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어나더 파크 수서역세권 공공주택지구 조경 설계공모 당선작, 신화컨설팅
    수서역세권 공공주택지구가 뉴노멀 시대에 대응하는 새로운 형태의 외부 공간을 선보일 예정이다. 지난 2020년 10월, LH는 ‘수서역세권 공공주택지구 조경 기본 및 실시설계 공모’를 개최했다. 대상지는 서울시 강남구 수성동 187번지 일대로, 면적이 386,479m2(조경 면적 87,570m2)에 달하는 공공주택지구다. 설계 목표는 세 가지였다. 첫째, 수서환승센터를 중심으로 대모산, 탄천 등 다양한 녹지를 연계해 녹지 네트워크의 중심지를 만든다. 둘째, 여가와 휴식을 위한 공원과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입체적인 보행 네트워크를 구축해 차별화된 랜드마크를 조성한다. 셋째, 정원 디자이너와 협업해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한 공공 정원을 계획함으로써 도시의 새로운 매력 요소를 발굴한다. 공모는 약 한 달간 진행되었고, 같은 해 12월에 열린 심사에서 신화컨설팅의 ‘어나더 파크(The Another Park)’가 당선작으로 선정됐다. 당선팀에게는 설계권이 주어진다.… (중략) *환경과조경394호(2021년 2월호)수록본 일부
  • 식물 이야기가 하고 싶어서 『식물 문답』 조현진 작가 인터뷰
    소년은 게임보다 길가에 핀 야생화를 보는 일이, 만화책보다 식물 도감을 읽는 것이 더 좋았다. 어렴풋한 유년 시절의 기억 속에도 언제나 식물이 있었다. 아버지와 함께 보던 다큐멘터리 속 꽃의 개화 장면, 성당 한 구석에 피어 있던 백합, 토끼에게 따다 주었던 토끼풀 같은 것들이었다. 누가 시키지 않아도 식물을 관찰하고 공부했고, 알면 알수록 매력적인 식물의 세계에 더욱 빠져들었다. 소년은 자라 식물과 관련된 이야기를 글과 그림으로 남기는 일러스트레이터가 되었다. “다른 사람과 식물 이야기를 하고 싶었어요.” 『식물 문답』의 저자 조현진이 책을 펴낸 계기를 설명했다. 식물에 대한 시시콜콜한 지식과 경험이 쌓일수록 그에 관해 누군가와 이야기하고 싶은 욕심도 쌓여갔다. 친구와 서로의 안부를 묻고 답하듯, 식물에 얽힌 소소한 궁금증과 이야깃거리를 독자에게 묻고 답하는 식의 책을 구상했다. 식물 애호가의 감성이 물씬 느껴지는 세밀화와 질문을 싣고, 뒷장에서 답과 부연 설명을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책을 한 장 한 장 넘기는 행위가 곧 대화처럼 느껴지기를 바랐다. … (중략) *환경과조경394호(2021년 2월호)수록본 일부
  • [기웃거리는 편집자] 마지막 수업
    언제부턴지 모르겠지만 바닥을 살피는 습관이 생겼다. 정확히는 바닥에 있는 무언가를 확인하는 행동이다. 사람, 자동차, 쓰레기, 풀… 길 위엔 많은 것이 있다. 개중 대체로 작고 움직이지 않는 것들을 본다. 실은 보고 싶지 않다. 그런데 보지 않으려 하니 오히려 눈이 더욱 밝아진다. 일단 눈에 띄고 나면 그게 뭐가 됐든 ‘한때 살아 있던 것’만은 아니기를 바란다. 그리하여 나는 길 위의 쓰레기를 보면 마음이 놓이는 사람이 되었다. 쓰레기는 떨어지기 전후의 이야기를 상상하지 않아도 되니까. 어떤 날은 날개, 어떤 날은 꼬리였다. 친구와 걷다 골목 한가운데 맨홀 위에 펼쳐진 날갯죽지와 깃털을 보았고, 4차선 간선도로를 달리는 차 안에서 줄무늬를 이루는 등허리와 꼬리의 털을 보았다. 