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조경전문서적 부실, 이대로는 안된다 ; 13년전 대학교재 아직도 여전, 출판업계마저 외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다는 서점에서 볼 수 있는 조경전문 서적은 많아야 1백10여종. 물론 그동안 절판되거나 비영리 목적으로 출간된 책 등 다른 이유로 누락된 책은 차치하고라도 일반인들이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 대형서점에서 볼 수 있는 책들이 이 정도라는 사실은 26년의 역사를 가진 조경분야로선 부끄러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특히 기자가 서점에서 조경 관련서적을 뒤적이다 꺼낸「조경계획론」(문운당, 1986)은 양적인 빈곤을 넘어 우리 조경분야의 정체된 현실을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어 씁쓸하기 그지 없었다. ※ 키워드 : 조경서적 ※ 페이지 : 78 - 79
    • / 1999년06월 / 134
  • 18세기 실경화와 조경
    창경궁(昌慶宮)이 창건된 것은 조선조 제9대 성종 때로 고려시대의 수강궁(壽康宮)이 있던 터에 새로이 궁궐을 세웠다. 그러나 창경궁은 임진왜란때 전소되어 광해군 때에 다시 재건되었고, 이후로도 여러 차례의 화재를 당하는 등 재건 및 수리가 끊이지 않았다. 창경궁의 궁터는 고려시대에 남경(南京)의 궁실에 지은 수강궁이 있던 곳으로 전하고 있는데 수강궁은 고려 공민왕 5년(1356)에 승(僧) 보우(普愚)의 진언에 따라 남경으로의 천도를 계획하여 다음해 2월에 신축한 궁이며, 그 위치가 창경궁이 세워진 자리라고 하는 것이다. ※ 키워드 : 이론, 설계언어, 해외 ※ 페이지 : 74 - 75
    • / 1999년06월 / 134
  • 우리 시대의 설계의 언어 ; 기호학적 경관 분석 로제 브뤼네
    이번호부터 약 12회에 걸쳐 프랑스 현대 조경가들의 설계이론을 소개한다. 프랑스 조경의 이해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경관(paysage, landscape)은 두 가지 개념을 동시에 의미한다. 풍경, 풍경의 구조와 공간 구조의 원소(element). 지리학자가 관측하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경관은 풍경이라고 하기보다는 공간 구조들의 원소이다. 공간 구조의 원소들은 풍경에 부분적으로만 드러난다. 장소의 인식이나 공간 구조의 인식을 위해 이런 원소들로부터 시작하는 지리학적 인식은 필요하지만 그 자체로 충분하지는 않다. 경관 인식은 그 이상을 필요로 한다. 경관은 동시에 여러 층의 기호들로 해석될 수 있는데 학자들을 위한 기호- 경관에 가치를 부여하는 기호-들로 해석될 수도 있고, 이용자들을 위한 기호- 경관에 사회적 맥락을 부여하는 기호-들로 해석될 수도 있으며, 마지막으로 여러 체계들의 동인(動因)으로 해석될 수도 있는데 마지막의 경우는 기호학의 분야에서 취급되는 사항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제3단계의 경관, 시각화된 표면으로서의 경관은 기호학의 분야가 아니며 그 이전 제1단계, 제2단계의 분석과 여기에 작용하는 제4단계와 제5단계의 분석이 기호학의 분야이다. ※ 키워드 : 이론, 설계언어, 해외 ※ 페이지 : 56 - 59
    • / 1999년06월 / 134
  • 이화원 ; 서태후의 하명을 드러내는 중국 황제의 여름 이궁
    북경(北京)의 ‘이화원’은 수렴첨정(垂簾聽政)으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천하의 여걸 서태후(西太后, 1835~1908)에 의해 호화롭게 꾸며졌던 중국황제의 대표적인 여름 이궁(離宮)이다. 역사상 정원문화의 최고 절정기를 구가했던 건륭(乾隆, 재위 1736~1795)황제에 의해 이궁으로서의 규모와 틀이 이미 갖춰졌던 이화원은 북쪽의 만수산(萬壽山)과 남쪽의 곤명호(昆明湖)로 이루어져 있는데, 높이 약 60m에 이르는 만수산이 약 70㏊ 그리고 곤명호가 약 220㏊의 면적을 보이고 있다. ※ 키워드 : 해외, 중국, 궁궐 ※ 페이지 : 64 - 69
    • / 1999년06월 / 134
  • 생태적 조경과 풍수 ; 전통조경에서 정자 담장 부속물을 어떻게 조성하나
    전통 정원 내에서 정자는 어떻게 조성되었는가? 터는 주로 연못이나 계류가인데, 이는 자연의 순리에 순응하고 나아가 자연과 조화를 먼저 생각한 풍수적 산물이었다. 풍수는 정자를 산봉우리로 보니, 주변의 자연 형상과 상생의 조화를 중요시했다. 방형의 못이나 호수 가라면 뾰족한 팔모 혹은 다각 지붕을 얹어 자연스럽게 목산(木山)이 되도록 배려하였다. 뒷산은 불꽃같은 화산(火山)이고, 정자는 목산, 못은 토산(土山)이니, 즉 목→화→토가 서로 상생의 생기를 북돋아 주도록 설계된 것이다. 그러나 강이나 계류 가에는 팔모 지붕이 아닌 마루가 편편한 팔작지붕을 얹어 토산의 형태를 취하였다. 왜냐하면 풍수적으로 강과 계류는 뾰족한 문필봉(文筆峰)으로 첨예한 기상을 가졌으니, 이를 토산인 후덕한 기운으로 다스려 선비에게 자중하는 마음을 가지게 함이다. 문필봉은 급제하여 벼슬이 높아짐을 뜻하고, 토산은 덕망 있고 부귀함을 뜻하니, 우리 조상은 정자와 주변 산천만을 이용해서도 왕후장상 부럽지 않은 영화를 누렸던 것이다. ※ 키워드 : 이론, 설계언어, 해외 ※ 페이지 : 70 - 73
    • / 1999년06월 / 134
  • 설계 익히기와 가르치기
    나는 우선 건축이든 조경이든 설계의 실마리와 주제는 대지(site) 자체의 장소적 성격에서 나와야 한다고 본다. 이는 대지가 가지고 있는 모든 것, 대지가 속해 있는 지역의 모든 것이 포함된다. 자연적인 것은 물론 사회문화적인 것, 역사, 생활양식, 대지정신(spirit of place), 기(氣) 등 모든 것이 고려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살고 싶은 바람직한 환경 창조에 내가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은 극히 미미하다. 나는 단지설계(site design)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지만 독자적인 작품도 없다. 어느 대가가‘설계는 60세부터’라고 하지만 능력도 달리고 벌써 현실에 안주하려는 조로(早老)현상이 오고 있지 않은가 하는 두려움도 있다. 그러나 나는 설계에 관심이 있는 교육자로서 후학들에게 많은 기대를 걸고 있다. ※ 키워드 : 조경가 ※ 페이지 : 30 - 35
    • / 1999년06월 /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