으면서 반半인공적인 환경에서 전체 생명주기를 완성하는 모습은 흥미로운 관찰 거리가 되어준다. 또한 식물 뿌리의 성장도 볼 수 있다. 벽 사이를 통과하는 지하 터널에 들어가면 유리돔으로 고개를 내밀어 정원을 색다른 시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유리를 통해 보이는 풍경은 아름답거나 화려하지는 않다. 땅 속을 기어 다니는 벌레들의 모습이 누군가에겐 보고 싶은 모습이 아닐 수 있고, 땅 속으로 뻗쳐 성장하는 뿌리의 역동적인 모습 역시 궁금한 풍경이 아닐 수 있다. 하지만 자연의 못생긴 모습까지 보아야 자연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유리 단면은 실제 자연의 회복력을 보여주고, 나비만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애벌레의 존재도 드러냄으로써 ‘못생긴 시’라는 새로운 미학적 패러다임으로 방문자를 안내한다. 이 정원은 사람만이 아닌 나비, 딱정벌레, 새와 같은 토종 동물들의 상호 작용이 일어나며 이를 통해 성장한다. 시민들에게 사랑받는 정원은 물론, 곤충을 비롯한 다양한 생명체의 서식지로 자리 잡아 갈 것이다. 설계 He Yang, Chen Hongliang 기술 자문 Xia Yiping, Wu Xiaocheng 시공 마이조경 목재 딱정벌레 설치 Zhang Tong 허양(He Yang)은 중국예술아카데미 조경 및 건축 디자인 연구소에서 조경 프로젝트 매니저 겸 수석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다. 조경과 건축을 모두 공부했으며 주로 파라메트릭 디자인, 곤충학, 재야생화 조경을 연구한다. 도시 개발과 서식지 보존에 관심을 갖고 있다. 천훙량(Chen Hongliang)은 중국예술아카데미 조경학과를 졸업했다. 자연을 주창하고 조경을 사랑하며 조경설계의 다양한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회복의 시간
바쁜 도시 생활 속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에게 평온한 삶은 요원하게만 느껴지는 동경의 대상이다. 도시 속 정원은 현대인이 자연에 둘러싸여 잠시나마 조용함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치유의 공간이다. 뚝섬한강공원에 주변의 인공물과 번잡함으로부터 해방되어 자연에 360도로 둘러싸일 수 있는 장소를 만들고자 했다. 라운지형 공간 구조와 식재 스케일의 섬세한 관계 맺음은 시각적, 촉각적, 감성적으로 순수 자연과 온전히 연결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다년생 초화류의 생애주기를 존중해 계절의 누적에 따라 더 깊고 풍요로운 모습으로 변화하는 정원을 구상했다. 이를 통해 정원을 단순히 바라보는 ‘것’이 아닌 들어가 느끼는 ‘곳’으로 바꾸고, 도시 안에서 인간과 자연의 새로운 관계 맺음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형이 될 수 있는지 실험하고자 했다. 오롯한 자연 속의 정원 대상지의 나무와 사람들의 흐름을 고려해 꽃잎을 연상시키는 공간을 구상했다. 이 형태에 대응하며 바닥으로부터 1m가량 선큰된 계단식 공간을 만들어 자연스러운 패턴을 신비로운 3차원 공간으로 변모시켰다. 정원 속으로 걸어 들어갈수록 주변을 두른 도시적 요소들이 사라지고 정원의 중심에 도착하면 오롯이 자연에 둘러싸이게 된다. 선큰 공간은 평소와 다른 눈높이로 도시 환경을 바라보게 한다. 자리에 앉았을 때 자연은 감상의 대상이 아닌 연결의 상대가 된다. 둘러싸인 정원과 그 안의 공간은 인공으로부터 탈출과 쉼의 매개체가 된다. 정원 안에서 자연과 물리적, 심리적으로 하나로 연결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접촉을 통해 오감으로 자연을 느끼며 자연스럽게 명상적 상태로 나아가게 된다. *환경과조경434호(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설계 이창엽, 이진 협업 스튜디오 리빌드,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 시스템시티 연구실 시공 스튜디오 이레 후원 한양대학교 Linc3.0 사업단, 이새, 네테조명디자인연구소, 영공조명, 샤뜨 자문 정원다움, 지에스아이 이창엽은 한양대학교에서 실내디자인을, 영국왕립예술학교에서 건축을 전공했다. 영국 헤더윅 스튜디오와 프론트에서 실험적 프로젝트를 진행한 뒤, 현재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과 조교수로 스튜디오 ReBD(리빌드)와 협업하며 교육 및 연구와 실무를 병행하고 있다. 영국 일급 건축사와 왕립 칙허 건축사 자격을 갖고 있다. 이진은 스튜디오 ReBD(리빌드)의 공동 설립자이자 정원가다. 이화여자대학교와 런던대학교에서 공공 정책을 전공했으며, 영국 RHS의 정원 관리 자격 레벨 2 과정을 밟고 있다. 2022년부터 천지식물원 소속으로 피트 아우돌프의 한국 프로젝트 전반에 함께 참여했고, 정원다움에서 도심 속 정원 만들기를 통한 공공 기여를 실천하고 있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더 버터플라이 이펙트
나비효과 정원의 땅 작은 공간이지만 나비효과처럼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는 정원을 구현했다. 자연재해와 같은 국제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가능성 중심의 적응형 패러다임을 담고, 서울의 다른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기후 변화 완화 해결책을 제공하고자 했다. 세 가지 전략 첫째, 정원 내 쉼터를 조성해 사람들의 삶을 질을 높이는 가시적 증거를 만들었다. 이 쉼터는 기후 위기를 직면한 사람들에게 피난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나비의 날개에서 영감을 받아 철재 프레임으로 만든 정원 피난처는 그늘막이자 상징적인 조형물이 된다. 둘째, 빗물 정원을 만들어 빗물 유출수를 효과적으로 관리한다. 집중 호우에 취약한 서울의 특성을 고려해 도시가 침수되기 전 물을 흡수하는 생태 수로를 조성했다. 경사면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한 생태 수로는 빗물 유출을 방해하고 그 흐름을 바꾸어 물이 정원 내에서 점진적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는 홍수 위험을 낮출 뿐 아니라 대지가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물을 머금게 만든다. 셋째, 생태 수로를 따라 구불구불한 산책로를 조성했다. 산책로를 구성하는 목재 데크는 기분 좋은 보행감을 선사할 뿐 아니라 탄소 저장 재료이기도 해 정원의 회복력에 기여한다. 쉼터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산책로를 따라 거닐며 정원의 복잡한 아름다움에 몰입할 수 있다. *환경과조경434호(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설계 Nicha Chongkriengkrai, Sorat Sitthidumrong 시공 제이제이가든스튜디오 니차 총끄리엥끄라이(Nicha Chongkriengkrai)와 소랏 싯티둠롱(Sorat Sitthidumrong)은 쭐랄롱꼰대학교에서 조경학을 공부했다. 니차는 독일 베를린대학교에서 도시 관리 석사 학위를 받고,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학교에서 지속가능한 디자인 석사 과정을 마쳤다. 두 사람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인간의 거주지와 자연환경 사이의 균형을 만드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조경이 지속가능한 도시 공간을 만드는 토대이며, 자연 생태계 개선이 지역 사회와 취약 계층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믿는다. 포용적 도시가 더 나은 사회를 건설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열쇠라 생각한다. 함께 와디 스튜디오(Wadi Studio)를 이끌며, 방콕의 여러 환경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기억과의 동행
동행을 위해 필요한 것은 두 가지다. 함께할 길과 동반자. 연속된 점이 모여 선을 만들고 길이 된다. 사람의 인생도 수많은 찰나의 점들이 모여 만든 선으로 이루어져있다. 어떤 기억은 선명하고 뚜렷한 반면 어떤 기억은 흐릿해 잘 떠오르지 않는다. 오래된 기억에 빈 구멍이 생기고, 옛 기억이 다른 기억과 뒤섞여 왜곡되기도 한다. 이러한 기억의 개념을 정원으로 표현했다. 기억의 선 기억의 밀도에 따라 기억의 선명도가 달라진다. 긴 원통을 반으로 나누어 연결한 직선으로 기억을 표현했다. 스테인리스 관으로 만든 각기 다른 반원통의 지름과 식재의 양을 통해 기억의 밀도를 나타냈다. 기억의 섬 기억의 프레임은 서로 순서가 바뀌거나 생겨나기도 없어지기도 한다. 이런 현상을 기억의 번짐이라고 명명했다. 이러한 번짐은 기억의 선을 잘라내고 경계를 허물게 되는데, 허물어진 경계를 면으로 표현해 녹지 공간을 확보했다. 녹지 공간에는 섬기린초, 백리향 등 화려한 색상의 초화류와 꼬랑사초, 수크령 등 그라스류를 식재했다. 미러 마감한 스테인리스 관과 여러 색의 식물, 이질적으로 보일 수 있는 두 재료가 하나의 덩어리로 보이게 연출했다. 선적인 조형물 사이에 식물을 심었는데, 강한 구조물과 자연과의 조화를 고려한 것이다. 또한 기존 담장이 자아내는 인공적인 느낌을 완화하기 위해 수직과 수평이 만나는 부분에 틈을 만들고, 그 틈에 작은 크기의 다육이와 세덤을 식재하고 솔방울로 덮어 담장과 자연스러운 연결을 꾀했다. 기억의 길 주변 산책로와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진입로를 만들었다. 정원의 다양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게 순환형 동선을 구축했다. 이는 정원을 돌아보는 동선인 동시에 쉼터로 기능한다. 그림자 쉼터 그늘에 앉아 쉴 수 있도록 정원 양측에 퍼걸러를 설치했다. 이곳에서 보는 각도에 따라 기억의 선들이 뚜렷해 보이기도 하고 흐릿하게 보이기도 한다. 태양의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스테인리스판에 반사되는 정원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설계 이지훈, 문경록 시공 시트러스 가드닝, 이인조경, 엘엔씨플랜 이지훈은 대구한의대학교에서 조경을 공부하고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에서 건축을 전공했다. 2010년 지아이디자인을 설립했다. 서울에서 조경설계를 하다가 대구로 내려와 주택 건축 시공과 조경설계를 하고 있다. 인간이 만들어내고 이용하는 모든 공간에 관심이 많으며 관여하기를 좋아한다. 문경록은 영남대학교에서 조경을 전공하고 대구에서 25년 넘게 조경설계를 하고 있다. 넓고 다양한 조경의 영역을 경험하고 공부하고 있으며 정원이 가지는 매력에 빠져 열심히 탐구하고 있다. 현재는 에스엠에이의 대표 이사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바이로지컬 셀프–오거나이징 가든
바이로지컬 셀프-오거나이징 가든(Biological Self-Organizing Garden)은 단순히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정원’이라는 의미를 넘어, 특정 알고리즘을 이용해 동선이 효율적이고 조직적으로 배열되도록 설계한 정원이다. 하이에크의 자생적 질서(Spontaneous Order)와 레이놀즈의 에이전트 모델(Agent Model) 이론을 결합해 생물학적 자기 조직화의 개념을 가진 정원을 만들고자 했다. 자생적 질서는 중앙집권적 계획이나 통제가 없는 상태에서 개인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질서를 의미한다. 개체들이 서로 부딪히지 않기 위해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거나(근접 유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거나(정렬), 무리가 흩어지지 않도록 서로 모이려는 경향(응집) 등을 보이는데, 이러한 경향을 따르다보면 자연스럽게 복잡하고 조직화된 집단 행동을 하게 되는데, 이를 에이전트(개체) 기반 모델이라 한다. 점균류 알고리즘을 사용해 정원 형태를 디자인했으며, 중국 저장성에서 가져온 대나무로 정원에 중국의 특색을 더했다. 곰팡이의 가치 곰팡이는 식물 뿌리와 공생한다. 최근 한 연구는 곰팡이 네트워크가 지구 탄소의 상당 부분을 저장해 지구 탄소 순환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처럼 곰팡이와 식물의 독특한 관계와 특징을 활용한 정원을 조성하고자 했다. 식물 서울에서 자생하는 식물 위주로 식재했으며 식물의 키와 관상적 가치에 따라 식물을 선정했다. 특징에 따라 기저층, 구조층, 부유층 식물로 분류했다. 특히 곤충을 많이 유인할 수 있는 식물을 심었다. *환경과조경434호(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설계 Shen Shixian, Yang Yiming 기술 자문 Xia Yiping, Wu Xiaocheng 시공 마이조경 대나무 구조물 시공 Anji Zhujing 선스셴(Shen Shixian)은 중국예술아카데미 조경 및 건축 디자인 연구소 부원장이자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 석사 지도교수다. 중국 전통 정원, 송나라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 양이밍(Yang Yiming)은 중국예술아카데미 건축예술학부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중국예술아카데미 조경학과 석사 과정을 밟고 있다. 조경 계획 및 이론을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겸재선생님 한강공원에서 뵈어요
정원은 자연과의 접점을 찾는 활동과 인식에 공감하는 장소이며 예술이다. 한국의 자연을 산수라 할 때, 조선의 독자적인 진경산수화법을 개척한 겸재 정선의 그림들은 정원의 리얼리티를 추구하는 것과 같다. ‘겸재선생님, 한강공원에서 뵈어요’는 겸재와 함께 한강을 스케치하고 있다고 느낄 수 있는 정원이다. ‘천금을 준다고 해도 남에게 주지 말라(千金勿傳)’던 한강의 모습은 이제 남아 있지 않지만, 겸재 정선은 또 다른 방식으로 우리의 산수와 이야기하길 바라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상상력을 바탕으로 정원을 설계했다. 전략 대상지는 동서 방향의 주 보행 동선, 북측 보조 동선 사이에 놓여 있다. 즉 사람들은 이 정원에서 어느 방향으로 향해 나아갈 것인지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혼잡도를 가중하지 않도록 밀도를 낮추고 스스로 영역을 만드는 정원을 계획했다. 침수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기존 지형 내측에 정원을 넣었다. 정원 가장자리를 경사면으로 감싸 한강물이 홍수에 넘치더라도 강물을 1차적으로 막아주는 일종의 댐으로 기능하도록 했다. 경교명승첩 화첩의 전개에서 모티브를 얻어, 풍경을 바라보는 틀을 만들었다. 덕분에 산만한 주변 경관 속에서 정원의 장소감을 확보할 수 있었다. 시설물은 모래톱과 맑은 물, 강변의 지형, 강 주변의 숲과 집들, 멀리 보이는 산,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돛배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했다. *환경과조경434호(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설계 조동범, 임승재 시공 스토리아툼, 바움랜드, 나창혁(창아트) 조동범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조경학과에서 강의와 연구를 했었다. 현재는 조경설계사무소 아이엘오퍼레이션 PD(Principle Designer, Program Director)로서 디자인을 하고 있다. 임승재는 전남대학교에서 조경학을 공부했다. 정원과 시민과의 능동적 상호 작용을 통해 경관이 조작되는 과정에 집중해 도시 경관을 변화를 연구하는 조경가다. 현재는 아이엘오퍼레이션을 설립해 대표 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호미 정원