운이 안 좋다느니 조심성이 없다느니 같은 말은 할 수 없었다. 길 위에 놓인 것들을 생각하다 전설처럼 이름만 전해져 오는 존재들이 떠올랐다. 이를테면 이빨을 드러내는 것들, 날카로운 발톱과 뿔 같은 게 달린 것들. 혹은 작고 징그러운 것들, 쉽게 부서지는 것들. 수백 년에 걸쳐 이룩한 도시의 규칙과 질서, 안전은 그들에게 어떤 의미였을까. ‘살기 좋은 곳’이라는 말은 오직 사람에게만 해당되는 거였다. 그래서 ‘인간이 아닌 생물체가 살만한 곳’을 만들라는 ‘생물체 설계공모’(26~47쪽)는 좀 충격이었다. 일차적으로 사람을 배제하고 어떤 공간을 만들라는 요구 자체가 낯설었다.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은 크게 새삼스러워졌다. “인간이 아닌 생물체를 의뢰인으로 선택하고 그의 요구 사항을 규정”하고 “의뢰인의 삶을 개선하는 장소, 구조, 사물, 체계 또는 과정을 설계”하라는 공모의 전제는 ‘생태 공간’, ‘서식지 조성’ 같은, 그간 수없이 배우고 들어온 말을 다르게 풀어쓴 것뿐이었다. 한 유튜브 영상을 보고도 비슷한 인상을 받았다. 20편의 짧은 영상으로 구성된 ‘마지막 수업’ 시리즈. 영상 속 과학자들은 사람들이 별로 궁금해하지 않는 이야기를 하는 데 열심이었다. 영장류학자 이윤정은 긴팔원숭이가 특히 좋아하는 나무 열매를 알려주었고, 극지 연구자 이원영은 젠투펭귄이 친구들과 소통할 때 내는 ‘꽉꽉’ 소리를 따라했다. 그들은 영상에 직접 출연하지 못하는 동물을 대변하는 듯했다. 해충으로 여겨지는 곤충이 왜 해충이 될 수밖에 없었는지, 인도네시아 숲 인근 전깃줄에 왜 원숭이들이 죽은 채 매달려 있는지, 바이러스와 잘 공존하고 있던 박쥐가 왜 전염병의 원흉으로 지목받게 됐는지 따위의 이야기였다. 생태학자 김산하는 야생동물의 정의를 두고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동물을 이야기할 때 너무 당연한 말처럼 생각하면서도 잊고 있는 게 뭐냐면, 동물은 서식지가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냥 있어야 하는 정도가 아니라 ‘동물=동물+서식지’의 개념이라는 거죠. … 서식지와 동물이 아예 하나의 개념으로 묶여 어떤 관계망을 갖지 않고서는 애초에 존재할 수 없는 동물, 그것이 야생동물입니다.” 뿐만 아니라 흔히 피라미드 구조의 먹이사슬 정도로 생각하는 생태계에는 포식, 피식, 공생, 편리공생, 별 상관없는 사이, 기생과 같은 온갖 관계가 무수히 중첩되어 있어서, 어떤 동물의 멸종은 하나의 소우주가 사라지는 것, 모나리자 같은 명화가 불타없어지는 것과 같다고 호소했다. 이윽고 덧붙인, 현존하는 포유류 중 4%만이 야생동물이라는 숫자가 무척 비현실적으로 다가왔다. 여기저기서 더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는 목소리가 들려온다. 더 아름답고 친환경적인 도시, ‘사람 중심’의 스마트 도시, 자율 주행의 상용화가 코앞이라는 소식이다. 잘 닦인 길을 보며 길 위의 모나리자들을 생각했다. 그들이 한때 머물렀을 바위틈, 땅속의 굴, 물풀이 무성한 늪, 우거진 덤불을 생각했다. 문득 누군가 바라고 기대하는 모든 것들이 그저 시시하게만 느껴졌다. ‘마지막 수업’은 2020년 생명다양성재단이 주최한 생태 교육 프로젝트다. 김산하, 이윤정, 이원영, 장이권, 최재천이 강사로 참여해 짧지만 굵직한 이야기를 전달한다. 강의 영상은 생명다양성재단 유튜브 채널에서 볼 수 있다.www.youtube.com/c/TheBiodiversityFoundation
