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우림 푸른마을 아파트 ; 전통적인 공간 연출이 돋보이는 공원같은 아파트
    ·위치 : 경기도 광주군 초월면 61-1번지·대지면적 : 29,277㎡(8,856평)·건축면적 : 5,542㎡(1,676평), 8개동 486세대·조경면적 : 9,414㎡(2,848평)·건축 : 우림건설(주)·조경설계 : 예뜰 조경설계사무소·조경시공 : 청원조경무엇보다 푸른마을 아파트가 차별성을 갖는 것은 단지 전체의 공원화와 전통적인 공간 연출이라고 할 수 있는데, 공원화는 단지 바깥쪽으로 연결되어 있는 카프 포장의 산책로와 단지 내부의 중앙광장, 미로화단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는 휴게공간에서 엿볼 수 있다. 카프 포장의 흙길은 마치 공원의 산책로를 걷는 듯한 느낌을 전해주며, 일일장터를 비롯한 주민들의 다양한 옥외활동을 수용하는 중앙광장에는 아이들이 더운 여름철 가볍게 물놀이를 할 수 있는 수공간까지 조성되어 있어 입주자들에게 공원에온 듯한 느낌을 전해주고 있다. 수공간의 가장자리에는 목재데크를 설치,아이들이 물놀이를 한 후 햇볕을 받아 따끈해진 목재데크에서 맨발로 젖은 몸을 말릴 수 있도록 했다. 107동과 108동사이의 장미터널과 한 동 건너 꼴로 마련되어 있는 간단한 운동시설 역시 단지의 공원화에 한몫 하고 있고, 단지 입구에수림대 개념으로 꾸며진 미로화단이나 곳곳에 밀식되어 있는 소나무와 대나무 역시 마찬가지. 더불어, 각종 나무와 지피류에는 수종과 개화시기 및 특성이 표기되어 있는 표찰을 달아,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관찰학습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전통적인 공간 연출은 토담과 초가지붕을 이고 있는 정자, 곳곳에 조성되어 있는 작은 포켓파크의 공간을 분할해 주는 돌담과 기와담장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특히 흙길을 걷다가 자연스레 만나게 되는 토담과 정자는 제법 시골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어, 주변의 전원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고 있다. 토담보다 더 자주 눈에 띄는 것은 돌담인데, 진입부부터 담 너머를 볼 수있는 나지막한 높이로 곳곳의 공간을 분할해 주고 있어, 폐쇄적인 느낌의 담이라기 보다는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장치물이자 작은 공간이 라도 위요감을 부여해주는 시설물로 여겨진다. 중앙광장에 세워진 기와가 얹혀진 돌담과 기와를 쌓아 꾸민 기와담 역시 같은 느낌. 전체 단지는 중앙공원을 중심으로 8개동을 완만한 타원형으로 배치, 햇볕이 잘 들고 주민들이 자연스럽게 모일 수 있도록 했다 ※ 키워드: 우림, 아파트, 전통적공간, 우림아파트 ※ 페이지 36 ~ 39
    • / 2000년09월 / 149
  • 루우르지방, 태양광 삼각지대를 가다 ; 독일 겔젠키르헨 과학단지, 몽세니 아카데미 -
    루우르지방, 세계지리를 배운 사람이라면 석탄산업, 철강산업 등 독일의 대표적인 중공업지대로 기억할 것이다. 하지만 루우르지방은 과거와 달라졌다.‘ 석탄에서 태양으로’를 모토로 내세우며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는 중공 업이 쇠퇴한 공백을 새로운 태양에너지 산업으로 채우고 있다. 우중충하고 더러운 이미지,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에 대한 무거운 짐을 벗고 루우르지방은 부드러운 기술을 내세워 밝고 맑은 미래를 홍보한다. 하노버에서 서쪽으로 아우토반을 달려 2시간 남짓 가면 아직도 다소 어두운 색조를 띠는 루우르지방의 공업도시 겔젠키르헨에 닿는다. 이 주변지역은‘태양광삼각지대’라고 불리운다. 이곳에는 유럽 최고를 꿈꾸는 태양광발전 연구기관, 세계 최대의 태양광전지생산공장, 세계 최대의 지붕형 태양광발전 설비를 갖춘 기념비적 건축물이 루우르지방의 미래를 밝게 해주고 있다. 