정원을 만들고 가꾸는 일은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좋아하는 꽃과 나무 몇 주를 심는 일 조차도 막상 실행에 옮기기 쉽지 않다. 마음으로는 정원과의 동행을 꿈꾸지만, 바쁜 일상과 녹록치 않은 경제적 여건, 식물 관련 지식의 부족에서 오는 막연한 걱정 등 시작을 망설이게 하는 핑계가 많다. 흙을 일구고 식물을 심는 도구인 호미를 정원 조성을 주저하는 이들에게 쥐여줌으로써 정원 만들기에 한 발 더 다가가는 계기를 만들어주고자 했다. 호미 표준국어대사전은 호미를 “김을 매거나 감자나 고구마를 캘 때 쓰는 쇠로 만든 농기구. 끝은 뾰족하고 위는 대개 넓적한 삼각형으로 되어 있는데 목을 가늘게 휘어 구부린 뒤 둥근 나무 자루에 박는다”고 정의한다. 한국에서 호미는 전통 농기구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몇 해 전,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에서 호미가 판매되기 시작하면서 농기구를 넘어 정원 도구로서 가치를 높게 평가 받았다. 호미라는 이름 그대로를 알파벳으로 표기하는 등 인지도가 상당히 높아졌다. 이런 호미를 정원의 주요 이미지로 설정했다. 이를 통해 정원을 만들고 가꾸는 것이 힘들고 어려운 일이 아닌,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익숙한 일상 활동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전달하고자 했다. 공간 구성 정원 가운데 호미 조형물을 설치함으로써 멀리서 보면 마치 호미로 꽃을 심기 위해 땅을 일구는 듯한 풍경을 연출했다. 자갈밭, 연식 의자, 루버형 담장 등을 설치했다. 보행로에 회색 계열의 석재를 사용하고 자연석을 두는 등 색채와 소재를 통해 일관된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했다. *환경과조경434호(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설계 차용준 시공 스페이스콤마, 다림토탈시스템 차용준은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했다. 나인브릿지 C.C 생츄어리가든, 한천마을 주민 참여 사업, 판교주택정원, 순천만정원 한평정원 ‘레드 웨이브즈(Red Waves)’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2017년 서울정원박람회에서 ‘한강에 돌을 던지다’로 동상을, 2016년 코리아가든쇼에서 ‘첩첩산중’으로 동상을, 2017년 코리아가든쇼에서 ‘B612’으로 우수상을 수상했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정원의 삶: 토룡은 큰 물에도 스러지지 않는다
디자인 모티브 뚝섬한강공원의 자전거 도로를 힘겹게 건너는 지렁이를 보고 설계 모티브를 얻었다. 큰 물이 흘러넘치고 나면 도로엔 수많은 지렁이가 나타나는데, 죽지 않고 버티는 지렁이를 보며 위기 속에서도 넘어지지 않는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걸 깨달았다. 지렁이를 토룡土龍이라 부르며, 큰 범람과 콘크리트를 견뎌내며 결코 쓰러지지 않는 지렁이가 가진 힘을 정원으로 표현했다. 공간 구성 정원의 동반과 생애주기라는 테마를 적용했다. 유년 시절부터 어린이, 청년, 중년, 노년에 이르는 생애주기를 정원으로 구성했다. 각각의 정원에는 테마에 맞는 다양한 식물과 색을 활용했다. 어린기정원에는 다양한 색상과 잎을 가졌으며 이른 봄에 꽃을 피우는 식물을 심었다. 힘이 넘치는 에너지를 느낄 수 있게 노란색을 주로 사용했다. 청년기정원은 상록수와 푸른빛이 짙은 초록 잎이 돋보이는 정원이다. 중년기정원에서는 완숙함과 우아함을 느낄 수 있는 자주색을 활용했다. 결실, 열매, 수확, 축하 등의 키워드를 담았다. 노년기정원은 세월의 흔적을 느끼는 공간이다. 은색 빛이 나는 초화류와 노년의 거친 피부와 손가락을 상징하는 감나무를 심었다. *환경과조경434호(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설계 김현, 김은영 시공 공간시공 에이원 김현은 영남대학교에서 조경학을 공부했다. 나무 그늘의 시원함과 계절이 시작할 때 꽃이 피는 도시가 미래 도시의 청사진이라 믿는다. 현재 공간설렘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김은영은 한경대학교에서 조경학을 공부했다. 정원과 조경을 통해 사람들의 마음 속 온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조경가다. 현재 조경설계사무소 온 실장이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뚝둑, 걸어보길
레트로스케이프 레트로스케이프(retroscape)는 회상, 추억, 복고의 의미하는 ‘레트로(retro)’와 경관을 뜻하는 ‘랜드스케이프(landscape)’를 결합한 단어다. 미래를 지향하는 정원보다 과거의 기록을 통해 옛 경관을 피워내는 레트로스케이프에 집중하고자 했다. 급속하게 변화하는 대도시 속이 정원은 과거의 경관을 남기는 장치로 시민에게 과거의 경관을 생각하며 쉴 수 있는 매개체가 된다. 메모리얼 가든 개발로 인해 사라진 자연을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했다. 현재의 대상지는 과거 한강의 모래톱을 그대로 재현하기엔 힘든 땅이 되어버렸다. 사라진 모래를 대변하는 장치를 활용해 과거 한강의 모래톱과 현재의 모습이 연결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자연의 경계에 위치한 뚝섬의 모습은 곡선을 통해 표현했다. 뚝둑, 걸어보길 ‘뚝둑’은 뚝섬과 둑섬의 앞 글자를 합친 의태어다. 뚝둑이 가진 두 가지 의미를 정원에 담았다. 첫째, 말이 뛰어다니던 경관과 소리, 이곳을 이용하던 방문객의 발소리를 나타냈다. 둘째, 현재와 과거의 장소를 직선과 곡선으로 표현해 경관적 시간을 나열하고, 이전의 모습을 기억하고 걸어볼 수 있게 했다. *환경과조경434호(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설계 이호우, 김태원 시공 권아림, 이호연 후원 에이가든 컴퍼니, 무안가드너 이호우는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생태복원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그린스마트시티학과에서 박사 수료 후 현재 논문을 쓰고 있다. 도시에서 쉼의 공간과 자연의 숨을 생각하는 담 대표로 정원 활동을 하고 있다. 김태원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전통 조경을 전공하고 미래유산대학원에서 한국정원컨텐츠학을 공부 중이다. 한국 고유의 정서와 경관이 갖는 자연관과 철학을 믿는다. 현대적인 공간에서 전통을 탐색하고 지키는 조경가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심심해지다 I 명상하다 I 고마워하다
기술의 발전으로 항상 디지털 기기에 사로잡힌 채 지내는 현대인은 심심할 틈이 없다. 하지만 적당한 심심함은 창의성, 독창적 사고를 유발하는 데 긍정적 자극을 주고,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어 건강한 정신 유지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심심함을 느끼고 장시간 앉아시간을 보낼 수 있는 정원을 조성하고자 했다. 식재 계획 정원에 앉으면 보통 높게 자란 수목이 시야를 가려 나뭇잎 사이로 보이는 하늘 혹은 지면에서 자라난 식물만이 시야에 가득 찬다. 다채로운 식물이 만들어내는 풍경은 아름다우나 그만큼 각 식물의 특성을 섬세하게 살피기는 어렵다. 이 정원에는 단일 수종을 심어 사람들이 하나의 식물에 집중하게 했다. 선정한 식물은 수크령 ‘하멜른’이다. 하멜른은 늦여름부터 피는 은백색 이삭의 질감이 매력적이다. 군락으로 식재하면 푸른 초원에 온 듯한 느낌을 낼 수 있다. 단일 수종과 시설물로만 구성된 정원에 들어서면 자칫 단조롭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그만큼 머릿속에 묵혀두었던 고민이나 생각을 떨쳐버리고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을 바라보며 가만히 앉아 명상을 즐길 수 있다. 명상 스크린 외부로부터의 시선을 차단하기 위해 타원형의 거대한 스크린 벽을 설치했다. 덕분에 정원에 들어서면 고요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한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쉬운 래커 코팅이 된 산화 금속 시트를 스크린 재료로 활용했다. 이 재료는 나무껍질과 질감이 닮아 있어 주변 자연과 매끄럽게 연결되어 시각적으로도 만족스러운 효과를 낸다. 정원 모퉁이의 정보 패널에는 정원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새겨 넣었다. *환경과조경434호(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설계 Md Ashraful Azad 시공 제이제이가든스튜디오 아슈라풀 아자드(Md Ashraful Azad)는 방글라데시 공과대학교(BUET)에서 건축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면서 사회적 상호 작용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 야외 공공 공간과 정원이 일상에서 중요한 요소라는 생각을 토대로 건축사무소 아코르 건축 워크숍을 설립했다. 창의적 디자인을 통해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 작용을 장려하는 설계를 하고 있다.
[브렉시트 이후 아일랜드 북서부 풍경] 경계에서 벡터로
‘도시-지역을 위한 지도책(Atlas For a City-Region)’은 브렉시트 이후 유럽연합EU의 아일랜드 공화국과 영국의 북아일랜드 사이 국경 지대의 미래를 상상해보는 프로젝트다. 이 국경 지대는 EU와 영국 사이의 유일한 육상 국경이다. 하버드 디자인 대학원GSD의 비평적 조경 디자인 연구소(Critical Landscapes Design Lab)가 진행한 이 연구는 영국 북아일랜드의 데리(Derry) 시와 스트라반(Strabane) 지방 자치구 의회, 그리고 아일랜드 공화국의 도니골(Donegal) 자치 의회가 공동 후원했다. 이 지도책은 아일랜드 섬의 북서 지방 풍경이 브렉시트의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현실로 인해 어떻게 변화할지 상상해본 결과물이다. 하버드 GSD의 조경학과 수업과 국경 양쪽의 현지 조사에 기반을 둔 이 연구는 어떻게 풍경이 초국경지역을 형성할 수 있는지 묻고 있다. 국경은 선이 아닌 풍경이다. 미래는 마을 사이의 연결망이나 조각보 같은 땅의 무늬처럼 풍경을 만들어내는 관계를 이해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브렉시트의 파급 효과, 기후 변화의 장기적 영향, 그리고 인구 변화는 이 국경 풍경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적절한 계획과 디자인이 절실하다. 미래에 대한 상상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지도책은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답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일랜드 북서부에 초超국경지역이 존재하는가? 그렇다면 그 지역을 어떻게 지도로 그릴 것인가? 그리고 향후 200년 동안 그 지역은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 이 세 가지 질문을 세 편의 글로 다루고자 한다. 휴대 가능한 전시로 디자인된 이 지도책은 초국경지역의 증거를 제시하고, 지도로 보여주며, 어떻게 경관이 북서부 지역의 대안적 미래를 상상하는 데 유용한지 보여준다. 배경 2016년 6월 23일 영국이 EU에서 탈퇴하는 국민 투표를 했을 때부터,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사이 초국경지역은 브렉시트의 위기와 기회에 직면했다. 영국이 EU 탈퇴를 결정한 이유 중 하나는 국경 통제의 자유였다.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국경은 영국과 EU 사이의 유일한 육상 국경으로 브렉시트 협상 지연의 원인이었다. 이 국경은 1922년 아일랜드 자유국 수립 이후 언제나 아일랜드와 영국 정치에서 논란의 대상이었다. 많은 이가 브렉시트로 인한 영국과 EU 사이의 국경 폐쇄가 과거 트러블 시기(각주 1)로 돌아갈 것을 우려했다. 수많은 사상자를 낳았던 이 시기는 1998년 양 지역 사이의 국경을 개방하기로 한 ‘굿 프라이 데이 협정’으로 끝났다. 분쟁의 역사를 기억하고 있기에 브렉시트 국민 투표에서 북아일랜드 주민의 다수, 특히 북아일랜드 서부 지역 주민은 EU에 잔류하기를 선택했다. 오늘날 국경은 눈에 잘 보이지 않으며 오직 작은 방지턱이나 도로 표면의 질감 변화만이 국경의 존재를 드러낸다. 초국경지역의 주민은 공공 서비스, 식품, 사회 기반 시설, 일상생활, 공간 패턴을 국경을 넘어 공유하며, 다양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이 풍경은 종종 ‘영국-아일랜드’로, 때로는 ‘천주교-개신교’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그리 단순하지 않다. 이 풍경 속에는 영국인, 아일랜드인, 얼스터-스코틀랜드인뿐만 아니라, 바이킹, 노르만, 비잔틴, 그리고 최근 중국, 인도, 파키스탄, 필리핀, 폴란드, 수단, 시리아에서 온 노동자, 학생, 난민의 정체성도 표현되고 있다. 땅의 무늬를 통해서 우리는 다양한 정체성, 토지 이용, 그리고 사람들의 포부와 소망의 기록을 읽고 그 위에 새로운 형태를 가늠해볼 수 있다. 초원의 경계에 자라는 생울타리는 무시하기 쉽다. 그 오래된 덤불과 배수로가 사회적, 경제적 복지와 개발과 딱히 관련 있어 보이진 않을 테니까. 사실 그 생울타리는 아일랜드 시골 풍경에서 가장 중요한 생태적 통로일 뿐만 아니라 토지 재산의 경계를 구분하고 정의하는 중요한 장치다. 얼스터-스코틀랜드 시 정체성의 상징이며 최근 200~300년 사이에 도입된 상대적으로 새로운 풍경 요소다. 초원의 크기와 생울타리 관리 정도는 그 주인의 종교가 무엇인지 시사한다. 필자는 현지에서 정돈된 생울타리는 대체로 기독교인의 것이며 천주교 신자들의 것은 대체로 덜 정돈되어 있다는 말을 여러 사람에게 들었다. 그 지역의 향후 개발이 무엇이든 그 형태는 바로 생울타리로 정의된 땅 속에 있을 것이다. 한편 아일랜드 공화국의 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더블린이나 코르크, 리머릭, 골웨이 같은 도시들은 이미 포화 상태다.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 공화국 사이 국경 지대에 150만 명이 사는 도시를 제안하는 것은 공상이라 할 수 없다. 현재 700명의 인구가 전부인 킬리아 마을은 북아일랜드의 데리-런던데리 시, 아일랜드 공화국의 레터케니 시 사이의 고지대에 있다. 50년 이내로 킬리아 마을은 지역의 새로운 수도가 될지도 모른다.(각주 2) 브렉시트와 인구 변화로 인한 풍경의 변화도 분명하지만 기후 변화는 더 큰 위협이다. 이 지역은 50년 이내에 강수량이 줄고 지중해성 기후가 될 것이다. 북서부 지방에서 감자 재배는 어려워질 것이고, 대신 오렌지와 감귤류가 새로운 작물이 될 것이다. 기후 변화를 고려했을 때, 새로운 방식의 일과 삶의 형태를 상상해보는 것은 필수적이다. 국경을 선이 아닌 풍경으로 바라보는 것으로부터 이러한 장기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있다.(각주 3) *환경과조경434호(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정리 1. 역주. 1960년대 후반부터 1998년까지 아일랜드 공화국과 영국의 북아일랜드 간의 분쟁. 북아일랜드가 영국에 남아있기를 바랐던 영국 통합론주의자와 합병을 지지하는 북아일랜드인, 그리고 영국을 떠나 통일 아일랜드 공화국을 바랐던 아일랜드 독립주의자와 공화당원 간의 갈등으로 약 3,500명이 죽었다. 이 중 민간인이 52%였다. Malcolm Sutton, “Sutton Index of Deaths– Status Summary”, Conflict Archive on the Inter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ugust 2015, Retrieved 31 August 2012. 2. 더 많은 아일랜드 인구 통계는 다음을 참고. www.cso.ie/en/releasesandpublications/ep/p-plfp/populationandlabour forceprojections2017-2051/populationprojectionsresults/ (2020년 4월 1일 접속) 3. Gareth Doherty and Pol Fité Matamoros, “From Line to Landscape: The Irish Northwest Border Region”, Architectural Design 263, pp.100~105. 게럿 도허티(Gareth Doherty)는 하버드 GSD 조경학과 교수이며, 아직 공식적으로 기록되지 않은 조경의 내러티브와 그 실체를 탐구하고 풀어낸다. 그는 경관 현지 조사(landscape fieldwork)라고 부르는 현장 중심 연구 방법을 통해 복합 경관에서 사람과 환경을 핵심 요소로 다룬다. 본 연재의 번역을 맡은 강준호는 하버드GSD를 졸업한 뒤 도허티의 비평적 조경 디자인 연구소(Critical Landscapes Design Lab)에서 연구원으로 일했고, 현재 건축가로 활동하고 있다.
