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조경전문서적 부실, 이대로는 안된다 ; 13년전 대학교재 아직도 여전, 출판업계마저 외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다는 서점에서 볼 수 있는 조경전문 서적은 많아야 1백10여종. 물론 그동안 절판되거나 비영리 목적으로 출간된 책 등 다른 이유로 누락된 책은 차치하고라도 일반인들이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 대형서점에서 볼 수 있는 책들이 이 정도라는 사실은 26년의 역사를 가진 조경분야로선 부끄러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특히 기자가 서점에서 조경 관련서적을 뒤적이다 꺼낸「조경계획론」(문운당, 1986)은 양적인 빈곤을 넘어 우리 조경분야의 정체된 현실을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어 씁쓸하기 그지 없었다. ※ 키워드 : 조경서적 ※ 페이지 : 78 - 79
    • / 1999년06월 / 134
  • 수락산 당고개 지구 공원
    지하철 4호선 종착역인 당고개역, 서울의 맨 끝자락에 위치한 수락산 도시공원의 현장에 도달하기 까지 두어번의 전철을 갈아타야만 했다. 전철역사를 벗어나자 들어오는 주변의 환경은 참으로 무표정한 얼굴을 하고 있었으며, 주변의 오갈 데 없는 군상의 패배적 자세를 바라보고 있노라니 우리의 진부한 정치, 불균형의 경제, 문화의 상실이 스친다. 역사에서 도보로 2분여 거리에 있는 현장에는 쓰레기더미, 폐자재, 누군가 돈벌이를 하다 버리고 간 포장마차와 무성히 자란 잡초가 시야에 들어온다. 대상지를 한폭에 느끼기 위해 인접 초등학교 옥상에 어렵사리 접근하여 사진촬영을 하고 다시 현장내를 구석구석 돌아보았다. 대지의 조건은 양면성을 지니고 있었는데, 좋은 것은 수락산과 인접되어 있다는 점이고 실로 나쁜 것은 부지 전면을 가로지르는 전철고가와 불량한 접근체계였다. 부지내외의 자연, 인공적 요소는? 인문사회적 환경은? 주변 인프라(infra)는? 아카데믹한 체크리스트로……. 동행한 파트너와 현장스케치를 하였다. ※ 키워드 : 생태, 공원 ※ 페이지 : 42 - 47
    • / 1999년06월 / 134
  • 아파트조경의 국내외 설계동향
    90년대 중반에 들어와 주택의 미분양이 발생하면서 수요자의 욕구와 가치가 중시되고 그 동안 무관심했던 아파트 단지의 옥외공간 설계를 특성화하려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이러한 아파트 단지 옥외공간에 대한 설계특성화는 수요자 위주의 고객지향적 주택시장이 형성됨에 따라 새롭게 관심의 대상으로 부각된 것으로 설계분야에서의 특성화 노력은 사실 이전 부터 꾸준히 지속되어 왔다. 88년 서울올림픽을 전후로 도시의 미관향상을 위한 일련의 운동과 제도가 시행되면서 아파트 단지의 조경설계에서 소나무 동산의 조성이나 정자목 식재를 통한 전통마을의 어귀감 부여, 유실수 및 향토 초화류 식재에 의한 전원 분위기의 경관 조성 등 식재설계의 특성화 노력이 있었으며, 단지안내판을 비롯한 옥외시설물의 조형적 디자인 추구, 새로운 형식의 놀이시설 개발 등 단위시설물 또는 시설공간의 설계를 특성화하려는 노력이 있어 왔다. ※ 키워드 : 아파트, 주택, 주거지 ※ 페이지 : 120 - 127
    • / 1999년06월 / 134
  • 아파트조경의 변천