루우르지방의 변신을 주도하는 힘은 겔젠키르헨 과학단지에서 나온다. 1995년 독일 건축공모에서 독일건축상을 수상한 이과학단지는 호수에 접한 300m의 유리회랑과 9개의 연구관이 연결된 구조인데 외관이 매우 아름답고 개방형유리회랑은 산책로로 인기가 높다. 해가 지면 두시간 가량 미국 네온예술가댄 플래빈(Dan Flavin)이 설치한 파란색, 녹색의 네온이 유리 벽면을 장식한다. 유리회랑의 3분의 2가량은 수변식물이 풍부한 호수와 접해 있어 호수에 비치는 야경도 볼 만하다. 이 과학단지는 경제력이 쇠퇴하고 환경오염이 심각했던 루우르지방의재도약을 상징한다. 과학단지 3층 한 편에 걸린 거대한 사진은 이 부지에 1984년까지 철강공장이 가동되었음을 말해준다. 우중충하고 둔탁한 공장 건물, 굴뚝에서 나오는 시커먼 매연등은 지금의 과학단지와 선명한 대조를 이룬다. 이 과학단지의 조성은 도 시 재개발 자체의 의미도 있지만 지역경제의 구조를 중공업에서 부드러운 기술 위주로 재편함을 상징하고 지역 사회에 새로운 희망과 전망을 보여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에 따라 과학단지는 끊임없이 새로운 사업의 창 출을 추구하여 상용화나 생산단계에 이르지 못한 신기술이나 신제품을 연구, 개발하는 업체와 주 연구기관이 입주해 있다. 과학단지는 루우르지방이 선택한 미래산업에 대한 과학적 활동과 조사, 개발의 근거지가 되고 있 으며 점차로 회의, 교육, 다양한 행사등의 기능을 키워나가고 있다. 과학단지의 지붕에는 1995년 설치 당시 세계적 규모였다고 하는 210kw의 태양광발전기가 연 150,000kwh 전력을 생산한다. 루우르지방보다 일 사량이 훨씬 좋은 우리나라라면 이 정도 용량의 태양광발전기에서 적어도 100가구 이상이 쓸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지붕의 태양광발전기는 공간을 낭비하지 않고 도심 지역에서 태양광단지의 조성이 가능함을 실증하였다. 거대한 유리회랑도 단지 장식용이 아니다. 이른바 자연형 태양열설비로 온실효과를 통해 태양에너지를 건물 난 방에 수동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여름에는유리벽을 올려 아래틈으로 호수의 찬공기를 유입하고 더운 공기는 위창으로 배출, 실내 공기의 과열을 막는다. 햇볕이 강할 때는 연구관의남쪽 창마다 외부형 차양막이 내려와 건물 내부가 더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단지에 입주해 있는 응용태양광연구소에서 태양광전지 효율 향상과 신소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키워드: 루우르지방, 태양광, 삼각지대, 독일,과학단지. ※ 페이지 128 ~ 133
    • / 2000년09월 / 149
  • 관악산의 화기를 누르는 해태어린이공원 ; 풍수적 의미 부여, 시민참여형 어린이공원 준공
    해태어린이공원은 작년말 서울시에서 노후되고 낡은 공원을 재정비하여 주변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푸르름이 가득한 어린이공원 재정비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되어 올 6월 준공되었으며 어린이뿐만 아니라 주변 경로당의 노인, 어린이와 동행한 부모 등 여러 계층이 활용할 수 있는 공원으로 개발하였다. 우선 노후된 시설물과 놀이기구, 공원의 주진입로인 동측 인접도로에서의 조망불량 등을 공원이용의 저해요소 로 판단한 후 세대간, 가족간의 대화와 휴식을 위한 시설을 도입했다. 또 마을 공동의 다목적 휴식공간의 기능도 수용하여 지역 전통성이 도입된 놀이공원의 모델이 되도록 조성하였다. 공원에는 상징성을 강조한 해태조형물과 가벽외에 놀이공간으로 부지중앙에 곡선형의 운동 및 놀이 시설을 두고 그 좌측에는 바람개비를 설치하여 흥미로운 볼거리도 제공하도록 계획되었다. 경사지에 위치하였으나 기존 공원부지의 평탄함을 활용하여 조성하였고 비교적 고지대라서 주변에 대한 전망을 확보할 수 있도록 수목과 시설물을 배치하였다. 조형물에 풍수적 의미를 부여한 것 뿐만 아니라 식재설계시 전통적으로 불의 기운을 누를 수 있는 수종으로 알려진 소나무, 백합나무, 감나무, 산수유, 살구나무, 백목련, 느티나무 등을 선택하여 수종의 변화감을 유도하고 이야기가 있는 장소를 연출하였다. 또한 놀이시설물은 어린이들이 연령대별로 다른 유희를 할 수 있도록 바람개비, 흔들말,종합놀이시설, 농구대 등을 설치하였고, 산책로는 목재의 질감을 살린재활용 침목을 이용하여 자연형으로 유도하였다. 포장구간은 황토, 고무매트, 점토벽돌, 지압용 자갈 등 작은 공간에 여러 가지 패턴의 포장방법을 사용하여 변화를 주고 포장 군데군데에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모양을 새겨놓았다. 특히 휴게공간에는 시민들의 의견이 반영된 팔각정자와 장기판, 지압보도가 설치되어 주민들에게 매우 인기가 높다. ※ 키워드: 관악산, 해태어린이공원 ※ 페이지 116 ~ 117
