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서울의 남산자연공원 ; 서울남산의 도시경관적 위상
    서울의 도시미관은 서울 지형에 걸맞는 높이와 방향과 위치에서 도심을 조망했을 때 항상 귀소성(歸巢性)과 공간내의 적소성(適所性)을 느낄 것이다. 지형적 방향적 구도에서 남산은 남산 본연의 높이와 위치에서 도심을 조망했을때만 서울이 내포하고 있는 본연의 도시미관이 표출될 것이다. 남산의 규모는 해발 265m, 정상을 중심으로 동서가 2.7㎞, 남북이 2.1㎞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주봉이 남서쪽과 북서쪽으로 약간 치우쳐 경사가 급한 관계로 남서방향의 접근에 따른 남산의 인상적 형태가 서울의 첫인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남산을 통경축(通景線)으로 형성한 초점경관이며, 현재 도심 대형건물의 높낮이에 가려진 상태이므로 도시미관적 ‘스카이라인’을 보는이로 하여금 그 시각적 ‘뉘앙스’가 다르게 지각될 것이다. ※ 키워드 : 남산, 도시경관, 조망 ※ 페이지 : 54~59
    • / 1988년09월 / 25
  • 서울의 남산자연공원 ; 서울남산공원의 이용행태와 시설물 관리
    남산공원의 경우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과거의 형태와 많이 달라졌고 이용행태도 적극적인 생활패턴의 일부로 공원을 그 대상으로 삼고 있다. 타 도시공원도 비슷하겠지만 남산공원의 이용행태는 특히 시간대에 따라 명확한 행태 구분이 이뤄지고 있는것 같다. 관찰한 바에 의하면 오전의 주요 행태는 이른 아침 체력단련을 위해 조깅 행태와 간단한 운동 등 동적인 행위가 이뤄지고, 주변 도시민들에 의한 약수터 등반이 행해지고 있다. 오후 이용객의 대부분은 노인층이며 주로 벤치에 앉아 휴식 및 담소를 나누는 정적인 행위가 이뤄지며 더운 날씨에는 군데 군데 자리를 잡고 장기, 윷놀이, 바둑을 두며 여가를 즐기고 있다. ※ 키워드 : 남산공원의 가치, 현황, 이용행태, 시설물 관리 ※ 페이지 : 66~71
    • / 1988년09월 / 25
  • 눈향나무, 화백나무
    -눈향나무 땅에 붙어서 넓게 퍼져가는 독특한 성질을 지닌 수종으로 높은곳에 심어서 가지를 아래로 길게 드리우게 키울 수 있으며 폭포를 연상시킬 수 있는 수형으로도 만들 수 있다. 한라산, 지리산, 소백산, 설악산 등 전국의 표고 ,300m에 누워서 자라는 고산성 상록침엽관목으로 수고 60cm, 폭 5m 내외까지 자란다. -화백나무 화백이 고가의 조경수는 아니지만 관상수로 많이 식재되는 것은 원추형의 수형이 손질을 자주하지 않아도 오랫동안 자태를 흩트리지 않는 장점과 묘목을 쉽게 구할 수 있고 맹아력이 좋아 생울타리를 조성, 운치를 높일 수 있으며 과수원, 농장 등에서 방풍림으로도 효과가 높기 때문이다. ※ 키워드: 눈향나무, 화백나무 ※ 페이지 : p76~77
    • / 1988년09월 / 25
  • 서울의 남산자연공원 ; 서울남산의 역사적, 문화적 성격, 남산이야기
    남산은 종로지역의 서울에 합당한 남쪽산이 된 것이다. 무릇 산이란 높이와 위치와 미와 생산성이 훌륭해야 하는데 이런 조건에는 아무래도 큰 산이 합당하다고 한다. 그런면에서 남산은 작다면 작고 크다면 큰 산인데 아무래도 서울 주변에 워낙 큰 산이 있기에 작게 보이지 실제로 올라간다면 작다고 할 산이 아니다. 큰 산에 있는 큰 산은 빛을 보지 못하나 평지에 있는 낮은 산은 큰 산으로 대접을 받는다. 원래 서울의 진산이라면 배산임수 정신에 따라서 북악산이 진산이 될 것이나 남향집에 사는 서울 사람이 늘 바다보는 남산이 진산(眞山)처럼 된 것이며, 아예 진산이라고 대접을 받은 것이다. 뒤돌아 보아야 북악산이기에 인기면에서, 또 친구되는 면에서 남산이 더 중시되었던 것이다. ※ 키워드 : 남산, 남산의 역사, 남산의 문화 ※ 페이지 : 48~53
    • / 1988년09월 / 25
  • 하늘과 바다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1988년09월 / 25
  • 경기장 잔디의 조성과 관리
    잔디의 관리는 복합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환경조건의 조절을 통한 사용목적에 합당한 최적의 상태로 잔디를 유지시키는 기술로 정의되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경기장 건설 당시 Field의 지반축조 과정부터 전문기술로 조성되어야 하며, 그 후에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Management System을 통하여 항시 건전하고 아름다우며 경기 사용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 잔디가 자라는 경기장 지반은 표면균배, 토양의 물리화학적구조, 배수 및 관수 등의 요인에 의해서 그 질이 결정된다. 지반을 축조한 후에 파종(종자파종, 분사파종, Seed Belt 공법)이나 영양번식(Sodding, Vegetative Belt, Plugging Springging)의 기술 등을 이용하여 잔디를 조성한 후 양호한 상태의 잔디표면을 유지시켜야 한다. ※ 키워드 : 경기장 잔디 조성, 지반조성, 잔디파종, 잔디관리 ※ 페이지 : 78~83
