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창덕궁?창경궁?종묘
    일제에 의해 절단된 창경궁과 종묘를 원래 모습대로 연결 복원하는 서울시 계획이 한때 기초설계까지 마친 상태에서, 공사중에 교통여건의 악화예상으로 백지화 된 적이 있는 걸 보면 또 육백년 역사도시의 복원 계획이 거대 교통도시의 현실적인 문제에 의해 그렇게 쉽게 복원할 수 없는 처지이고 보면, 훼손 다음에 오는 완전한 복원은 불가능하며 더욱기 달라진 오늘날의 도시환경에 의미없는 일이 될런지도 모른다. ※ 키워드 : 서울, 복원, 창덕궁, 창경궁, 종묘 ※ 페이지 : 124~125
    • / 1996년10월 / 102
  • 연못 ; 궁궐의 연못
    조선시대의 궁 중에서 정궁인 경복궁은 조선 건국 직후 창건(1394년) 되었으며, 경복궁 원유중에 연못으로는 경회루와 그 방지, 향원정과 향원지가 있다. 경회루 방지는 조선왕궁 원지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연못이다. 창덕궁은 조선의 이궁으로서 그 후원인 비원은 조선시대 초기부터 고종때까지 후원, 북원, 그리고 금원으로 불려졌다. 창덕궁에는 연못이 여러 곳 조성되어 있는데 부용지, 애련지, 반도지, 존덕정 전지, 몽답정 전지 등은 정자와 함께 있는 연못이고 청심정 앞의 빙옥지는 돌을 파서 일종의 석지를 만든 것이다. 이중 반도지만 곡지이고 나머지는 모두 방지이다. ※ 키워드 : 박경자, 전통조경구조물, 궁궐, 연못, 경복궁, 창덕궁 ※ 페이지 : 126~131
    • / 1996년10월 / 102
  • 환경사업의 시장성 조사 -국내 소형소각로를 중심으로-
    -소각로 사업배경 및 목적 소각로 사업은 비교적 신흥사업으로 아직 그 범위와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 소각로 산업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부터라고 볼 수 있으며 그 형성요인은 환경규제의 강화, 국제적인 환경규제의 움직임, 일반 국민들의 환경문제의 심각성 인식에 따른 소비자 운동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1980년대까지 매립에 의존하던 폐기물 정책이 매립지의 부족과 집단이기주의 때문에 매립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점차 소각의 비율을 높이고 각 지방 자치단체에서 소각로를 설치하면서 각 기업들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쾌적한 생활환경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면서 환경설비의 지속적인 수요증가가 전망되는 성장유망사업이며 자국내의 독자기술의 확보시에는 기술까지도 수출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소각로 산업의 중요성은 국내외의 환경규제 강화추세로 환경설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제조업의 총설비투자액 대비 환경설비 투자비 비중이 매년 약 2배씩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원가부담을 가중시켜 제조업의 국제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제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도 양질의 환경설비를 원활히 공급하여 기업의 투자부담을 경감할 필요가 있다. ※ 키워드 : 환경사업, 소각로, 폐기물, 폐기물 관리법 ※ 페이지 : 62~67
    • / 1996년10월 / 102
  • 조경수의 보호관리 ; 생리적 피해
    수목의 생리적 피해 규명과 치료방법은 수목의 생리작용을 이해함으로써 생리적 피해원인과 치료방법을 규명할 수 있고 효과적인 처리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 그러므로 수목을 다루는 기술자들은 반드시 수목 생리현상을 이해하여야 한다. 수목생리란 수목의 생명현상을 나타내는 각종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살아있는 나무에서 갖가지의 현상 원인을 설명하고 수목이 자라는 기본 원리를 연구하는 기초 학문이다. 수목의 생리적 피해로 인하여 외형적으로 이상이 나타날 때 어떤 부분에서 생리기능의 지장이 오는 것인가를 추정하여야 한다. 비정상적인 생리기능현상을 인위적인 방법으로 정상적인 생리기능 상태로 조절함으로써 수목을 건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키워드 : 강전유, 조경수, 생리적 피해 ※ 페이지 : 132~139
    • / 1996년10월 / 102
<<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