    • / 2000년09월 / 149
  • 생태골프장 ; 골프장 개발을 위한 환경적인 접근
    골프장의 계획과 디자인은 골프장 건설 프로젝트의 목표를 위해 활용, 실용, 거리, Par등의 조건을 깊이 연구해야 하고,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입지의 모든 정보를 분석하여 디자인해야만 한다. 환경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해결책은 계획과 디자인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은 성공적인 골프장 개발에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골프장의 건설과 관리상의 문제점은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풀 수 있다. 입지에 대한 정보를 재고하고 검토한 후에, 디자이너는 자기의 컨셉을 골프장 디자인에 넣어야 한다. 디자이너는 환경적인 문제와 디자인 사이에서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킬 것이며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단계에서 사례조사(case study)가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디자인 과정에서 가장 신중하게 검토해야할부분은 늪지대, 야생동물보호구역, 채소재배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민감한 자연지역은 때때로 확실하게 구분될 수 있는 다른 특징을 보여줄 수 있어 이러한 구역이 골프장에 속하면 자연 보존적인 골프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늪지대를 비롯한 민감한 자연구역을 없애야 하는 단계에 놓이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자연보전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민감한 자연구역은확연한 구분이 이루어져야 한다. 디자인 작업중 입지조건의 정보에 의해 디자이너는 현지답사를 하게 되는데, 가장 민감한 자연 구역은 늪지대라고 할 수 있다. 늪지대의 위치에 따라 특징과 질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보존적인 가치가 없는 늪지대에 대해 디자이너는 보존 유·무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만약 없앨 경우, 새로운 늪지대 조성이 야생동물의 서식지 제공은 물론 골프장의 일골프장내 환경보존 사례이다. 민감한 동물보호구역 디자인 Giant’s ridge golf course의 조성은 도립공원 한 복판에 짓는 골프장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골프장의 경우 가장 힘들었던 점은 야생동물(특히 희귀종)에 대한 동물 보호구역을훼손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첫 대 책은 많은(약30회) 현장 답사 후에 마지막 디자인을 한 것이다. 이러한 잦은 현장답사가 모든 사람이 만족하는 마지막 디자인을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로 가장 고심했던 것은 grading 문제점이었다. grading을 결정하기 전에 표면배수 처리를 했고 이것이 주변지역의 오염을 막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주변 계곡으로의 표면배수의 역류를 막기 위해서였다. 