    아파트조경의 차별화는 테마 상징물 설치, 대규모 광장조성, 테마 공원 조성 등의 외부공간의 확대를 통한 단지 내 녹지공간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있으며, 다용도 생활공간 구성, 입체화된 주민공동시설 및 테마공원 등의 공용공간 설치가 증대되고 있다. 아파트조경의 차별화 설계방향으로 대한주택공사는 최근의 아파트 옥외공간은 이전의 단위시설물, 단위 공간적 개선을 탈피하여 열린 설계와 열린 공간, 건강을 위한 건강공원, 전통의 정취 및 전원형 단지 등, 단지전체의 옥외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주제형 옥외공간으로 설계되고 있다고 보고, 이들이 추구해야 하는 설계방향으로 자연적 이미지 구현, 수요자의 관심사인 건강활동 및 레저 중심의 설계주제, 대규모 공유공간의 딱딱함에서 벗어나 보다 친근감을 가질 수 있는 단독주택 풍의 이미지 부여, 참여공간의 확보에 설계의 초점을 맞추어 아파트 단지환경의 조경 차별화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 키워드 : 아파트, 주택, 주거지 ※ 페이지 : 116 - 119
    • / 1999년06월 / 134
  • 환경친화적인 미래의 아파트조경
    우리가 만들고 살아가는 아파트(Apartment House)는 한 가족을 위해 조성되는 거주단위(dwelling unit)가 하나 이상 모여 있는 건물, 즉 공동주택이다. 이는 자연발생적으로 만들어진 정주환경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계획된 공간을 한정(限定)하고, 한정된 토지안의 이용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순치(馴致)의 유토피아적인 욕구에 의해 20세기 전반 이후 꾸준하게 발전되어온 주거유형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의 아파트는 경제적 성장과 편리성, 사생활의 보장과 같은 서구적인 욕구를 희망하는 중산층의 욕구와, 산업화 과정에서 부족한 주택을 아파트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가장 발전된 모습을 상징한다고 간주했던 정부, 그리고 가장 손쉽게 기업을 대규모화시킬 수 있는 건설업체들의 발상이 부합하여 1962년 마포아파트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집단적 대량공급방식으로 발전하여 왔다. ※ 키워드 : 아파트, 주택, 주거지 ※ 페이지 : 136 - 142
    • / 1999년06월 / 134
  • 18세기 실경화와 조경
    창경궁(昌慶宮)이 창건된 것은 조선조 제9대 성종 때로 고려시대의 수강궁(壽康宮)이 있던 터에 새로이 궁궐을 세웠다. 그러나 창경궁은 임진왜란때 전소되어 광해군 때에 다시 재건되었고, 이후로도 여러 차례의 화재를 당하는 등 재건 및 수리가 끊이지 않았다. 창경궁의 궁터는 고려시대에 남경(南京)의 궁실에 지은 수강궁이 있던 곳으로 전하고 있는데 수강궁은 고려 공민왕 5년(1356)에 승(僧) 보우(普愚)의 진언에 따라 남경으로의 천도를 계획하여 다음해 2월에 신축한 궁이며, 그 위치가 창경궁이 세워진 자리라고 하는 것이다. ※ 키워드 : 이론, 설계언어, 해외 ※ 페이지 : 74 - 75
    • / 1999년06월 / 134
  • 영화의 거리 조성 계획안 공모 당선작
    서울시 성북구는 지난해 5월 우리나라 최초의 민족영화 ‘아리랑’의 촬영배경인 아리랑길에 기념가로와 테마공원을 조성, 영화의 거리로 특화하기 위해 현상설계공모전을 실시했다. 총 11개 업체가 응모한 결과 ‘아리랑 고개’의 역사성과 민족전통적인 정서 그리고 거리조성테마인 ‘영화’의 이미지 구현이라는 공모기본방향에 적절히 부합된 김현선디자인연구소의 안이 당선되었다. 이에 본지는 당선작을 소개한다. ※ 키워드 : 거리, 공모전, 수상작, 테마공원 ※ 페이지 : 52 - 55
    • / 1999년06월 / 134
  • 수만마리 철새들의 보금자리 ; LG 구본무 회장의 밤섬사랑