[어제의 대화, 오늘의 재구성] 이지회
전시 개막 행사에 이토록 많은 사람이 모인 건 처음 봤다. 아는 얼굴도 많았지만 익숙하지 않은 인물들이 보여서 들떴다. 특히 조경의 경계 혹은 바깥에서 활동하는 사람을 목격했을 때는 더욱. 대부분 정장이나 단정한 느낌의 옷을 입고 있었는데, 눈길을 끄는 차림새가 있었다. 어둑한 회색빛의 점프 수트, 개성을 담은 패션이라기엔 그 재질과 형태가 기능에 충실해 보였다. 허리춤의 D자형 고리에 장갑이 매달려 있는 걸 포착했다. 걸음을 옮길 때마다 허리 춤에서 짤랑짤랑 흔들리는 무언가의 정체가 궁금해 눈을 가늘게 뜨며 생각했다. ‘그래, 원래 끝에 끝까지 작업하기 마련이지. 이번 전시를 위해 조성했다던 정원 작업에 참여한 사람인가?’ 그런데 웬걸 행사가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연단에 섰다. 이지회 학예연구사였다. 입고 있는 건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 전을 기념해 만든 ‘정영선 가드닝수트’, 허리춤에 찬 장갑도 굿즈의 일부였다. 내 궁금증을 자극한 허리춤에서 짤랑거리던 것의 정체도 굿즈인 키링이었다. 인터뷰가 끝난 뒤 머릿속에 짙게 남은 단어는 ‘피칭(pitching)’이었다. 조경을 전공한 내게 익숙하지 않은 표현이기도 했고, 이지회의 삶이 그의 표현처럼 피칭의 연속처럼 느껴졌기 때문이었다. 가치 있는 것을 발굴하고 이를 조명해야 하는 이유를 증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피칭에 매력을 느끼도록 이목을 끄는 것 역시 중요하다. 개막 행사 때의 차림새 역시 그 자리를 찾은 관람객을 설득하는 피칭의 일종이었으리라. 예술은 예술가가 만들어내는 것이기도 하지만 누군가가 발견해내는 것이기도 하다. 어제는 뭐했나요? 도록의 영문 교정을 봤어요.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이하 정영선 전) 전시 도록 출고를 위한 막판 작업을 진행 중이거든요. 도록이 출간되는군요. 어떤 형식의 도록인지 살짝 스포일러 해주세요. 단순한 자료집 형태는 아니에요. 전시 기간이 끝나면 그 안의 콘텐츠가 사라지는 게 아쉬워서, 이후에도 많은 연구자와 관련 분야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계속 찾아볼 수 있는 책을 만들고 싶어 꽤 심혈을 기울이고 있어요. 정영선 선생님이 그간 쓴 글도 모았고, 도록을 위한 대담회를 새로 열었어요. 민현식 건축가(건축사사무소 기오헌), 김종규 건축가(M.A.R.U.), 이진형 조경가(조경설계 서안)가 함께 나눈 대화가 실립니다. 정영선 선생님의 다양한 색과 측면을 볼 수 있도록 구성했어요. 보통은 전시 개최만으로 학예연구사(이하 학예사 또는 큐레이터)의 할 일이 끝났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많은데, 후작업도 전시 준비만큼이나 중요한 것 같아요. 전시 기획부터 개최까지 어떠한 흐름으로 진행되는지 학예사의 일상이 궁금합니다. 독립큐레이터로 일하던 때에는 비교적 자유로웠는데 국립현대미술관(이하 국현) 입사 후에는 기관의 루틴을 따르게 됐어요. 전시 기획은 큐레이터의 발의로부터 시작돼요. 국현의 경우에는 일 년에 네 번 정기 회의를 열어 큐레이터의 전시 프로젝트 발의를 듣고 개최 여부를 검토해요. 정영선 전도 그렇게 시작됐죠. 피크닉에서 열린 ‘정원 만들기’(2021) 전시를 통해 정영선 선생님을 알게 됐는데, 나라면 그를 어떻게 소개할 수 있을까 상상해본 적이 있었거든요. 상상을 구체화한 내용을 발의했죠. 어떤 성격의 전시냐에 따라 준비 방식이 다른데 아무래도 자료를 모으는 게 제일 먼저에요. 자료가 있어야 내용을 어떻게 묶을지 구조를 짤 수 있거든요. 어느 정도 틀이 잡히면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서사를 짜죠. 규모와 예산을 조정하고 일정을 계획하고 각종 행정적인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것 역시 학예사의 역할이에요. 정영선 선생님이 조경가는 ‘연결사’라고 말했는데, 큐레이터도 비슷한 면이 있어요. 미술관에는 전시 디자인, 작품 보존, 전시 운영, 장비 설치, 교육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있어요. 이 전문가들이 하나의 서사, 완결된 전시 형태를 만들 수 있게 긴밀하게 조율하고 이끄는 게 큐레이터의 역할이에요. ‘정원 만들기’ 전시가 이번 전시의 기획 계기라고 볼 수 있겠어요. 그때 정영선 선생님의 존재를 처음 알게 됐어요. 그런데 알고 보니 이미 접하고 있었고, 제가 모르고 있던 것뿐이더라고요.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한국관(2014)에서 뷰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삼성미술관 플라토의 ‘매스스터디스 건축하기 전/후’를 맡아 진행하며 조민석 건축가(매스스터디스) 작품을 다뤘거든요. 그때 매스스터디스 작품 크레딧에서 STL(조경설계 서안 영문 이름의 약자)과 디자인 스튜디오 loci의 이름을 자주 봤었어요. 건축을 전공했지만 조경은 잘 몰랐기에 ‘이 회사가 조경을 진행했구나’ 정도로 생각하고 말았죠. 알고 보니 조경설계 서안이 정영선 선생님이 이끄는 사무소였고, 디자인 스튜디오 loci는 정영선 선생님과 자주 협업하는 박승진 소장님의 조경설계사무소 이름이더라고요. ‘정원 만들기’ 전시를 본 시점이 코로나19 팬데믹을 막 통과하고 있던 2021년이었어요. 정원과 가드닝을 주제로 한 전시가 신선하게 느껴졌어요. 만약 내가 국현에서 전시를 진행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할 수 있을까 가볍게 상상해봤고, 정영선이라는 인물의 일생 자체를 조명할 만하다고 생각했죠. 2013년 이후 국현 서울관은 매년 원로 작가 개인전을 개최하고 있어요. 대체로 남성 작가를 다뤄왔기에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었고, 새로운 서사를 발굴할 만한 여성 작가를 적극적으로 찾게 되었어요. 그때 떠오른 게 정영선 선생님이었어요.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많은 프로젝트를 설계했기에 많은 사람에게 소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죠. 코로나19 이후 플랜테리어가 유행하고 있었고 정원을 가까이하는 문화가 일반 대중은 물론 미술 애호가의 일상 깊숙이 들어왔다는 점도 중요 피칭 포인트로 작동했습니다. 이력을 보며 건축 관련 전시를 꽤 많이 진행했기에 배경이 궁금했어요. 건축을 전공했군요. 네. 좀 복잡합니다. 영국 런던의 골드스미스대학교에서 예술 비평을 공부했고, 뉴욕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건축 석사를 받았어요. 건축도 조경도 건조 환경(built environment)이라 부르잖아요. 정영선 전을 기획하면서 얄팍하게 알고 있었고 동경의 대상이기도 했던 조경의 언어들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습니다. 전공 모두를 살린 일을 하고 있는 셈이네요. 갑자기 전공을 바꾸는 게 쉽진 않았을 것 같은데요. 워낙 다양한 데 관심이 많아요. 어렸을 적부터 예술가를 꿈꿨어요. 예술가가 될 거라는 데 어떤 의심도 없었고, 서울예고를 다니며 서양화를 공부했어요. 2003년 이화여자대학교에 입학했어요. 시대적으로 작은 변화의 조짐이 일고 있는 시기였는데 기대했던 것만큼 큰 혁신이 느껴지지 않아 갈급함을 느끼고 있었죠. 그러던 중 『로베르네 집』(장은아, 시공사, 2003)을 읽게 됐어요. 프랑스의 불법 점거 아틀리에에서 살고 있는 예술가의 삶을 그린 책이었는데, 보수적인 집에서 자란 저에게 ‘자유’ 그 자체로 다가왔죠. 어쩌면 그때부터 피칭하는 삶이 시작된 것 같네요. 부모님에게 프랑스로 제가 떠나야 하는 이유를 피칭했거든요. 국제화 시대고 영어만 해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이유로 프랑스로 어학연수를 떠났습니다. 프랑스에 도착한 뒤에는 각종 전시를 보고 갤러리를 찾아다니는 데 빠져 지냈어요. 유럽 사람들이 예술을 얼마나 존중하는지 목격했고, 이를 뒷받침하는 탄탄한 산업 체계에 감탄했어요. 그 모습을 보니 한국에 절대 돌아가지 않아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이화여대를 자퇴하고 그렇게 골드스미스에 입학하게 됐어요. 그런데 막상 입학해 공부하다 보니 또 다른 문제점이 보이더라고요. 예술품을 부유층이 향유하는 문화로 지탱되는 예술의 산업 구조가 어린 마음에 위선적으로 느껴졌어요. 반면 디자인은 예술 그 자체보다는 솔직하다고 생각했어요. 사용자라는 명확한 클라이언트가 있는 산업이고, 실질적으로 사람의 삶에 변화를 빠르게 줄 수 있는 분야잖아요. 그렇게 건축에 관심을 갖게 됐는데, 뉴욕 컬럼비아대학교의CCCP(Critical, Curatorial, and Conceptual Practices in Architecture) 프로그램이 정말 인상적이었습니다. 건축 비평, 출판, 큐레이팅, 전시, 글쓰기 및 리서치를 공부하는 곳인데, 1년에 열 명 남짓한 졸업생을 배출하는 소수 정예의 학과에요. 제가 세 번째 졸업생이죠. 한국에 돌아오지 않겠다는 결심을 바꾸게 된 이유가 있나요. 2015년 즈음 한국에서 예술가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는 모습을 확인했어요. 해외에는 공공 펀드가 드물어요. 그래서 큐레이터의 업무 중 하나가 전시 자금을 확보하는 일이기도 하고요. 당시 한국에서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공공 사업이 많이 열렸고, 오히려 외국 작가들이 이를 쫓아 한국으로 들어가고 있었어요. 그걸 보고 “이제 아시아에 미래가 있다!” 하면서 돌아온 거죠(웃음). 정영선 전을 빼곡하게 채운 수많은 자료에 놀랐어요. 잡지를 편집하다 보면 생각보다 도면, 사진 등 자료를 모으는 데 애를 먹을 때가 많거든요. 자료 수집 과정이 궁금해졌습니다. 쉽진 않았어요. 모든 전시는 자료에서 시작돼요. 결과적으로는 전시는 관람객에게 볼 것을 제공해야 하고, 말뿐인 전시는 증거가 없는 허황된 이야기가 될 수밖에 없어요. 정영선 선생님이 활동해온 역사가 워낙 길다보니 2000년 이전의 자료는 아날로그 형태밖에 없었어요. 그래서 본격적인 자료 수집을 위해 서안의 자료가 보관되어 있는 지하실에서 살았어요. 자료 정리가 안 된 상태는 아니었는데, 프로젝트 별로 하나의 박스에 모든 자료가 담겨 있는 상황이었어요. 물난리가 몇 번 난 터라 자료에 곰팡이가 핀 경우도 많았고요. 퀴퀴한 곰팡이 냄새와 싸우며 모든 자료를 한 장 한 장 다 펼쳐보고, 그 자료를 목록화해 엑셀 마스터 시트로 만들었죠. 업데이트를 끊임없이 계속했는데, 탭의 수만 해도 어마 어마했어요. 시트를 완성한 후에야 가치가 있다고 확신이 드는 자료를 추리는 단계에 들어갔죠. 다양한 지역의 프로젝트를 다룰 수 있도록 안배하고 공공적 성격과 상업적 성격의 프로젝트의 균형을 맞추는 데도 집중했어요. 특히 우리가 방문할 수 없는 사적인 공간을 다룰 경우, 충분히 예술성이 있는 장소인지를 끊임없이 검토했어요. 자료의 질 역시 중요한 고려사항이었습니다. 이 작업을 반복하며 프로젝트 목록을 계속 업데이트했고, 80개 정도의 프로젝트를 추릴 수 있었습니다. 골라낸 프로젝트에 서사를 부여해 묶기 시작하니 또 구멍들이 생기더라고요. 빈 곳을 메우는 작업에 돌입했는데, 그 과정에서 약 80개 기관에 공문을 보냈어요. 정영선 선생님과 협업한 모든 건축사무소에도 협조를 구했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할 수 없는 자료가 있어 아쉽기도 했어요. 어떤 프로젝트의 사진을 가지고 있는 사진가에게 다른 프로젝트의 사진을 갖고 있는지 묻는 등 알음알음 모은 자료가 많습니다. 작품을 보여주는 방식에서 연대기적 서사를 지양하고 작업의 주제와 성격에 따라 일곱 가지 묶음을 구성했어요. 이러한 방식이 “정영선이 강조하는 ‘지사地史적 맥락’에 기반을 두고 있음을 나타내기도 한다”는 설명이 인상 깊었습니다. 2023년 12월 초에 모은 자료와 대략적으로 그린 전시 기획을 바탕으로 조경 분야의 전문가를 모시고 라운드테이블 형식의 자문 회의를 열었었어요. 조경을 전공하지도 않았거니와 조경이라는 분야를 국현에서 처음 다루다 보니 염려되는 부분이 많았거든요. 건축을 전공하고 시각예술을 다루는 큐레이터의 입장에서 바라본 조경이 실제 조경가가 생각하는 조경과 괴리가 있으면 안 되니 일찍 매를 맞자라는 마음가짐이었죠. 사실 전시 기획 초기 단계에서는 이런 전시 구성이 좋은 호응을 얻진 못했어요. 저는 비슷한 주제와 성격의 프로젝트가 응집되어 그 특징과 서사를 명료하게 보여주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시간 순으로 보여주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정영선 선생님의 입장에서는 인생과 맞물려 흘러가는 작품의 서사가 있었던 거죠. 큐레이터의 의견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전시가 조명하려는 인물 그 자체잖아요. 그래서 어떤 구성이 더 맞는지 거듭 검토했죠. 