17번홀의 경우, 위치가 호숫가이다. 그래서 grading으로 호수로 바로 들어 가는 표면배수를 막았다. 민감한 자연환경의 보존 The Old Tabby Links 골프장의 초기 계획기간 중에, 골프코스 디자인 팀은 땅 개발자, 건설업자, 고고학자, 생물학자, 식물학자, 해변보존전문가, 조경, 토목 등과 함께 공동작업을 하였다. 이 공동작업에서 특히 주의할 것은 고고학적인 가치가 있고 해변가의 민감한 지역이며 야생동물 거주지가 위치해 있어 보존해야 하는 지역이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문제점은 회랑(corridor)지역이 골프장 부지를 가로 지르는 것이었고 두 번째 문제점은 고고학적인 가치가 있는 지역의 보존이었다. 그래서 마지막 디자인 단계에서 넓은 회랑지역을 보존하는 의미로 골프장의 특징을 바꾸었고 아주 중요한 고고학적인 가치가 있는 지역은 골 프장 중간에 보존하는 것으로 골프장의 특징을 바꾸었다. 그래서 아래의 3가지 방법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였다. 첫째, 잔디로 인한 녹지대는 고고학적인 가치가 있는 지역을 피하였다. 클럽하우스로 가기 위한 9번홀의 경우 두 고고학적인 가치가 있는 지역의 중간을 통과하게 하였고 고고학적인 가치가 있는 지역보존을 위해 기존의 건 물을 파괴하여 그린을 조성하였다. 둘째, 고고학적인 가치가 있는 지역의 발굴과 디자인으로 17번홀의 경우, 발굴한 후에 그린의 위치를 디자인했다. 셋째, 현장에서의 보존(고고학적인 지역)과 미래의 발굴을 생각한 디자인으로 18번홀의 경우 현장을 보존했고 16번홀의 경우 미래의 발굴을 위해 그린지역을 옮겼다. 또 다 른 문제는 늪지대에서 물이 빠져 나오는 경우인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늪지대 → buffer zone → 해변가’식으로 buffer zone을 살려두었고, 두 번째로 늪지대로부터 물 유출을 막기 위해, 억새풀이나 갈대같은 기존의 풀을 늪지대 주변으로 크게 조성하였다. 위의 두가지 방법으로 처리한 지역은 얼마동안 늪지대로부터 물 방출을 막을 수 있었고, 풀과 모래는 물을 여과하는 작용까지 하게 되었다. 또 다른 문제는 야생동물 보호구역의 보존과 건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디자이너는 자연스러운 “dune”을 건설하였다. 그래서 디자이너가 만든 dune은 기존의 풀 종류와 같은 것을 식재하여 새로운 동물 서식지를 제 공할 수 있고 또한 골퍼에게 자연적인 아름다운 해저드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럼으로해서 골프장부지의 1/4이상이 기존의 것과 같은종의 풀이 식재되었다. 골프장 부지속의 조그마한 섬(기존의 자연)들은 지속적인 자연 그대로의 상태로 남게 될 것이며 다음세대를 위해서라도, 골프장 을 디자인하고 건설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개발되어야 할 부분과 개발된부분과의 조화이며, 자연에 순응하여 기존의 자연과 인공의 자연이 함께 어우러져야 하는 것이다. ※ 키워드 : 골프장, 골프장개발, 환경, 골프장환경적접근 ※ 페이지 : 82 ~ 87
    • / 2000년09월 / 149
  • 쓰레기 공터가 꽃밭으로 ; 서울시 마포구 성산2동 주민, 월드컵 대비 ‘무궁화거리’조성
    쓰레기 냄새가 진동하던 땅을 주민들이 꽃밭으로 일구기 시작한 것은 지난1996년. 빈 공터에 주인없는 쓰레기가 하나둘 모여 냄새가 나고 아파트 미관을 해치게 되자 한천수(55) 통장은“우리가 사는 공간 인데도 주변 환경에 너무 무관심하다”며 이웃을 설득, 같은 생각을 가진 주민 10여명과 함께 주변 환경미화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그렇게 모인 주민들은 방치되어 있던 쓰레기를 말끔히 치우고 땅을 일궜지만 적은 인원으로 나무를 심고 꽃을 가꾸기에는 재정적으로 다소 부담이 있었다. 생각다 못한 주민들은 동사무소를 찾아가 취지를 말하고 도움을 청했다. 당시 최순범 동장(현 마포구청)은 그 의견을 흔쾌히 받아들였고 동사무소의 직원들과 함께 작업을 돕고 수목을 지원해 주며 주민들의 호응이 증가되도록 독려하였다. 그런 노력의 결과, 당시 조성된 텃밭에는 대추나무, 감나무, 모과나무 등을 심어 가을이면 과실수의 열매를 수확할 수 있게 되었다. ※ 키워드: 쓰레기. 마포구, 성산2동, 무궁과거리,꽃밭 ※ 페이지 113