    여의도 개발 당시의 일이다. 새롭게 길이 닦이고 고층 건물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는데, 공사규모가 워낙 대규모이다보니 건축자재의 필수품인 자갈과 모래가 태부족 이었다. 여러 사람들이 갖가지 의견을 제안한 끝에 가장 손쉽고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안이 채택되었다. 그렇게 해서 밤섬(서강대교를 사이에 두고 있는 두개의 섬. 4만7천6백평)의 일부분에 폭탄이 매설되어 밤섬은 제 몸뚱이의 일부분을 여의도의 건물과 도로에 나누어 주어야 했다. 당시 밤섬은 생명을 다하는 듯 보였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밤섬은 질긴 생명력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남은 섬의 일부분에 각종 퇴적물을 받아들여 어느 정도 자신의 몸뚱이를 추스린 후, ‘왼갖 잡새’가 아닌 희귀한 철새들을 불러 모아서는 철새의 낙원이 된 것이다. ※ 키워드 : 자연, 새 ※ 페이지 : 80
    • / 1999년06월 / 134
  • 길동자연생태공원
    이 공원에서는 그 흔한 벤치 하나 발견하기가 어렵다. 그렇다고 두 다리 쭉펴고 앉아서 한가로움을 즐길 수 있는 잔디밭이 있는 것도 아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다른 휴게시설은 상상할 수도 없고, 공원 내에서 무작정 시간을 보낼 수도 없다. 그렇다면 ‘공원이 뭐 이래?’하고 불만을 터뜨리는 사람이 있을 법 한데, 짜증섞인 목소리는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다. 간간히 ‘아!’하는 탄성소리와 반짝이는 아이들의 눈망울이 있을 뿐이다. 그리고 그 소리와 움직임 사이로 언젠가 울려퍼질 새소리, 풀벌레 소리, 개구리울음 소리를 기다리는 습지와 초지와 삼림과 저수지가 있다. 공원에 벤치가 없는 이유는 바로 이곳이 얼마전부터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기 시작한 생태공원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 키워드 : 생태, 공원 ※ 페이지 : 36 - 41
    • / 1999년06월 / 134
  • 우리 시대의 설계의 언어 ; 기호학적 경관 분석 로제 브뤼네
    이번호부터 약 12회에 걸쳐 프랑스 현대 조경가들의 설계이론을 소개한다. 프랑스 조경의 이해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경관(paysage, landscape)은 두 가지 개념을 동시에 의미한다. 풍경, 풍경의 구조와 공간 구조의 원소(element). 지리학자가 관측하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경관은 풍경이라고 하기보다는 공간 구조들의 원소이다. 공간 구조의 원소들은 풍경에 부분적으로만 드러난다. 장소의 인식이나 공간 구조의 인식을 위해 이런 원소들로부터 시작하는 지리학적 인식은 필요하지만 그 자체로 충분하지는 않다. 경관 인식은 그 이상을 필요로 한다. 경관은 동시에 여러 층의 기호들로 해석될 수 있는데 학자들을 위한 기호- 경관에 가치를 부여하는 기호-들로 해석될 수도 있고, 이용자들을 위한 기호- 경관에 사회적 맥락을 부여하는 기호-들로 해석될 수도 있으며, 마지막으로 여러 체계들의 동인(動因)으로 해석될 수도 있는데 마지막의 경우는 기호학의 분야에서 취급되는 사항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제3단계의 경관, 시각화된 표면으로서의 경관은 기호학의 분야가 아니며 그 이전 제1단계, 제2단계의 분석과 여기에 작용하는 제4단계와 제5단계의 분석이 기호학의 분야이다. ※ 키워드 : 이론, 설계언어, 해외 ※ 페이지 : 56 - 59
    • / 1999년06월 / 134
1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