효과적인 피칭 방식을 고민하기도 했어요. “정영선 선생님은 아날로그 형태의 자료에 더 익숙하니 전시를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물리적 자료가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한 분의 조언이 도움이 됐죠. 그동안은 미술관도 ESG 운영을 강조하다 보니 디지털 자료로 전시 기획 설명을 해드리곤 했거든요. 정영선 선생님을 위해 전시 소주제를 담은 글을 크게 인쇄해서 뽑아갔어요. 가장 큰 효과를 낸 건 모형이었어요. 전시 공간의 10분의 1 크기의 모형을 만들어 보여드렸죠. 모형을 만들어 보니 조각들의 모음으로 느껴졌던 전시가 한눈에 읽히더라고요. 정영선 선생님도 마찬가지였는지, 그날 피칭이 끝난 후 전화를 주셨어요. 고마운 사람이라며 그간 오해해서 미안하고 내 인생을 이렇게 잘 이야기해주는 전시가 없다는 말씀을 전하셨죠. 자신보다 훨씬 나이가 어린 사람에게 이런 말씀을 하는 일이 쉽지 않는데 마음이 일렁이더라고요. 보통 개인전을 진행하다 보면 작가분과 일종의 애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정영선 선생님에게는 존경심만 남았습니다. 정영선 선생님은 “조경은 미생물부터 우주까지 생동하는 모든 것을 재료 삼는 종합과학예술”이라고 정의했어요. 과학과 예술의 접목만으로도 복잡한데 이를 통해 생명을 이야기해야 하다니 늘 설명하기 어려운 학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자칫 어느 한쪽에 치우치면 본래의 뜻이 흐려질 수 있고요. 그만큼 전시의 방향을 잡기 쉽지 않았을 것 같아요. 국현 내부에서도 왜 조경을 다뤄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이 있었어요. 현대미술이 다양한 장르를 아우를 수 있는 건 ‘개념’을 중시하기 때문입니다. 정말 잘 그린 기술적인 그림을 찬양하던 시대에서 마르셀 뒤샹의 등장을 기점으로 작품에 담긴 생각을 중요시하게 됐잖아요. 왜 이렇게 만들었는지, 하려는 이야기가 무엇인지를 들여다보는 게 현대미술의 핵심이라 생각합니다. 조경도 다른 시각예술 장르처럼 자신의 의도를 실제로 구현한다는 점에서 현대미술로 다룰 수 있다고 판단했어요. 과학, 예술, 생명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기보다 조경 작품에 담긴 의도를 잘 보여주는 방향을 택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했고요. 예술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가 생각의 외연을 확장하게 만드는 겁니다. 조경은 클라이언트가 있는 디자인 서비스지만, 저자성을 갖고 사람들과 충분한 소통을 하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게다가 우리의 삶과 굉장히 밀접해 사람들의 삶을 굉장히 많이 바꾸고 있어요. 정영선 선생님의 광화문광장이 있었기에 많은 사람이 그곳에 모일 수 있는 것처럼 말이죠. 광화문광장은 보행로와 도로의 높이를 거의 비슷하게 만들면서 ‘비움의 미’를 담았어요. 어찌 보면 간결한 디자인 언어인데 그 여파가 대단하고요. 전시 기획 역시 일종의 공간 설계가 아닌가 싶어요. 조경의 정의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지만, 결국 그 결과물은 장소로 드러나죠. ‘공간’이 아닌 ‘장소’이기에 도면이나 사진, 작게 축소한 모형만으로는 그 모습을 제대로 보여줄 수 없어요. 그 한계를 어떻게 극복하나요. 건축 전시를 진행하며 늘 마음에 품고 있던 질문이네요. 건축 전시라는 게 실제 건축은 다른 장소에 있지만 그것을 전시장에 재현하는 일이죠. 그래서 재현이라는 행위 자체에서 무슨 이야기를 할 수 있는지, 실제 건축을 경험하는 것과는 무엇이 달라야 하는지 늘 고민합니다. 전시 행위 자체도 건축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해요. 다른 예술 분야처럼 건축의 핵심도 결국 아이디어에 있으니, 이 아이디어를 전시라는 매체로 어떻게 더 효율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골몰합니다. 조경 전시도 비슷한 맥락입니다. 여러 프로젝트의 이미지, 텍스트, 기술적인 드로잉을 모은 묶음들이 실제 공간을 경험하는 것보다 어쩌면 더 직접적인 방식으로 조경가의 의도와 생각을 보여줄 수도 있는 거죠. 방지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바닥장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서안 사무소에서 가져온 자료를 추리기 위해 미술관 수장고 바닥에 쫙 깔아놓은 적이 있어요. 그 양이 워낙 방대하니 정말 넓게 펼쳐져 있었거든요. 그 장면을 본 전시 공간 디자인을 맡은 김용주 기획관이 “이 자체가 전시다”라 말한 게 바닥장 아이디어의 출발이었어요. 정영선 선생님이 조경을 시작할 때 땅을 읽는 행위에서부터 시작한다는 말이 떠올랐죠. 전시물을 바닥에 놓는다면, 풀 한 포기를 직접 심고 몸을 수그리며 땅을 겸손하게 대하는 태도를 관람객에게서도 이끌어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바닥장을 사용하고자 한 전시 디자이너의 안은 협소한 전시 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묘책이었어요. 자료를 충분히 담을 수 있고 육안으로 자료를 확인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바닥장의 크기와 깊이를 조정한 것으로 압니다. 보행로와 휠체어 사용자의 동선, 바닥에 앉는 것을 불편해하는 사람들을 위한 테이블장의 위치 등을 고려해 바닥장을 설치한 거죠. 정영선 선생님이 아모레퍼시픽 사옥에서 활용한 방지를 보면서 전통 정원에서 가져온 요소를 이토록 현대적으로 해석할 수 있구나 생각했는데, 화이트 큐브인 이 전시장에도 방지를 닮은 바닥장이 참 잘 어울리더라고요. 긍정적인 반응만 있던 건 아니었어요. 자료를 발로 밟는다는 사실에 본능적인 거부감을 보이는 사람도 있었고, 정영선 선생님의 작업 특징은 자연주의 정원인데 그리드 형태의 바닥장이 딱딱하게 느껴진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의견을 일부 수용해 본래 같은 크기로 계획했던 식물 사진들을 이용해 변주를 주었어요. 벽면에 크기가 각기 다른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으니 그리드의 경직성이 누그러지는 효과가 나더라고요. ‘워치 앤 칠’ 시리즈를 흥미롭게 봤어요. 세계 최초 구독형 아트 스트리밍 플랫폼이 신선하게 다가왔고, 미디어 매체의 변화가 전시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걸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어요. 미래의 미술관과 전시는 어떤 형태로 바뀌어나갈 거라고 생각하나요. 어쩌면 공간을 체험시키는 가장 쉬운 방법은 VR일 텐데 이번 전시에서 쓰지 않은 이유가 있나요. 어떤 매체를 사용하느냐보다 무슨 이야기를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뤄야 하는 작업을 가장 잘 보여주는 방식이 VR이라면 쓰지 않을 필요가 없겠죠. 아직까지는 VR에 대한 확신도, 어떤 판단도 없는 상태에요. VR 자체가 워낙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고요. ‘워치 앤 칠’은 국현의 소장품 위주로 구성한 전시였고, 목적이 코로나19로 인해 여러 교류가 소원해진 상황을 타파할 새로운 네트워크를 만드는 데 있었습니다. 기존에 VR 작품이 있어 전시를 해두었고, 모든 사람이 VR 기기를 가지고 있는 건 아니니 휴대폰처럼 좀 더 접근성이 좋은 매체를 이용해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게 했죠. 사실 저는 온라인 플랫폼 자체도 건축의 일종이라고 생각해요. 디지털 공간을 인포메이션 아키텍처라고 부르기도 하고요. 온라인 플랫폼은 여러 정보가 오가고, 사람들이 교류를 하는 장소이며, 상호 작용이 오가는 경험이 이루어진다는 점도 건축과 닮았어요. 누군가는 제 발자취를 보면 여러 길을 걷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저는 전시, 건축, 조경이 하나의 맥락에 놓여 있다고 느낍니다. 전시의 일환으로 전시마당과 종친부마당에 정원을 조성했죠. 정원과 조경을 동의어로 읽을 수 없기에 했던 고민이 있을 것 같아요. 국현 서울관에서 하는 원로 작가 개인전에서는 항상 커미션 작업을 선보여요. 동시대적 이슈를 담은 새로운 작업을 부탁하곤 하죠. 작년 말에 진행한 자문 라운드 테이블에서 한 조경가가 의미 있는 의견을 던졌어요. 정영선 전이 할머니 전시처럼 느껴지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거였죠. 정영선 선생님은 미래지향적인 사람이고, 옛날부터 지금까지 항상 동시대적 이슈를 조경으로 말해왔거든요. 그래서 이를테면 MZ세대 관람객들이 와서 작품을 보다가 알고 보니 할머니의 작업이었네 하고 놀라기를 바랐습니다. 전시 첫 번째 파트 제목이 ‘지속가능한 역사 쓰기’인데 일부러 고집한 이름이에요. 지속가능하다는 말이 우리 세대에게는 익숙한 언어지만, 생각보다 20세기를 살아온 세대에겐 낯선 표현일 수 있죠. 그렇지만 이 파트가 반드시 첫 번째 순서가 되기를 바랐어요. 정영선 선생님 세대와 미래 세대를 잇는 교각이 되기를 바랐습니다. 정원도 일종의 연결 다리에요. 실제 다른 장소에 있는 정영선 선생님의 조경 작품과 전시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전시장에서 본 정영선 선생님의 아이디어, 구상, 청사진을 비롯한 여러 기록과 실제 정원 사이에서 유기적 작용이 일어날 거라 기대했어요. 전시장을 둘러보기 전 만났던 정원과 전시를 둘러보고 만난 정원은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보일 게 분명하거든요. 그래서 다른 장소는 몰라도 전시마당에는 꼭 정영선 선생님의 새 정원이 조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어요. 또 ‘정원의 재발견’이라는 파트를 꽤 고심해서 구성했습니다. 정영선 선생님의 많은 작품 중 희원이 큰 분기점이에요. 이전에는 대부분 국가주도 사업을 통해 도시 경관을 만들며 땅의 맥락을 연결하는 작업을 했다면, 희원은 전통 정원의 요소를 마음껏 실험해본 정영선 선생님의 숙원 사업이었죠. 희원을 필두로 정원이 조경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을 한 게 아닌가 싶어요. 전시마당이 워낙 음지라 잔디를 심어도 자꾸 죽었는데, 이제 늘 푸릇푸릇할 것 같아 기대가 돼요. 전시마당의 정원이 전시와 상호 작용을 하는 곳이라면, 종친부마당 정원은 그 장소 자체가 가진 의미가 많은 공간이에요. 넓은 잔디밭 너머로는 인왕산의 풍경이, 종친부, 옛 기무사, 현대건축물까지 여러 시간성이 교차하죠. 인근 도서관에서 이곳이 내려다보이기도 하고요. 어떤 요구도 없이 정영선 선생님에게 완벽하게 맡겼는데, 차경, 땅의 맥락의 연결, 자생종 등 전시에서 정영선 선생님이 한 이야기가 그대로 담긴 채 눈앞에 구현되어 있었죠. 아카이브 형태의 전시뿐 아니라 오감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공간까지 마련되어 굉장히 뿌듯합니다. 건축을 화이트 큐브 안으로 옮겨오는 것과 조경을 화이트 큐브 안으로 옮겨오는 작업에 차이가 있던가요. 차이점을 이야기하려면 좀 더 조경 전시를 많이 진행해봐야 할 것 같아요. 저는 건축 도면을 보는 데 굉장히 익숙한 사람인데, 이번 전시를 통해 도면 바깥을 살피는 시각을 열게 됐어요. 제주 오설록 이니스프리의 경우, 이전에는 건물 하나하나의 요소를 봤었는데 정영선 전을 진행하면서는 전체 부지, 건물과 녹차밭의 관계, 길과의 연결성을 보게 되더라고요. 조경 도면이나 드로잉이 지닌 미술 콘텐츠로서의 가치는 어떤지 알고 싶어요. 식생의 기호가 굉장히 아름답게 느껴졌어요. 조경가들은 아무렇지 않게 넘기는 도면들인데, 저는 참 예쁘게 느껴서 전시장에서 이 도면들을 꼭 넘겨볼 수 있도록 해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기술적인 도면에서도 조형적인 아름다움이 느껴지고, 청사진들은 풍경화처럼 보였어요. 휘닉스파크 도면이 기억나는데, 트레이싱지에 색색의 파스텔로 그린 도면들이 겹겹이 쌓이며 만들어지는 이미지가 미술 작품으로서도 충분한 가치를 가진 걸로 보였습니다. 설계 개념을 보여주기 위해 크레파스로 거칠게 그린 두내원 스케치는 그저 예술 작품 같았어요. 스스로 정의하는 학예연구사라는 직업이 궁금합니다. 자신만의 큐레이팅 방식, 추구하는 정체성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큰 방향성이나 목표를 가지고 사는 것 같진 않아요. 그때그때 최선을 다하고 어떤 기회를 만날 때 최상의 결과를 끌어내기 위해 고민을 깊게 하는 편입니다. 국현에서 일한 지 8년째에 접어들었는데, 기관이 해야 하는 일이 분명히 있고 가져야 하는 무게감이 있다는 걸 깨닫고 있어요. “이 시점에서 무슨 이야기를 해야 되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계속 던지는 편이에요. 또 협업에 대해 열린 마음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워낙 여러 사람과 함께 일하는 걸 좋아하기도 하고요. 