    • / 2000년09월 / 149
  • 쓰레기더미에서 피어나는 생태계 ; 대구시, 쓰레기매립장에 대곡생태공원 조성
    대구시 달서구 대곡동에 위치한 쓰레기 매립장이 바로 그 대상지인데, 이곳은 10여년간의 사용(410여만톤 매립)으로 더 이상 쓰레기 매립이 곤란한 상태였다. 사실 쓰레기 매립장은 다른 지역과 달리 침출수 및 가스 유출, 지반침하 등의 문제가 상존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선결되어야 하는데,이의 해결을 위해 대구시에서는 우선 1996년에서 1997년에 걸쳐 50만톤 분량의 건설잔토를 활용하여 평균 5∼6m 높이로 매립한 후, 1, 2단계 공사구간에 대해 10여개의 가스공을 설치했고, 지반 침하를 대비해큰 바위를 넣어서 여러차례 흙다지기를 실시하는 한편 침출수를 하수처리장으로 흘려보내는 시스템을 갖추었다. 또한 애초에는 수공간을 많이 구상했었는데, 침출수 우려 때문에 대폭 줄이기도 했다. 더불어 비닐하우스를 비롯 대상지내에서 플라타너스, 수양버들, 페츄니아 등을 시험재배해 식물의 생육과정을 관찰, 침출수 및 가스의 유해 여부를 시험하기도 했다. 그 결과 큰 영향이 없다는 판단 하에,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 진하게 되었는데, 1, 2단계 공사에서는 화초원, 암석원, 약초원, 습지원,분재원, 야외교실 등을 조성했고, 3단계 공사에서는 약용식물원, 방향성식물원, 염료식물원, 대구특산식물원, 수석정원, 유실수원, 생태관찰원, 정형식정원 등을 꾸밀 계획이다. 특히, 대구에 약령시가 유명한 점을 반영해서, 약용식물원, 약초원, 약재전시관 등을 크게 부각시킬 예정이라고 한다. 생태공원에도 특색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인데, 대곡생태공원 측은 이외에도 공원 조성이 마무리된 후에 야생초 전시회,분재전시회 등을 월별로 개최할 계획도 세워놓고 있고, 국내에있는 모든 종류의 무궁화를 관찰할 수 있는 무궁화원 조성을 위해 다양한 무궁화종을 수집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민간인 전문가가 한달에 2번씩 각종 나무에 대한 상담을 해주는 나무병원도 개설, 현재 운영중에 있다. ※ 키워드: 쓰레기, 생태계, 대곡생태공원, 공원 대구 ※ 페이지 114
    • / 2000년09월 / 149
  • 생태골프장 ; 해외 생태골프장 사례
    The Sea Ranch Golf Links·위치 : 미국 캘리포니아주·설계 : Damian Pascuzzo·특징 : 이 골프장 조성시 가장 고심했던 부분은 훼손에 민감한 해안지역과 그 해안지역에 자생하는 초종과 나무, 이를 바탕으로 한 야생동물서식지 그리고 계류 등 그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유일한 자연환경의 훼손을 어떻게 최소화 하는가였다. “Not touch one square foot of land if it was not absolutelyrequired”이 말은 최대한의 환경보존, 환경보호를 고려한 디자인과 건설, 관리 등을 뜻하는데, 결론적으로 플레이가 행해지는 지역과 자주 행해지지 않는 지역의 구분을 통해 꼭 필요한 지역만 골프장 건설에 이용하 겠다는 관점을 의미한다.Twelve Bridge Golf Course·위치 : 미국 캘리포니아주·설계 : Dick and Rick Phelps·특징 : 디자이너가 골프장 루트플랜(Root Plan)을 결정하기 전에EIR(Environment Impact Report)를 통해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보존되어야 할 지역, 골프장건설로 불가피하게 잃어버린 서식지를 위한 인공서식지 건설지역, 골프장으로 인한 수질오염을 정화하기 위한 지역 등을 고려한 골프장이다. EIR에는 U.S Army Corps of Engineer, California Fish and Wildlife Division 등이 속해 있고,EIR 안에 Resource Analysis Protection 리포트가 제출되었다. 