  • [편집자가 만난 문장들] 귀여워할 때만 나를 사용해도 좋아
    닫히지 않던 마스크 상자가 헐거워졌다. 다시 상자를 채워야겠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지난해의 혼란이 떠올랐다. 금요일마다 약국 앞에 줄을 서고, 방 안에 틀어박혀 달고나 커피를 휘젓고, 벚꽃놀이는 ‘바닷마을 다이어리’(2015) 속 풍경으로 대신했다. 일상이 멈추자 지구가 변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들려왔다. 고요를 찾은 브라질 해변에 바다거북이 찾아오고 인도의 한 공장이 기계를 가동하지 않으니 호수에 홍학 떼가 날아들었다는, 그런 소식들 말이다. 그래서 적어도 인간들이 거리를 두고 지내는 동안 동식물들은 행복할 줄 알았다. 어떻게든 살겠다고 발버둥 치는 인간들이 또 무언가를 죽이고 있는 줄은 정말로 몰랐다. ‘생물체 설계공모’의 ‘달빛 파티’(28쪽)가 다룬 맹그로브투구게 이야기다. 맹그로브투구게(이하 투구게)는 아시아 연안에 서식한다. 먹을 순 있지만 살이 적어 인기가 없고, 4억5천만 년을 견디고 살아남은 만큼 생명력이 강하다. 이렇게 강인한 생물체의 멸종을 걱정하게 된 이유는 그들의 혈액이 세균에 매우 민감한 면역 체계를 갖추고 있어 백신의 오염 여부를 확인하는 데 쓰이기 때문이다. 매년 수많은 제약 회사가 수십만 마리의 투구게를 채혈하고 바다로 돌려보낸다. 일정량의 피만 얻고 본래 있던 곳으로 보내준다고 하니 얼핏 평화로워 보이지만, 바다로 돌아온 투구게 중 상당수는 더 살아가지 못하고 죽어버린다. 김정화 박사가 투구게는 “갑각류가 아닌 협각류”고 “삼엽충을 닮은 생물체”라고 설명했지만, 내 눈은 이미 푸르스름한 조명과 달빛을 받아 반짝이는 수면이 만든 신비로운 패널 이미지에 사로잡혀 있었다. 투구게라니, 꼭 투구 모양의 모자를 뒤집어 쓴 꽃게의 모습이 상상되지 않나. 신이 나 인터넷 검색창에 일곱 글자를 적어 넣었다가 펼쳐진 이미지에 소름이 돋은 팔뚝을 열심히 문질러야 했다. 투구게는 꼭 외계 생명체처럼 생겼다. 가오리처럼 납작한 몸체를 가졌는데, 게보다 거미나 전갈에 가까운 생물체임을 증명하듯이 온몸이 딱딱한 석회질 갑각으로 덮여 있다. 긴 꼬리가 달려 있고, 배에는 거미의 다리와 꼭 닮은 다리 여섯 쌍이 나 있다. 징그럽게 생겼다는 감상은 곧 섬뜩함으로 바뀌었다. 제약 회사 연구실의 벽에 투구게를 묶어 놓고 공장처럼 피를 뽑아내고 있는 사진 때문이었다. 투구게를 향했던 시선이 인간의 행위로 옮겨갔고 혐오감이 일었다. 투구게가 보편적으로 귀여워 보이는 외형이었다면 내 생각이 인간의 행동이 혐오스럽다로 빠르게 나아갈 수 있었을까. 아마 투구게를 불쌍히 여기는 데 더 오랜 시간을 쏟지 않았을까. 기리보이의 노래 한 구절이 떠올랐다. 그는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이에게 “귀여워할 때만 나를 사용해도 좋아”라며 애정을 갈구한다. 노래의 제목은 ‘호구’, 필요할 때 또 귀여워할 때만 날 찾으라는 게 사실 자신을 아무렇게나 내다 버리는 말이라는 걸 알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렵과 채집 생활을 할 시절 인간은 동물과 동등한 생물체로 살았다. 하지만 야생동물을 가축으로 삼고 반려동물로 들이는 과정에서, 동물을 보호하고 돌봐야 하는 대상으로 이미지화해왔다. 