여러 전문가가 서로 연결되어 각 전문 분야가 오롯이 잘 드러날 때 전시가 가장 빛을 낸다고 생각해요. 전시를 만들어가는 과정 속에서 나 혼자의 생각에 고립되지 않고 여러 사람의 의견을 수렴하고 거듭 테스트하려고 노력해요. 관객이라는 새로운 타자에게 울림을 주려면 어느 정도의 객관성을 확보해야 하니 그 객관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추구한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워치 앤 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9개 도시의 큐레이터와 협업을 했었어요. 그때 논의했던 게 탈중앙화 전시 기획 방식이었습니다. 저자권(authorship)을 중요하게 여기면서도 유연하게 연결하면 그 시너지 효과가 어마어마해요. 더 나이가 들더라도 고집부리지 않고 여러 소리에 귀 기울이는 기획자가 되고 싶어요. 전시를 기획하면서 참고한 책이나 자료 등이 있다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정영선이 궁금한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자료로 소개해주세요. 우선 정영선 전 전시 도록을 소개해드리고 싶네요(웃음). 도록에 ‘더 읽을 거리’라는 파트를 만들어 전시를 준비하며 참고했던 모든 텍스트 목록을 다 정리해놓았습니다. 이번 전시를 준비하며 수면 아래에 있던 서사를 끌어내 오늘날의 시점으로 다시 썼다고 볼 수 있거든요. 또 무작위로 흩어져 있던 자료를 하나로 모으기도 했고요. 전시가 끝났다고 이것들이 다시 물 아래로 가라앉지 않기를 바랐습니다. 전시는 시작일 뿐이고 이후에 더 많은 이야기가 만들어져야 해요. 이 도록이 다양한 후발 연구의 플랫폼이 되기를 바랍니다. 코넬리아 오벌랜더Cornelia Oberlander라는 캐나다 조경가가 있는데, 놀이터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캐나다의 모던 아키텍처와 함께 성장했고, 많은 공공 프로젝트를 진행했죠. 정영선 선생님보다 연세는 많지만 여성이라는 점도 그렇고 비슷한 점이 좀 보였어요. 그의 작품 중 놀이터에 주목한 책인 『Cornelia Hahn Oberlander on Pedagogical Playgrounds』(Concordia University Press, 2023)를 도록 제작 과정에서 참고하기도 했어요. 이지회는 국립현대미술관의 학예연구사다.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2024),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 ‘워치 앤 칠’과 연계 국제 순회전(2021~2023) 등을 기획했다.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새로운 유라시아 프로젝트’(2015~2017) 큐레이터, 2014년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서 황금사자상을 받은 한국관의 부큐레이터로 활동했다.
[어떤 디자인 오피스] HLD
사상 공유 구역 HLD 조경이란 안녕하세요. 사상 공유 구역 HLD는 서로 다른 신념을 가진 열네 명의 사람이 모여서 벌이는 사회 실험이자 본격 조경 서바이벌입니다. 『환경과조경』 원고 마감 4일 전, 참가자 전원은 조경과 관련된 사전 테스트에 참여했습니다. · 조경설계의 꽃은 식재 설계다. · 사회에서 조경가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은 심각한 문제다. · 회사 운영에 도움이 된다면 조금 의미 없다고 생각하는 프로젝트도 수주해야 한다. · 공원 BF 인증 의무화는 이동 약자를 위한 당연한 조치이므로 지금보다 더 철저하게 해야 한다. · 번아웃을 호소하는 사람은 사실 엄살인 경우가 많다. (등 총 72문항) 테스트는 네 개 차원에 대한 참가자의 점수를 측정하며 각각 역할, 관점, 재능, 변화의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테스트 뒤 익명 채팅을 통해 선택만으로 다 표현하기 어려운 생각을 좀 더 들어보았습니다. 역할: 넓파 vs. 깊파 ‘역할’ 차원은 조경이라는 분야의 역할에 대한 범위를 측정합니다. ‘조경가는 식물 전문가’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계획적, 도시적 역할의 넓은 조경을 지향할수록 ‘넓파’, 자연과 인간을 매개하는 공간으로서 조경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는 정원 중심의 깊은 조경을 지향할수록 ‘깊파’로 분류됩니다. “학교에서 넓게 배웠는데 나와 보니 좁다.” “제가 ‘조경가’로 불리는 게 맞나 싶고, 마찬가지로 HLD가 정확히 조경 회사가 맞는지 모르겠어요.” “조경가가 식물을 몰라도 되는 건 아니지만 식물 전문가 취급 받는 것에 경계심이 있는 건 사실입니다.” “사실 식물이나 생태에 대해 더 잘 알아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도 문제에요. 정원이나 생태를 다루는 분들이 자주 지적하는 부분이기도 하고요.” “음……. 나는 넓고 깊다.” 관점: 과학파 vs. 예술파 ‘관점’ 차원은 조경이 하는 일의 성격에 대한 전반적 태도를 측정합니다.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에 따른 산물이라고 생각할수록 ‘과학파’,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이라고 생각할수록 ‘예술파’로 분류됩니다. “조경이 예술에 가깝다고 느끼는 이유: 디자인할 때는 철저하게 계산하고 많은 숫자에 기초해서 만들지만 결과물은 유기적인 예술품 같아서.” “순수 예술과는 분명히 다른 면이 있지만 그래도 어느 쪽이냐 하면 표현이 차지하는 영역이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왜 그렇게 설계했는가를 항상 논리적으로 답할 수 있지 않음.” “실시도면을 그릴 때 1mm 단위까지 신경 쓰는 거 보면 인공 위성 만드는 과학자나 공학자 같은데, 비율이나 비례, 조형적인 아름다움도 엄청 신경 쓰는 거 보면 예술가 같음. 조형미나 비례는 감이나 느낌에 의지할 때도 있기 때문.” “과학을 기반으로 하는 예술이라고 하면 좀 더 말이 될 것 같아요.” “못생긴 게 싫긴 함.” “예술은 메시지를 던지는 것 자체에 목적을 두고, 과학은 설정한 문제에 대한 답을 찾는 데 목적을 둔다는 점이 차이라고 봐요. 특히 공공 프로젝트인 경우 과학적 설계안이 설득력 있게 느껴질 때가 있어요. 더 다양한 유형의 ‘예술적’ 공공 프로젝트가 진행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A 플랜이 좋은 공간이 좋은 건가, 공간이 결과적으로 좋아야 하는 건가 이야기해보고 싶다. B 오호. B 대치유수지 공원 생각나요. C 교수님이 플랜이 좋은 공간이 실제로도 좋은 공간이라고 가르쳐주셨어요. 그땐 그렇구나 했는데, 지금은 꼭 그렇지는 않다 생각해요. D 스마트폰을 만들 때 논리를 아주 무시하고 설계할 수 없듯이 결국 사람이 쓰는 것이라면 인체 자체나 감각적인 부분을 뒷받침해주는 논리가 필요하다는 부분에서 온전히 한쪽만으로는 설명 불가하다고 봅니다. B 유수지 가면 늘 진짜 좋은데 플랜만 봤다면 꽤 유치해보일 수도 있겠다는 얘기가 돌았었음. D 이걸 답하려면 좋은 공간의 정의부터 나와야 해요. A 좋은 공간이란? C 공간을 채운 요소의 퀄리티가 좋아서, 아님 단순히 공간의 분위기가 좋아서, 좋은 공간으로 인식되는 경우도 있는 듯해요. C 좋은 (외부) 공간의 경우 다시 오고 싶고, 다른 계절이나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경험하고 싶은가로 가늠하기도 합니다. E 좋은 공간은 아주 많은 것에 관여를 받죠. 적당한 사람, 좋은 날씨와 빛 그림자 등. 좋은 공간이라고 느끼게 하는 건 아주 지극히 개인적일 거라 생각이 듭니다만. 조경설계를 하는 사람으로서 좋은 공간은 바로! B 바로 바로! E 어떻게 생긴 그릇이냐인데. 도시냐 시골이냐 자연 옆이냐 건물 주변이냐에 따라 아주 다양한 의견이 나오겠지만, 큰 틀에서 봤을 때요. I 플랜이 좋은 것은, 공간이 평면상에서 이해하기 쉽다? 아니면 설계자의 독특한 개성이 있다? E 짜임새 있는 공간 구조. 즉 평면이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D 근데 좋은 공간이라는 게 엄청 불편하고 식재 하나 없어도 메모리얼처럼 메시지를 잘 전달하는 공간인 걸 인지하고, 그걸 잘하면 좋은 공간이 되기도 하잖아요? E 공간을 설계할 때 몇 명이 이용하느냐 누가 이용하느냐 어떤 문화적 주제가 필요하냐 등 다양한 조건에 부합해야 하는데, 그것을 3D 기반으로 설계하기는 어렵죠. 설계는 평면으로부터 시작됩니다. D 그래서 물리적 공간 요소랑 플랜으로 대응되는 공간 주제 전 달력은 필수불가분이죠. E 본질이 평면이기에 평면이 좋아야 모든 설계는 납득이 됩니다. F 좋은 플랜이라고 꼭 공간이 좋진 않을 수도 있을 것 같고, 반대로 좋은 공간은 플랜도 어느 정도 좋을 거라는 생각. D 본질이 평면이라는 것에 동의할 수 없습니다ㅋㅋㅋ A 저는 단순하게 물이 흐르는데 옆에 수초도 있고 나무도 있고 그늘도 있는데 오리도 있고 이런 곳이 너무 좋다 이러고 있었음 → 생태적으로 나름 건강한 곳. F 공간이 좋다는 건, 조성된 목적의 제 기능을 하는 것? 외부 공간에 집중해서 말하는 거라면 아무래도 외부라는 강점을 잘 살려서 계절, 날씨, 시간대에 따라 갈 때마다 변화하는 곳이 매력적인 거 같아요. G 좋은 (설계된) 공간이란 자연환경을 포함한 대상지의 특성이나 환경을 풍부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인 거 같아요. A 대상지의 역사 같은 것을 잘 살리면 좋은 설계라고 하는데, 그 이유가 뭘까요? 고유한 것은 귀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스토리를 좋아해서? B 재미있는 주제. D 저는 설계자가 준 기능보다 경험하는 사람이 무슨 이유가 되었건 직관적으로 뭘 하고 싶은지 알 수 있는 공간이 좋은 공간인 것 같아요. C 공간 조성의 목적에 따라 다를 것 같은데 단순함이 미덕인 공간이라면 목적을 달성했느냐에 따라 좋은 공간으로 인식될 수도 있는 것 같아요. A 어린이 놀이터에서는 특히 더 그럴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D 조경이 본래 땅을 제외하곤 이야기할 수 없는데, 역사를 들여다보면 그 전 사람들이 이 땅을 어떻게 썼는지 또는 바라봤는지에 대한 축적된 고민을 학습할 수 있어서 정도인 것 같은데요. B 역사 길 만들기, 남아 있지 않은 역사를 물리적으로 억지로 이어붙이는 작업 같아 공간 경험자에게는 그다지 감흥이 없겠다는 생각을 한 적이 많았어요. C 표현의 영역이라고 답한 것에 연장이긴 한데 부지의 히스토리는 표현의 모티브, 인스퍼레이션으로 기댈 수 있는 것 중 하나라고 봐요. A 옛것이 있을 때 뭔가 시간이 더 깊게 느껴져서 잠시 흥미로운 점은 있는 것 같아요. 너무 다 새것으로만 만들었을 때보다 뭔가 더 여러 가지를 상상하게 된달까? 재능: 타고난 자 vs. 노력파 ‘재능’ 차원은 설계/계획에 대한 교육 및 타고난 능력을 측정합니다. 타고난 감각이 있거나 어린 시절부터 설계적으로 보고 배울 것이 풍부한 환경에서 자란 경우 ‘타고난 자’, 후천적인 노력이 좀 더 중요했던 경우 ‘노력파’로 분류됩니다. A HLD는 내가 아는 다른 설계사와 어떤 점이 다른지? C 집요함? H intensive work hours B 술을 강권(?)하지 않는다는 것이 단순하지만 여러 측면을 보여주는 듯. A 오 요새 술 강권하는 회사도 있나요? I 분업화를 추구하지 않는 것, like… 실시/계획 팀 나누기 / CG 하는 사람은 CG 특화시키기 / 캐드의 신 만들기 이런 것. A 분업화 원해요? I 저는 다양성과 밸런스를 추구합니다. C 미 투. 이건 확실히 효율적이긴 하지만 장기적으로 팀원 개개인에게 좋은 방향은 아닌듯 합니다. 스페셜티 영역을 가진 제너럴리스트. I 조용하다? I 똑똑하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에 5점 주신 분은 얼마나 자주 듣는지 궁금해요. H 자기 자신한테 똑똑하다고 칭찬해주는 것도 포함!?? I 매일 아침 나는 똑똑하다 삼창하면 인정. H 나 오늘 참 잘했어~ 변화: 개혁파 vs. 보수파 ‘변화’ 차원은 설계 일반의 관습에 대한 태도를 측정합니다. 지금 당장 달라져야 한다에 동의할수록 ‘개혁파’, 지금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할수록 ‘보수파’로 분류됩니다. “BF 인증, 좀 더 공부해보고 싶은 영역입니다. 장애학을 공부하는 건축가와 이야기를 나눴었는데, 인증제 때문에 힘들다 하면서도, 별개로 장애 당사자의 경험을 공간 설계자로서 얼마나 공부하고 있는지에 대한 반성도 하더라고요.” “BF 인증 기준 만들 때 설계자들이 손 놓고 있었다는 건 맞는 말인 듯. 반성할 부분이 분명 있어요.” “지금의 프로젝트 입찰 방식은 실력 있는 조경가를 선정하는 데 문제가 많다. 어떻게 바꿔야하는지 정말 모르는 걸까?” * 설문과 익명 채팅 등의 형식은 웨이브(wavve) 오리지널 예능 프로그램 ‘사상검증구역: 더 커뮤니티’를 참고했다. 유 노 HLD HLD 회사 이름의 시작은 이호영, 이해인의 영문 이니셜에서 따왔다. SWA의 S가 히데오 사사키Hideo Sasaki이고 W가 피터 워커Peter Walker라는 사실을 SWA를 볼때마다 떠올리지 않는 것처럼, HLD가 창업자 두 명에 대한 것보다는 그냥 고유명사로 불리기를 바라면서 지은 이름이다. 