그래서 위의 모든 단체가 골프장의 레이아웃, 루트플랜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도움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Genoa Lake Golf Course·설계 : Peter Jacobson Harbottle·특징 : 분야별로 전문적인 팀이 구성되어 조성된 골프장으로, 생물학 팀은 이 지역의 야생조류 서식처를 보존하기 위하여 골프장과 야생동물이 공존할 수 있는 공간형성에 역점을 두었다. 이외에 지질학자는 토양분석을 하는 등,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교류가 이루어졌는데,심지어는 환경단체와 골프장 건설업체 사이에도 협력이 이루어졌다. 이런 협력의 결과, 골프장 공사기간 동안 보호하여야 할 곳을 휀스로구분하고, 자칫 공사과정에 훼손될지도 모를 야생동물 서식처를 별도로 만들기도 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야생동물 서식지의 수질보호를 위해서, Buffer 층을 형성하여 골프장 관리에 사용되는 약품의 정화 역할을 할 수 있는 Buffer zone을 형성하기도 했다. 이 Buffer zone은 관리지역과 비관리지역의 구분이 될 수 있는 하나의 경계선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관리지역과 비관리지역은 인공지역과 자연지역으로 다시 구분될 수 있는데, 비관리지역은 헤저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인공적인 지역과 공존하는 자연적인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Moreno Vally Ranch Golf Club·위치 : 미국 로스앤젤리스 존 F 케네디 애비뉴·개장 연도 : 1988년·설계 : Pete Dye·규모 : 27홀·특징 : 암석 및 잡초로 뒤덮인 황량한 구릉지 부근에 공동주택단지를 조성하면서, 부지 전체의 활성화 방안으로골프장을 조성했다. 지형의 악조건을 해저드와 타켓(target)으로 활용하면서 기존 지형을 최대한 보존하는데 성공한 경우로 독특한 경관 속에서 라운딩을 할 수 있어 오히려 골퍼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Settindown Creek golf Club·위치 : 미국 애틀란타 콕스 로드 우드스탁·개장 연도 : 1989년·설계 : Cupp Design lnc.·규모 : 18홀·특징 : 회원 3백명이 전액 투자한 회원전용 골프장으로, 최소한의 개발을 위한 최소한의 투자만 이루어졌다. 이에따라 관리비 역시 대폭 절감할 수 있었는데, 오히려 기존의 환경을 최대한 보존하는 적은 투자로 주변 자연환경을 만끽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티와 페어웨이, 그린만 인공적으로 조성해 자연을 느끼며 라운딩을 즐기는 정통적인 의미의 골프장에 가깝게 조성되었다 ※ 키워드 : 생태골프장, 해외골프장, 골프장 ※ 페이지 : 62 ~ 71
    • / 2000년09월 / 149
  • 아름다운 정원 ; 시흥시 J씨댁 주택정원 ; 나무들의 빼어난 수형이 일품
    정원의 동선은 크게 맷돌과 침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맷돌을 따라가다보면 거실에 이르게되고, 다시 거실 앞의 곁가지 동선을 따르면 목재로 꾸며진 테라스로 향하게 된다. 맷돌을 동선으로 활용한 것도 색다른 시도. 침목은 목재데크까지 이어져 있는데, 목재데크는 애초에는 간단한 바비큐 파티나 휴식을 목적으로 구상되었지만, 지금은 새들의 놀이터가 되어버렸다. 인근의 참새나 까치들이 언제부터인가 한 마리씩 정원에 모여들자 집주인이 모이를 주기 시작했는데, 새들 사이에도 입소문이 있는지 지금은 제법 많은 수의 새떼들이 정원에 날아들어 목재데크에 있는 모이를 먹으며 마치 놀이터처럼 정원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출입구에서 현관쪽으로 향하면, 석재계단 왼편에 밀식되어 있는 주목을 보게 되는데, 주목에 눈길을 주며 현관을 그냥 지나치면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 사이의 대나무가 반갑게 맞이한다. 대나무 너머로는 주인이 직접 심고 키운 각종 채소들이 한켠을 차지하고 있는 채소원을 구경할 수 있는데, 채소들이 제법 싱싱함을 느끼게 해준다. 크진않지만, 아담하고 깔끔한 정원 순례는 여기서 끝이 난다. 싱싱한 푸르름과 함께…. ※ 키워드: 시흥시. 주택, 주택정원, 시흥 ※ 페이지: 42 ~ 47