이제 사자와 호랑이, 곰 같은 맹수들에게도 귀엽다는 표현을 쏟아낸다. 여러 매체와 동물원이 그들을 귀여워하도록 만들었다. 귀여움은 어떤 대상에게 쉽게 마음을 붙이게 하지만, 대체로 내게 해를 끼치지 못하는 무해한 대상에게 느끼는 감정이기도 하다. 귀여워하는 어떤 생물의 삶에는 보통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동물원의 동물들이 어떤 일과를 보내는지 궁금하지 않은 것처럼, 내가 투구게를 파란 피가 흐르는 묘하고 가여운 동물로 바라 보려 했던 것처럼. 또 다른 당선작 ‘파묻힌 땅’(32쪽)을 다시 들여다보았다. 이 작품은 호랑이도롱뇽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대신, 전용 터널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그존재를 느끼게 한다. “도롱뇽의 울음소리, 움직임, 굴을 파는 행동은 소리, 바람, 바닥 패턴, 불빛 등으로 재현되고, 인간은 온몸을 동원해 이를 감지한다.” 생물체 공모가 요구한 것은 인간이 아닌 생물체가 살 수 있는 장소, 구조, 사물, 시스템, 프로세스였다. 그 밑바탕에 깔려 있어야 하는 것은 ‘파묻힌 땅’이 제시한 것처럼 생물체의 존재를 어떤 이미지도 씌우지 않고 인식하게 만드는 방법이 아닐까. 물리적 공간은 낡기 마련이지만, 어딘가에 뿌리를 내린 생각과 인식은 점점 자라날 테니까.
  • [PRODUCT] 주거 단지에 소통과 여유를 선사하는 ‘복층형 티하우스’ 안락한 휴게 공간과 전망대를 갖춘 티하우스
    주거 단지의 외부 공간은 쾌적한 출퇴근길과 귀갓길을 넘어 휴식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공원이자, 이웃 간 소통이 이루어지는 마을 광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세인환경디자인의 복층형 티하우스는 단지 외부 공간에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을 충족하도록 돕는다. 단순한 그늘 쉼터에서 벗어나 이용객의 다양한 활동을 수용하고, 계절에 관계없이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복층 구조의 티하우스는 안락한 모임 공간과 전망대를 갖추고 있어 작은 카페를 연상케 한다. 1층에는 폴딩 도어를 설치해 개폐가 유연한 환경을 조성했으며, 넓은 6인용 테이블이 있어 노트북 사용이나 소규모 모임에 적합하다. 야외 테이블이 있는 티하우스 왼편에는 온도를 낮추는 미스트가 설치되어 더운 여름철 바깥 활동을 장려한다. 2층에서는 탁 트인 전망을 즐기며 소파에 앉아 한층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가족 혹은 이웃과 삼삼오오 모여 소소한 티 타임을 갖고 가볍게 이야기를 나누는 소통의 플랫폼이 되길 바랐다. 내구성을 고려해 철골 프레임을 구조재로 사용했으며,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꾀하고자 외벽은 하드 우드, 고밀도 목재 패널, 석재로 마감했다. 향후 여러 유형의 조경 공간에 부합하도록 다양한 모델을 추가로 개발할 예정이다. TEL. 02-877-8811 WEB. www.seindesign.co.kr
    • / 2021년02월 / 394
<<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