하이 랜드스케이프 디자인(High) (또는 High-end) Landscape Design, 하버드 랜드스케이프 디자인(Harvard Landscape Design)이냐고 묻는 사람도 있고, 고밀도 지단백질(High Density Lipoprotein)을 뜻하는 HDL로 오기하는 경우도 더러 있지만 괜찮다. 미션 스테이트먼트(mission statement) 창립 몇 달 이내에 홈페이지에 소개 글이 필요해 부랴부랴 우리 회사의 생각을 적었던 것이 아래의 글이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영어를 직역한 글 같아 어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하지만 다행히 글솜씨 문제를 빼고는 8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HLD의 태도를 잘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HLD는 이호영과 이해인이 설립한 창의적 디자인 회사다. HLD의 디자인은 다양한 공간적 문제와 사회적 도전 과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핵심적 개입’을 제공한다. 핵심적 개입이란 물리적 측면 또는 운영 전략상 대상지의 잠재력을 발현할 연결고리를 찾아냄으로써 긍정적인 변화를 가능케 하는 설계적 장치를 의미한다. ‘이 공간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삶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우리의 설계는 시작된다. 우리는 피상적인 외관 개선이나 장식, 스타일 입히기를 지양한다. HLD의 핵심적 개입은 전통적인 조경설계의 범위를 넘어, 다양한 분야의 분석을 활용한다. 조경가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애정, 그리고 대상지의 맥락에 대한 존중을 통해 촉각적 표현부터 지역적 비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케일의 아이디어를 구현한다. HLD는 모든 스케일의 프로젝트에서 환경적,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근본적 접근을 추구한다.” 슬로건: advocacy & innovation by design 면접을 볼 때, ‘크리티컬 인터벤션(critical intervention)’에 크게 공감했다는 지원자를 많이 만났다. 하지만 실제로는 2017~2018년 즈음 로고를 새로 디자인하며 만든 ‘디자인을 통한 주창과 혁신(advocacy & innovation by design)’이라는 슬로건이 좀 더 명백하게 HLD의 목표와 개성을 드러낸다고 생각한다. 이 슬로건에 대해 이야기한 지원자가 아무도 없었다는 점은 조금 의외다. (advocacy)는 주창이라고 번역한다. 특정 사회적 목표나 변화를 추구하기 위해 어떤 아이디어나 정책을 적극적으로 밀어붙이고 추진하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쓴 말이라서, 주장이나 옹호보다 더 적극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혁신(innovation)도 변화나 발전, 개선보다 더 새로운 방식을 통해 더 큰 파급 효과를 주기 위해 고른 단어다. 업태: 조경설계, 학술 연구 + 사업자등록 상 업태는 조경설계와 학술 연구이긴 하지만, 2019년 인스타그램 계정을 열고 ‘creative design practices of nearly all kinds거의 모든 종류의 창의적 디자인 작업’라는 설명을 붙이면서, 단순히 명함에 플래닝(planning)이 들어가는 것 이상으로 우리의 역할을 협의의 조경 분야에 가두어 놓지 않겠다는 점을 더 분명하게 드러냈다. 특장점 HLD의 홍보 브로셔에는 네 가지를 HLD의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1) 질문 재정의하기(reframing the question). 단순히 주어진 공간을 좋게 디자인하는 것을 넘어 주어진 질문을 재정의하고 사회적 가치를 더 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한다. 2) 디테일에 신경을 쓴 독특하고 새로운 디자인(uniquely new design with attention to details).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평범한 디자인이 아니라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추구하며 이를 뒷받침할 디테일에 애쓴다. 3) 세계 최고 수준의 퀄리티를 위한 최첨단 프로세스(cutting-edge process for world class quality). 세계적 수준의 결과물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협력, 신기술 도입을 통해 최선을 다한다. 4) 사고의 도구로서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as a thinking tool). 커뮤니케이션을 사고의 도구로 활용해 좋은 디자인 결정을 돕기 위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HLD 문화 HLD의 지향점이 무엇이냐 하는 측면에서는 분명 두 대표의 생각이 진하게 묻어나는 것이 사실이지만, HLD의 개성을 구성하는 것은 역시 다양한 구성원과 이들이 만들어온 문화다. 글 이해인 대표 HLD는 어떤 점이 다른가 디자이너로부터 HLD는 신입 디자이너 또는 인턴이 프로젝트 초기 단계부터 단순히 지시를 받고 주어진 업무를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고 사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능동적 자세로 프로젝트에 임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전략 도출에서 설계안 작성까지의 과정에서 초기에 수행한 조사 분석과 이를 통해 도출한 생각을 계속 활용한다. 이러한 바텀 업bottom up 방식을 통해 디자이너의 다양한 관점과 지식을 활용하고 개인이 좀 더 주인의식을 가지고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한다. 이는 설계 능력을 한층 성장시키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HLD에 입사하면 받는 직책이 디자이너 인 이유다. 공정 경쟁 가끔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리더가 모든 설계안을 결정짓지 않고 다양한 생각을 끌어내기 위해 내부 디자인 공모를 진행한다. 모두가 하나의 프로젝트에 쓰일지 안 쓰일지 모르는 무언가에 몰두하는 것은 회사로서는 큰 투자다. 보통 짧게는 두어 시간, 길게는 반나절 정도 시간을 주고 전 직원이 글, 3D 모델, 모형, 스케치 등 자신만의 표현 방식으로 뭐라도 만든다. 발표 시간은 달랑 1분, 질의 응답 시간도 1분만 주어진다. 투표로 당선작을 선정하면 정말 그 안을 기반으로 설계안을 발전시키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상품을 준다. 이기면 좋고, 안 이겨도 나쁘지 않다. 모형 만들기 HLD 설계가 단숨에 그려지는 몇 개의 선으로 결정되는 일은 드물다. 단숨에 많은 것을 확정짓지 않고 다지고 또 다진다. 평면 또는 3D 모델(라이노) 상에서 발견할 수 없는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1대100, 1대 50, 1대1 스케일의 모형을 만들어 함께 검토하고 문제점을 찾아 개선해 나간다. 효율적으로만 일하려고 한다면 맞지 않는 방식이겠지만, 실시설계 진행 중에도 필요한 검증은 한다. 시간과의 싸움으로 피로할 수 있으나, 최선이자 최고의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한 과정 중에 하나임이 분명하다. 공감대 형성 어쩌면 이러한 설계 과정과 결론 도출은 발주처를 설득하기 위해서라기보다 HLD 구성원들이 함께 공감하고 그 공감대를 기반으로 설계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바탕을 만드는 일인지도 모른다. 다시 말해 구성원들의 다양한 생각과 가치관이 합을 이루어 주창하고 혁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이 HLD를 특별하게 만드는 철학 아닐까. 글 김주환 소장 집요함의 형태 내가 생각하는 HLD의 디자인 철학은 집요함이다. 어떤 공간에 대해 가장 효과적이고 적합한 설계를 관철시키기 위해 철저히 준비하고, 끊임없이 설득하는 과정을 보며, 좋은 디자인에 대한 집요함이 HLD를 여기까지 이끌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한 리조트 프로젝트의 보고를 불과 며칠 앞두고 아무래도 발표 자료만으로는 부족할 것 같다며 소장님이 모형 제작을 부탁했다. 뷰를 보여주는 조감도와 다이어그램만으로는 클라이언트가 지형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료만 잘 마무리하기에도 빠듯한 시간에 인력도 부족한데 이게 현명한 일일까 의구심이 든 게 사실이지만, 결국 모형은 미팅에서 큰 힘을 발휘했다. 모형을 만든다는 것은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한다. 지형 설계와 동선 연결, 공간감 등이 이미지를 통한 거짓이 아니라는 걸 알 수도 있고, 디자이너가 스스로 주장하는 바에 얼마나 확신을 갖고 있는지를 증명해 보이기도 한다. HLD는 뷰, 다이어그램, 모형, 스케치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가장 이상적이고 적합한 설계를 이해시키고 관철하려 노력하는 집단이다. 고된 것 같더라도 좋은 설계와 좋은 공간을 실현하기 위해 집요하게 일하는 사람들이 모인 곳이 바로 HLD다. 만약 노력하는 자신을 향해 주변이 던진 ‘굳이 그렇게까지 해야 돼?’ 라는 말에 좌절해 본 사람이라면 이곳으로 와 합류하길. 글 김윤하 팀장 평화를 빕니다 새로운 프로젝트는 대부분 무계획 답사와 킥오프 미팅으로 빠르게 전개된다. 회의가 시작되면 각자 답사를 통해 느낀 점을 이야기하는데, 어떤 관점으로 프로젝트에 다가가야 의미 있는 설계가 나올 것인지에 대해 ‘아무 말 토론’이 펼쳐진다. 토론에서는 섬세한 대상지의 역사와 그곳에서만 볼 수 있는 꽃과 풀과 새들에 대한 이야기도 있고, 대상지와 인근의 산업이나 경제적 특장점에 대한 논의도 있으며, 갑자기 툭 튀어나온 것 같지만 나름 통찰력 있는 연관 주제에 대한 ‘외침’도 있고, 언제 공부한 건지 체계적인 공간 해부를 통해 이미 도출해버린 로드맵도 있다. 회의는 종종 산으로 간다. 다가오는 인구 절벽과 AI와 에너지 위기와 이상 고온 시대 속 조경의 의미를 지나 국내 조경 저변에 대한 냉소적인 평가와 함께 지속가능한 따릉이 출근에 대한 찬사를 거친 다음에야 한 단락 마무리 짓기 일쑤다. 물론 결론은커녕 아무런 답도 얻지 못한 채 쉼표도 없어 읽기조차 어지러운 회의록만 남기고 이런 과정을 반복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아무 말 토론의 결과물이 생산적일 거라고 보장할 수 없는 상황에도, HLD는 시간이 허락하는 한 이 과정을 겪어낸다. 좋은 설계에 욕심이 많기에 그렇다. 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맥락을 모르고 답을 내릴 수 없다. 예쁜 공간만 만드는 게 아니라 다가오는 도시의 변화를 수용하는 공간에 대한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우리 사회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수반한 지속가능하고 생태적인 시스템으로 변화를 이끄는 메시지를 전달하길 바란다. 클라이언트의 요구 사항을 넘어서서, 공간의 역사, 사회, 맥락과 자생 수종 분석 등 지금 당장 꼭 필요해 보이지 않는 주제에 대한 연구와 토론과 같은 ‘군불’을 늘 지피는 것이 HLD의 설계에 필요한 이유다. 그러니 HLD는 새로운 프로젝트가 생기면 어김없이 즐겁게 새로운 군불을 땐다. 사실 이 과정에서 남들이 이걸 쓸모 있다 없다, 또는 효율적이다 아니다라 평하는 것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그저 조경에 대한 좁은 인식이 바뀌어서 우리가 하는 가치 있는 일이 조금 더 유용하게 쓰일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HLD에서 일하는 것은 마냥 평온하지만은 않다. 평온함과는 거리가 멀어도, 치매 예방에는 확실히 도움이 될 것 같다. 글 이정빈 실장 HLD는 이호영과 이해인이 설립한 창의적 디자인 회사로, 다양한 스케일의 조경설계 및 계획, 학술 연구와 도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밀레니얼의 도시공원 이야기] 송파의 두 공원