    • / 2000년09월 / 149
  • 생태골프장 ; 해외의 생태 골프장 관련제도
    미국의 골프장 환경관련 프로그램USGA(the 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는 미국 골프 협회의 약자로서 이 협회는 1984년 전국적인 규모로 조성되었으며 비영리단체이고 골프 경기에 대한 정책들을 협의한다.USGA는 잔디관리와 관련하여 가장 공신력 있는 Green Section을 가지고 있다. Green Section은 1920년에 골프를 위한 잔디밭의 조성과 유지를 위한 올바른 농학적인 정보에 대한 필요 때문에 만들어졌다. 30년간 Green Section의 일차적인 목표는 품종개량, 병해충 관리, 재배방법의 발전이었다.1953년 잔디에 관한 조언을 해주기 시작하고 현재의 활동들이 축적되어 골프를 위한 잔디관리에 있어서 최고의 권위를 가지게 되었다. 현재는 환경적으로 민감한 건설과 관리 작업에 대한 연구활동도 수행하고 있다.Audubon International 협회의 생태적자원관리 기준Audubon International은 미국 내 500곳 이상의 Audubon Society 중의 하나 이나, National Audubon Society에는 가입되어 있지 않다. Audubon International과 그프로그램들은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의 지속가능한 자원관리(sustainable resourcemanagement)를 증진시킨다. Audubon International 의 임무는 연구, 교육, 보호원조를 통해 생활과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ACSS의 환경보호 시스템ACSS(Audubon Cooperative SanctuarySystem)의 임무는 사람들에게 환경에 대한 책임을 교육하고, 실행하는데 동기를 부여하며, 야생동물과 서식지를 보호하며 천연자원을 보존하는 것이다. ACSS는 모든 학교, 일하는 곳, 여가를 즐기는 곳의 땅을 보호하고 서식지 강화에 힘을 쏟는다면, 국가적이면서 국제적인 야생서식지와 환경보호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는 믿음에서 만들어졌다. ACSS의 회원은 야생생물이 있는 땅을 관리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에너지, 수질보호, 재활용, 쓰레기 감소와 같은 환경 조사를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USGA와 Audubon골프장을 위한 생태적 프로그램골프 코스는 야생생물 서식지와 천연자원을 보호하고 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ACSS는 환경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정보를 제공하며, 그 노력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골프 코스를 위한 프로그램은 토지의 생태학적 경영과 천연자원의 보호를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USGA의 지원을받아 Audubon International이 만든 이 프로그램은 골프 코스 경계밖으로 그 영향이 미치며, 지역 사회에도 이롭다. ACSP는 골프 코스가 환경과 지역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공헌에 대해 널리 알린다 골프장과 학교의 연계 환경교육 프로그램 ACSP에는 학교를 위한 프로그램도 있다. 이 프로그램은 야생생물이 학교에서 살 수있게 하고 자원을 보호하며, 학생들에게 환경교육을 하고 Stewardship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고안된 실제적인 환경 프로그램이다.