    • / 1988년09월 / 25
  • 빌딩조경 ; 동양화학 사옥
    본 건물의 조경계획의 주안점은 특징적인 외부공간의 구성으로 장소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보행자를 위한 휴게공간을 조성하고 건물기능 및 공간특성에 맞는 수목의 식재로 도시속에 자연스런 분위기를 연출함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가로와 건물의 중간지대에는 Open Space를 두어 보도, 녹지, 건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시각적 연속성이 있는 녹지공간을 구성하며 전면의 휴게공간은 생울타리에 의해 주변과 차단되게 하고 보행공간과의 단차를 두어 보행자 휴식공간 분위기를 고조하도록 하였다. 건물 Sun Diagram 및 공간별 특성에 맞는 식재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보행로는 2열식재로 수목터널효과 및 녹지성을 높이고 계절감있는 가로환경 조성을 위해 pot을 사용 초·화훼류를 심어 장식하고 경계부식재는 지엽이 치밀한 관목 및 교목으로 처리했다. ※ 키워드 : 빌딩조경, 공공공지, 보행로 ※ 페이지 : 28~33
    • / 1988년09월 / 25
  • 아름다운 정원 ; 자연정취 물씬 풍기는 소박한 정원
    위치: 은평구 북가좌동 대지면적 : 200평 조경면적 : 120평 조경설계가의 뛰어난 감각으로 조성한 정원들이 가져다주는 정돈된 멋과 달리 무뢰(?)한의 소박한 손길로 정성껏 가꾸어진 이 정원은 나름의 멋을 창출하고 있다. 경사면을 따라 2단으로 처리하여 사고석을 쌓고 산에서 볼 수 있는 나무들을 심어 자연스러움을 조성한 점이나 싸리나무류들을 심은 것이 흥미롭다. 정원석이나 디딤돌 하나도 비싸보이지 않고 배식한 모습도 결코 세련되지 못하다. 그러나 야생의 초화류, 알리움, 한련화 등을 심어 색다른 미를 부여하고 지피류나 관목류도 선별하여 심고 담장에 덩굴을 올리고 입구에 장미를 심은 것 등에서 그 나름의 의도와 멋을 충분히 느낀다. ※ 키워드: 자연스러움, 소박한 멋, 한가로움 ※ 페이지 : 24~27
    • / 1988년09월 / 25
  • 지표경관
    Gordon Cullen은 “도시를 통합하고 연결시키는 강력한 매체의 하나가 바로 지표경관”이라고 했는데 이는 그 중요성을 단적으로 표현한 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지표경관은 환경의 여러 적극적 요소에 대한 배경의 역할을 함에 있어서 다른 시각대상 요소를 강조, 보완하기도 하며 방향감을 제공하기도 하며 경계를 구획하기도 한다. 우리에게 패턴은 선과 형태, 색채배열의 정형적인 반복에 의해 인지된다. 이러한 패턴은 어느 장소가 갖는 성격과 밀접한 연관을 갖으며 장소성을 강조 보완하며 지표경관이 갖는 여러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한 보완작용을 한다. ※ 키워드 : 지표경관, 고압블럭, 테라조타일, 포장패턴 ※ 페이지 : p120~127
    • / 1988년09월 / 25
  • 인간활동이 환경기후에 미치는 영향
    기후는 일정 불변한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나 단기적으로나 계속 변동을 하고 있다. 인간은 화석연료를 각종 사업활동에 이용함으로써 그 부산물인 여러 가지 가스와 분진을 대기중으로 방출한다. 인간이 대기중에 부가하는 기체 중 가장 염려되는 것은 화석연료의 소비증가에 따라서 날로 증가하고 있는 이산화탄소이다.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온실효과를 증대하여 기온을 상승시키므로 최근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도시기후는 인간의 활동이 기후를 변화시킨 대표적인 예이다. 도시가 형성되어 인구가 밀집되면 건물과 도로가 건설되는 등 지표면이 자연상태와 크게 달라져 공기의 흐름이 달라지고 그로 인해 헌열의(sensible heat)의 출입이 달라지며, 수분, 열, 복사환경 등이 달라진다. ※ 키워드 : 기후, 이산화탄소, 도시기후, 도시열섬, 온실효과 ※ 페이지 : p114~118
    • / 1988년09월 / 25
<<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