에피소드 1. 보조 바퀴 떼던 날 무료하게 하루를 보내다 채점이라도 해야겠다 싶어 시험지를 옆구리에 끼고 동네 카페에 앉았다. 사방팔방에서 정신을 두들겨 깨우는 진한 커피를 마시다 문득 생각이 난다. 창문 밖으로 지나가는 따릉이가 보여서일까. 내 첫 ‘두발자전거’의 기억이다. 아직은 보조 바퀴에 의지해 동네를 오가던 시절, 어느 햇빛 좋은 일요일 오후. 내 자전거에서 보조 바퀴를 떼어내고 본연의 모습인 ‘삼천리 (두발) 자전거’를 타게 만들겠다는 의지의 아버지와 함께 자전거를 끌고 ‘올림픽 프라자’로 향했다. 이상하게도 그 당시 올림픽공원은 멀다고 느껴졌었다. 아마 필자를 비롯한 동네 꼬마와 청소년에게 이곳 올림픽 프라자가 사실상의 어린이 체육공원 역할을 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희한하게도 이 동네 상점가의 프라자조차도 거대한 광장, 오픈스페이스였다고 기억된다. 어릴 때라 모든 것이 크게 느껴졌다고 하기에는 팔다리의 길이적 변화가 크지 않으니 그저 성장에 따라 시야가 넓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자. 프라자 한복판, 당시 막 서울에 들어왔던 (그리고 얼마 후 문을 닫은) 파파이스 앞에서 굳은 얼굴로 자전거에 올라탔다. “아빠, 손 놓으면 안 돼요.” “어, 절대 안 놓을게.” “아빠, 진짜 손 놓지 마요.” “안 놓는다니까.” “진짜 놓으면 안 돼요!” “걱정하지 말래도!” 이 글을 읽는 대부분의 독자가 눈치챘겠지만, 우리 아버지는 이미 양손을 놓고 뒷짐을 진 채로 바퀴를 굴려 멀어져가는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 크게 프라자를 한 바퀴 돌고 나서야 앞에서 허허 웃고 있는 아버지를 발견했던 그때 느낀 배신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그 길로 바로 횡단보도를 건너며 함께 올림픽공원으로 향했다. 튜토리얼 끝. 이제 실전만이 남았다. 기세가 있을 때 완전히 익숙해져야 한다는 게 아버지의 지론이었기에, 무서움이 남아 있는 채로 침을 꿀꺽 삼키고 그 뒤를 따랐다. 차마 무섭다는 걸 인정하고 싶지 않았던 초등학생 시절이었기에(각주 1) 걱정을 속으로 삼키며 올림픽공원 평화의 문 앞에 도착했다. 너무 힘을 꽉 주어 핏줄이 선 손으로 핸들을 부여잡고 크게 바퀴를 굴렸다. 우리도 공원이 있다? 올림픽공원 올림픽공원 이야기에는 필수적으로 88 서울올림픽에 관한 이야기가 동반된다. 1981년 독일 바덴바덴(Baden-Baden)에서 밀레니얼 직전, 소위 X세대를 비롯한 윗세대 한국인들에게 중요했던 순간. 제84차 IOC 총회에서 서울이 일본 나고야를 제치고 1988년 여름 올림픽대회 개최지로 선정됐던, 옛날 뉴스 영상 짤에서나 본 그 장면이다. 1981년 발표를 시작으로 몇 년에 걸쳐 서울시의 도시 조직과 녹지 계획이 급변한다. 발표 직후 ‘올림픽새마을 7개년 종합계획’이 발표됐는데,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새마을운동의 도시미화 버전이다. 대회가 코앞에 도달한 1985년에는 새마을운동중앙본부 서울시지부 주관으로 ‘범시민 손님맞이 및 도시공원화 새마을운동촉진대회’가 열리기도 했다. 이때 서울시는 친절함, 질서정연함을 시민들에게 요구하며 ‘아름답고 깨끗하게 가꿔진 서울의 참모습’을 외국에 보여주자는 내용을 역설했다.(각주 2) 아마 이 시기에 학교를 다니거나 전문 직군에 종사한 분이라면 직간접적으로 이 올림픽 열기에 동원됐을 것이라 짐작해 본다. 전반적으로 도시미화, 도시공원화, 건강도시 등의 슬로건이 혼합적으로 활용된 시기였음이 드러난다. 자연스럽게 겹쳐 떠오르는 시기가 있다. 바로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던 문턱에서 영미권을 강타했던 ‘도시미화’ 이론이다. 윤리적으로 올바른 도시가 아름다운 도시의 모습에서 비롯된다는, 우리가 교과서에서 많이 접해본 내용이다. 1982년 7월 올림픽공원 조성계획이, 이어서 9월에는 한강종합개발 시행계획이 발표됐다. 이듬해에 올림픽공원 조성에 착공하고 국립경기장 단지의 계획에 대한 현상공모와 설계 용역이 진행됐다.3 저수로 정비나 올림픽대로 건설과 같은 인프라 건설은 물론, 온갖 크고 작은 공사가 우후죽순 진행되던 바로 그 시대다.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쯤에는 거의 모든 준비가 완성을 향해 달려가고 있었다. 하지만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It ain’t over till it’s over)라고 했던가.4 1986년 조성이 끝나 완공된 올림픽공원에서 관리 운영 방안을 고심하던 조경인에게 청천벽력 같은 일이 일어나고 마는데……. *환경과조경434호(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각주 정리 1. 글의 전달성을 위한 거짓말이다. 사실 국민학생이었다. 2. “새마을운동 촉진대회”, 「매일경제」 1985년 4월 19일. www. mk.co.kr/news/economy/683095. 신명진은 뉴욕대학교에서 미술사를 공부한 뒤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학과와 협동과정 조경학전공에서 석사와 박사를 마친 문어발 도시 연구자다. 현재 예술, 경험, 진정성 등 손에 잡히지 않는 도시의 차원에 관심을 두고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의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도시경관 매거진 『ULC』의 편집진이기도 하며, 종종 갤러리와 미술관을 오가며 온갖 세상만사에 관심을 두고있다. @jin.everywhere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여름의 싱그러움과 예술적 정취를 느낄 수 있는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가 지난 5월 16일 뚝섬한강공원에서 개최됐다. 이번 정원박람회는 5월 16일부터 26일까지 학술대회, 산업전, 문화 행사 등이 열리는 본행사와 5월 27일부터 10월 8일까지 상설 전시로 진행된다. 2015년부터 열린 서울정원박람회는 올해 9회를 맞았다. 역대 박람회 중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는 가장 큰 규모이자 최장 기간의 박람회다. 서울시와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조직위원회가 주최하고, 환경과조경이 주관한 올해 정원박람회의 주제는 ‘서울, 그린 바이브Seoul, Green Vibe(서울에서의 정원의 삶)’, 부제는 ‘컬러풀 한강Colorful Hangang(색색가지 한강)’이다. 한강을 배경으로 강과 정원이 어우러진 여가 공간을 제공하고 정원으로 다채로워질 한강 경관을 강조하며, 정원이 가지는 힘과 역할에 주목했다. 뚝섬한강공원을 다채롭게 만든 정원 뚝섬한강공원에 다양한 정원 전시가 펼쳐졌다. 초청정원(1개소), 작가정원(10개소), 학생동행정원(10개소), 시민동행정원(15개소), 기업동행정원(17개소), 기관참여정원(4개소), 글로벌정원과 시민 참여로 조성한 정원(19개소) 등 76개의 정원이 뚝섬한강공원 곳곳에 조성됐다. 초청정원 ‘앉는 정원’은 지난해 서울시 조경대상을 수상한 김영민 교수(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와 김영찬 소장(바이런)이 조성했다(34쪽). 작가정원 국제공모는 ‘정원이 가진 회복력(resilience with garden)(작가정원 A)’과 ‘정원과의 동행(garden for all)(작가정원 B)’의 두 부문으로 나눠 진행됐다. 작가정원 A는 ‘섹션 가든(Section Garden)’이, 작가정원 B는 ‘기억과의 동행’이 금상작으로 선정됐다. ‘회복의 시간’이 작가정원 A은상을, ‘바이오로지컬 셀프 오거나이징 가든(Biological Self-Organizing Garden)’과 ‘겸재선생님 한강공원에서 뵈어요’가 작가정원 B 은상을 수상했다. 작가정원 A 동상에는 ‘더 버터플라이 이펙트(The Butterfly Effect)’가, 작가정원 B 동상에는 ‘호미 정원’, ‘정원의 삶: 토룡은 큰 물에도 스러지지 않는다’, ‘뚝둑, 걸어보길’, ‘심심해지다 I 명상하다 I 고마워하다(Be Bored I Meditate I Appreciate)’가 선정됐다(36~81쪽 참고). 학생동행정원은 학생들의 창의적 아이디어가 돋보였다. 공모에는 국내외 조경, 원예, 정원, 건축, 도시계획, 산업 디자인 등 관련 학생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42팀 중 1차 심사를 통과한 10팀이 정원을 조성했다. 현장 심사 결과 금상에는 하늘(상명대학교)의 ‘영원한 순간들(Etermal Moments)’이 선정됐다. 노을 지는 한강의 찰나의 순간을 정원에 담은 이 작품은 노을의 색과 부드러운 분위기를 섬백리향, 톱풀, 하설초, 그라스류 등의 식물을 통해 표현했다. 시간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가벽에 반사되는 노을빛이 달라지는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그린보배의 ‘계절이 꽃피우는 마음’과 네잎클로버의 ‘평화 가든(A Plece Garden)’이 은상을, 시즈닝의 ‘기억의 색이 물들어 철이 들 때’, 연화의 ‘함께, 뚝섬’, 옥윤의 ‘타버린 시간: 변화에도 웃을 수 있길’, 이삭의 ‘스물 네 조각: 불완전한 너’, 조경은의 ‘스타 플러워 인 유(Star Flowers in You)’, 사람과 자연의 ‘언제나 나, 너, 하늘을 봐요’, 그러태의 ‘나의 옛날 나루터 이야기’가 동상을 수상했다. 서울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시민동행정원 공모에는 46팀이 참가했다. 1차 심사를 거쳐 15팀이 정원을 선보였다. 어반그림의 ‘감각을 품다, 사계매력정원’이 금상을 수상했다. 금상작은 멸종 위기에 처한 벌의 이야기를 정원으로 표현했다. 벌과 더불어 곤충, 새 등 다양한 생명체가 정원에서 식물과 함께 공존하는 모습을 담았다. 꽃 벼리다의 ‘내 마음속의 매력정원’, 꽃피우는 한강의 ‘도랑이 있는 논시밭 풍경’이 은상을 수상했다. 행복한 가드너의 ‘삼삼한 매력정원’, 행복한 정원사의 ‘바람길로 소요하는 매력정원’, 놀자방의 ‘보물찾기’, 가든 앤 가드너스의 ‘정원의 시간은 섬세하다’, 맘스터치의 ‘아이와, 함께, 바라는 정원’, 오인오색의 ‘잃어버린 감각을 되살리는 매력정원’, 나 그리고 우리의 ‘싱그러운 힐링 정원’, MZ니의 ‘윤스르르 매력정원’이 동상을 수상했다. 자치구 동행가든은 각 자치구의 도시 매력을 부각할 수 있는 장소에 조성되어 일상 가까이에서 정원과 정원 문화를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25개소가 조성됐고, 강동구, 광진구, 금천구, 노원구, 도봉구, 동대문구, 영등포구, 성동구, 성북구, 용산구, 은평구, 종로구가 우수상을 수상했다. *환경과조경434호(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세상에서 가장 긴 미술관
잠수교가 서울 최초의 차 없는 보행 전용 다리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잠수교를 차량 중심의 이동 공간에서 보행 중심 시민 여가 공간으로 전환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검토해왔다. 2023년 3월부터 잠수교 사업을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한강 르네상스 2.0)’ 선도사업으로 지정해 추진 중이다. 서울시는 잠수교 전면 보행화를 위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설계안을 모집하고자 2023년 7월 7일 ‘잠수교 전면 보행화 기획 디자인 공모’를 진행해 다섯 개의 당선작을 선정했다. 이때 선정된 다섯 팀을 대상으로 2024년 2월 29일, ‘문화의 다리, 잠수교 (디자인 설계 및 콘텐츠 기획) 설계공모’를 공고했다. 지명초청을 받은 다섯 팀 중 아치 미스트(Arch Mist) 팀―왕 닝주(Wang Ningzhu, 아치 미스트 대표)+박철호(씨피에이구조기술사사무소)+김동욱(마티엠지티종합건축사사무소)―의 ‘세상에서 가장 긴 미술관(The Longest Gallery)’이 당선작으로 선정됐다. 당선작은 잠수교를 평소에는 미술관으로 활용하고 상황에 따라 패션쇼 런웨이, 야간 야외 영화관, 결혼식, 축제 등이 펼쳐질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했다. 반포대교 아래와 잠수교 상부에 800m 길이의 핑크색 공중 보행 다리를 제안했는데, 이 위를 거닐며 한강의 풍경과 잠수교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문화·전시 프로그램을 입체적으로 관람할 수 있다. *환경과조경434호(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그린 아일랜즈