이 프로그램에는 골프코스 관리자와 GCSAA의 지부가 제공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 학교 운동장에 실내외 보호 프로젝트를 실행함으로써, 골프코스 관리자는 환경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만드는데, 학생, 시설, 지역사회를 돕고 있다.학교를 위한 ACSP생태프로그램과 골프장Audubon Cooperative Sanctuary Program for Schools는 학교를 야생생물에게 매력적으로 만들고, 자원을 보호하며, 환경교육과 학생들에게 사회적 의무를 다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실제적인 환경프로그램이다.학교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비용은 100달러이다. 이 요금은 프로그램 경영과 자료비용을 상쇄하도록 돕는다.프로그램의 한가지특징은 융통성이 있으며, 참가하는 각 학교의 고유한 요구에 맞게 고안되었다는 것이다. Rain Bird Golf Irrigation와 함께 프로그램의 국가적 후원자인 GCSAA는 자금을 지원하고, 프로그램을 알리고 참여토록 돕는다. 후원자로서 GCSAA의 목표는 성공을 돕고, 연합을 위해 일반인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만들며, 그린 관리자가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린 관리자와 총회가 학교의 참여를 촉진하더라도 프로그램은 참여를 원하는 모든 학교에 열려있다.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방법은 많다. 간단히 지역 학교의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것부터 실제로 지역 골프 코스에 필드 트립을 주최하는 것이다. 모든 초등학교, 중·고등학교(공·사립)는 Cooperative Sanctuary가 될 수 있다. ※ 키워드 : 해외. 생태골프장, 골프장, 해외골프장※ 페이지 : 72 ~ 75
    • / 2000년09월 / 149
  • 새의 눈으로 촬영한다 ; 국내 최초의 무선 공중촬영 전문업체 ‘버드아이’
    1998년부터 무선공중촬영을 시작한 버드아이는 그동안 서해대교, 청담대교, 월드컵 경기장 등 많은 건설현장을 연속촬영해왔고 동두천 수해 현장, 팔당 상수원의 쓰레기 광경, 오대산의 단풍 등 항공사진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이곳저곳을 다니며 경험을 축적해 왔다. 이들이 촬영한 사진은 주로 잡지나 신문 등에 보도사진으로 제공 되어 왔고 그외 레저시설, 교육시설, 관광지, 공사현장 등의 다양한 홍보사진에도 쓰이고 있다. 버드아이는 항공사진에 관한한 어디에 내놔도 부끄럽지 않은 작품을 만들겠다는 신념으로 결과물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몇 번이고 다시 촬영하는 것도 마다하지 않는다. 실제로 자체 판단에 의해 같은 장소를 4번에 걸쳐 재촬영한 사례도 있다. 또, 좋은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좋은 장비를 보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현재 소유한 헬기와 비행선 외에 새로운 소형헬기 개발을 위한 투자와 연구도 끊임없이 병행하고 있는 상태. 버드아이의 배우한 항공촬영팀장은“공중사진의 질에 관한한 책임질 수 있다”며 자신감을 나타냈는데“조경계에서도 기존의 촬영방 법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대상지가 넓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무선 공중촬영을 활용하면 보다 다양하고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관심을 가져 달라는 당부를 잊지 않았다. ※ 키워드: 새, 공중촬영, 버드아이, 무선공중촬영 ※ 페이지 115
    • / 2000년09월 / 149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