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자연과 인간 잇기 ; 야생지 계획에 대한 검토
    생태계의 건강성을 판단하게 하는 몇 가지 지표에 대해 검토해보자. 도서 생물지리학의 개념에 따르면, 작은 섬보다는 큰 섬이 보다 많은 종을 지탱시켜 주며 대륙에서 먼 섬보다는 가까운 섬에서 더 많은 종이 출현한다. 육지 환경에도 똑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인간의 자연 환경 개발에 따른 1차적 결과는 분열이며 이러한 분열은 광활하고 연속적인 삼림 지역이나 여타의 자연 서식지를 고립된 섬으로 뒤바꿔 버린다고 경관생태학의 연구 결과는 제시하고 있다. 이 글에서 설명한 몇 가지 사례는 과거의 계획을 지배해왔던 “지도 위에 미리 정해진 선”보다는 토지의 생물적 물리적 패턴이 자연 보전지를 보호하는 보다 결정적이고 완벽한 기초가 되며 개발의 적지를 결정해 준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도시들과의 지역적 연결망은 손상되고 파괴된 자연 지역을 복원함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인이 된다. 비무장지대에는 특별히 한국 사회에만 국한된 극히 복잡한 정치적, 법적, 사회적, 관리적 이슈가 많이 놓여 있다. 생태적 계획의 본질은 각 지역과 각 장소 특유의 속성을 반영하는 해결책을 찾는데 있다. ※ 키워드 : Michael Hough, 해외석학, 야생지, 생태계 ※ 페이지 : 158~165
    • / 1996년10월 /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