5월 9일부터 12일까지 영국 우스터셔 말번의 스리 카운티 쇼 그라운드(Three Counties Showground)에서 영국왕립원예협회의 말번 봄 페스티벌(Malvern Spring Festival)이 열렸다. 1986년에 시작한 말번 봄 페스티벌은 친환경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영감을 주고, 회복탄력적 가드닝 정보를 제공하며, 정원 분야 및 커뮤니티의 새로운 시도를 기념해왔다. 올해 37회를 맞은 말번 봄 페스티벌은 ‘변화를 위한 정원 가꾸기(gardening for change)’를 주제로 개최되어, 정원 분야의 발전을 기념하고 정원이 식물, 사람, 행복한 삶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다뤘다. 쇼가든, 정원 식물 및 용품 마켓, 정원 컨설팅, 강좌, 워크숍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특히 관엽식물을 집중 조명하고 주제 구역과 몰입형 특별 정원을 통해 미래 정원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 쇼가든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디자이너가 창의적 정원을 선보였다. 심사를 통해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실버길트메달, 베스트쇼가든, 베스트시공상, RHS 피플스 초이스를 수여하고 있는데, 윤선미·루원쥐안(Lu Wenjuan, 록디자인 대표 및 직원)의 ‘그린 아일랜즈(Green Islands)’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환경과조경434호(2024년 6월호)수록본 일부
[기웃거리는 편집자] 추억 속 올림픽공원
가정의 달, 5월이다. “오늘은 어린이날 우리들 세상”이라서 눈치 보지 않고 하고 싶은 것 마음껏 할 수 있는 어린이날, “낳으시고 기르시는 어머님 은혜”를 보답하는 어버이날, “참되거라 바르거라 가르쳐 주신”(각주 1) 스승에게 감사함을 전하는 스승의 날, 부처의 탄생을 기념하는 부처님 오신 날. 각종 기념의 날이 주마다 있다. 어렸을 땐 공휴일이 많고 수업 말고 야외 활동을 많이 해서 좋은 달이었다. 하지만 이젠 챙겨할 날이 많아졌다(통장이 텅 비는 텅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기념일들이 왜 5월에 이렇게 몰려 있는 걸까. 다양한 가설을 세우며 나름 합리적인 이유를 날씨에서 찾았다. 봄에서 여름으로 향하는 5월, 옷차림도 가벼워지니 야외 활동하기 좋은 날씨의 연속이다. 가족, 친구, 지인들과 밖에서 재미난 추억을 많이 쌓으라고 조상들이 이맘때로 날짜를 잡아보자고 한 것 같다(필자의 뇌피셜(?)이니 믿거나 말거나). 날씨가 좋은 탓에 이번 달은 밖에서 보낸 날이 많았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진행을 위해 뚝섬한강공원에 자주 갔다. 한강공원에 있으면서 사람들을 유심히 보게 됐다. 한강공원하면 떠올리는 돗자리를 깔고 피크닉을 즐기는 사람은 물론 보드와 자전거를 타는 사람, 강아지와 산책하는 사람, 아이와 함께 배드민턴, 캐치볼 등 운동을 즐기는 사람, 런닝 크루 등. 이곳에서의 행위를 나열하는 것만으로 이 지면을 가득 채울 수 있을 것 같다. 이 사람들을 보니 나는 공원에 가면 무얼 하지, 첫 공원은 어디였지라는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었다. 이번호 ‘밀레니얼의 도시공원 이야기’를 편집하며 이 꼬리의 끝에 도달했다. 보조 바퀴를 떼어낸 두발자전거를 연습하기 위해 신명진 박사가 향했던 올림픽공원. 올림픽공원이란 단어를 보자마자 입가에 웃음이 번졌다. 올림픽공원 곳곳에 많은 추억이 묻어 있기 때문이다. 올림픽공원은 서울에 온 뒤 처음 방문한 공원이다. 어린이날이면 올림픽공원 88마당과 평화의 광장을 매년 찾았다. 넓은 잔디광장의 88마당은 당시 어린이날이 아니면 개장하지 않았다(현재는 6월부터 10월까지 개방한다). 주차를 위해 아빠는 차에 남고 엄마, 언니와 함께 잔디광장의 좋은 자리를 선점하기 위해 88마당으로 달려갔다. 그늘 밑은 빠르게 솔드 아웃이었지만, 그날은 어딜 앉든 좋았다. 88마당에 가면 꼭 배드민턴을 쳤다.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모르겠지만 당연하다는 듯이 배드민턴 채를 잡고 둘씩 짝을 지어 승부욕을 불태웠다. 열심히 움직이고 난 뒤 향하는 곳은 평화의 광장. 당시 유행이었던 롤러스케이트를 타기 위해서였다. 평화의 광장은 대리석으로 포장되어 있고 평지 광장이라 롤러스케이트를 타기엔 안성맞춤이다. 평화의 문에서 시작해 올림픽 운동 조형물인 ‘서울의 만남’을 반환점 삼아 돌고 다시 평화의 문으로 향하면 10~15분가량의 코스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몇 바퀴 돌다 보면 경쟁자를 발견한다. (상대는 신경 쓰지 않았지만) 저 친구만 앞질러 보자며 혼자 고군분투하며 롤러스케이트 실력을 쌓아갔다. 신 박사는 올림픽 프라자를 어린이 체육공원으로 꼽았는데, 나에겐 88마당과 평화의 광장이 어린이 체육공원이었 다. 추억을 뒤적거리다 깊숙이 박혀 있던 기억 하나를 발견했다. 녹음이 짙은 나무를 배경 삼아 졸업 사진을 찍던 기억이 스멀스멀 올라왔다. 졸업식 이후로 절대 꺼내 보지 않은 사진이라 더더욱 잊고 있어서 그런지 어디서 찍었는지 모르겠다. 어딘지 알고 싶어 종합안내도를 보는데도 찍은 장소의 형상만 생각나지 이름이 떠오르지 않는다. 어렴풋이 기억나는 건 어떤 구조물에 일렬로 앉아 조별 사진을 찍었던 장면이다. 아마도 문화올림픽을 위해 올림픽공원을 조각공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세운 조각(각주 2) 앞에서 찍지 않았을까 짐작해본다. 한강공원에서 떠올린 질문에 답을 찾는 여정이 추억 여행으로 변질됐지만, 돌이켜보니 올림픽공원을 참 알차게 이용했다. 하지만 요즘 공원을 일 외로는 잘 안 간다. 목적 없이 방문할 수 있는 곳이 공원이라지만, 이유 없이 어딘가를 가기 어려워해 발걸음을 옮기기 쉽지 않다. 동네 공원이 리모델링됐다고 하는데, 어떻게 바뀌었는지 살펴본다는 핑계 삼아 퇴근길에 들려보면서, 공원 한구석을 아지트로 활용해봐야겠다. 그럼 다시 공원에 가는 횟수가 늘어나지 않을까. **각주 정리 1.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 날을 기념하는 노래 가사를 인용했다. 2. 신명진 박사의 자전거 연습기와 올림픽공원을 조각공원으로 활용한 이야기는 110~117쪽에서 읽을 수 있다
[편집자가 만난 문장들] 아무 생각 없이 무심코 앉아 있는 것은 우리가 공원에서 할 수 있는 가장 필요한 행위다
공원의 크기를 실감하고 싶다면 걷기를 추천한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가 열린 뚝섬한강공원은 우리 집에서 가장 가까운 한강공원이다. 출근 지하철이 한강 위를 가로지를 때마다 내려다보이던 곳이라 그리 특별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래서 이 공원이 이렇게나 넓은 줄 몰랐다. 박람회를 운영하다 보면 공원 곳곳을 오가야 하는데, 저 끝으로 와달라는 무전이 오면 등줄기를 따라 땀이 흘렀다. 그러다 보니 하루 걸음 수가 3만 보를 넘기 일쑤. 직원 모두 앉을 곳만 보이면 자신도 모르게 걸음을 옮기게 됐다. 그래서인지 이번 박람회 현장에서 제일 탐났던 건 정원도, 식물도, 정원 작업 용품도 아닌 의자였다. 말랑말랑해서 손에 감기는 느낌이 좋고, 몸을 아무렇게나 늘어뜨려도 푹신하고, 가벼워 이리저리 움직이기 쉬우며, 눈이 시리게 쨍한 핑크빛 의자 말이다. 박람회장 메인 무대를 비롯해, 잔디밭, 산책로 주변 곳곳에 놓여 있던 의자의 정체는 서울시 ‘펀 디자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만든 ‘폼앤폼(Form&Form)’이었다. 산업 디자인 스튜디오 BKID가 만든 이 의자는 100% 재활용할 수 있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으로 만들어졌다. 의자의 본질적인 역할인 ‘앉는다’는 행위에 초점을 맞춰 디자인된 것이 특징이다. “사람들이 앉아 있는 자세를 하나의 형태(form)로서 그 자체를 제품 형태에 반영하고 했습니다. 특히 야외에 존재하는 다양한 의자들에 앉아 있는 모습은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중요한 레퍼런스가 되었습니다. 한편 ‘앉다’라는 단어는 그 행동 자체를 정의하기도 하지만, 그 이면에는 ‘휴식’이라는 개념도 지니고 있는데요. 따라서 휴식을 취하는 다양한 자세들을 관찰하고, 이를 하나의 제품 형태로 나타내고자 한 부분도 있습니다. 의자는 싯(Sit), 린 하이(lean High), 린 로우(Lean Low) 세 가지 높이로 구성했습니다.”(각주 1) 박람회장에 놓였던 의자는 린 하이였는데, 제품을 다 보고 나니 계단 형태의 공간에 놓고 쓰기 좋은 린 로우가 탐났다. 우연처럼 비슷한 글을 이번호 잡지 곳곳에서 볼 수 있다. 우선 김영민과 김영찬의 ‘앉는 정원’. 설계설명서에서 만난 문장이 머릿속을 빙빙 돌았다. “우리가 제시하고자 하는 정원은 쉼의 정원, 즉 앉는 정원이다. 뚝섬한강공원 잔디밭에서 본래 이루어지던 쉼의 행태와 동행하며, 그중 ‘앉기’에 집중해 쉼 속에서 다양한 앉음이 펼쳐지는 정원이다.” “공원의 쉼 중, 앉는 행위는 쉼의 가장 기본적인 행위(눕기, 앉기, 서기) 중 가장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된다. 눕기와 서기 사이에는 다양한 종류의 앉기 방식이 나타난다. 이는 눕기와 서기의 행위가 한정적이기도 하나, 외부 공간에서 앉아 있기에 할 수 있는 행위가 다양하기 때문이다.”(자세한 내용은 36쪽) 쉼의 본질은 무엇일까. 박승진은 쉬는 공간을 설계하기 위해, 공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행위가 무엇인지 고심하고 그것은 바로 앉는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한다. “걷는 것은 속도와 방향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목적이나 목표가 분명하다. 앉는다는 것은 걸음을 멈춰야만 할 수 있는 원초적 행동이다. 아무 생각 없이 무심코 앉아 있는 것은 우리가 공원에서 할 수 있는 가장 필요한 행위다.”(18쪽) 박람회를 찾아온 사람 대부분은 어깨에 큰 가방을 메거나 인근 피크닉 용품 대여점에서 빌린 카트에 짐을 가득히 싣고 나타났다. 돗자리파, 텐트파, 테이블 세트파 등 유형이 다양했지만, 그중 가장 자유로워 보인 건 폼앤폼을 들고 원하는 곳에 옮겨 앉은 사람들이었다. 해가 위치를 바꿔 그늘이 사라지거나 버스킹 공연이 시작되어도 살짝 이동하면 그만. 박승진이 선유도공원과 오목공원에서 목격했다는 장면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당시 선유도공원이 개장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의자가 고정되어 있지 않았는데, 시민들이 의자를 원하는 곳으로 이리저리 옮기며 자유롭게 사용하고 있었다. 이후 벤치가 모두 고정되었지만 잠시나마 시민들이 벤치를 자유롭게 활용하던 모습이 아직도 생생하다. 그때부터 공원에 의자를 왜 붙박이로 해놔야 하는지 의문을 가졌다.”(28쪽) 나도 이제 붙박이 벤치가 없는 공원을 상상한다. “공원은 극장이 아니므로 한쪽만 바라봐야 할 이유가 없다. 혼자도 오고 여럿이 함께 오기도 하기에, 따로 또 같이 앉을 수 있으면 좋다. 무리를 등지고 앉을 수도, 서로를 바라보고 앉을 수도 있어야 한다.”(18쪽) **각주 정리 1.이정훈, “산업 디자인 스튜디오가 만든 친환경 공공의자, 폼&폼”, 「디자인+」 2024년 5월 6일.
[PRODUCT] 똑똑하게 만드는 휴게 공간, ‘소프트 스마트 퍼걸러’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현대인의 일상은 더욱 바삐 흘러간다. 잠깐 틈이 나면 피로를 풀고자 나들이라도 나서고 싶지만 그마저도 쉽지 않다. 기후 변화로 인해 날씨를 좀처럼 예측할 수 없고, 날이 맑더라도 미세 먼지가 극성을 부리기 일쑤다.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와 요구에 맞춘 새로운 휴게 공간이 필요한 시점이다. 세인환경디자인이 출시한 ‘스마트 퍼걸러’는 스마트폰처럼 여러 시설을 탑재한 하나의 퍼걸러를 통해 똑똑한 방식으로 현대인들이 원하는 휴게 공간을 구현해낸다. 퍼걸러가 갖춘 공기 정화 시스템과 미세 먼지 측정기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쾌적한 공간을 만들어낸다. 특히 이용자 움직임을 감지해 자동으로 작동하게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전방 3m 내에 사람이 들어오면 외부인 감지 센서가 작동해 양흡입기, LED 살균기, 에어 커튼을 작동시킨다. 사람이 내부에 진입하면 또 다른 센서에 의해 에어컨, 모니터, 무선 충전기, 온열 벤치가 작동된다. 냉난방기는 설정 희망 온도를 기준으로 자동 조절된다. 공기질 측정기를 통해 내부 온도, 습도, 미세 먼지 정보가 입력되고, 디스플레이로 해당 데이터를 송출해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쉼터 이용을 마친 후 이용자가 밖으로 나가면 센서가 내부에 사람이 없는 것을 감지해 자동으로 기기 작동을 종료시킨다. 크고 작은 시스템과 휴게 공간의 결합이 우리의 삶을 한층 더 깨끗하고 편안하게 만들고, 안전을 보정받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TEL. 02-877-8811 WEB. www.seindesig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