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제1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 대외적으로 빛나는 권위, 초대작가전도 열려 - (사)한국조경학회(회장 임승빈)와 (재)늘푸른(이사장 손연호)에서 주최하는 「늘푸른 환경조경설계 공모전」이 작년 4회를 끝으로 마감을 하고, 올해부터는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태어났다. 대회의 상금이나 규모면에서 여타의 공모전을 압도하며, 매우 빠른 시간안에 분야 최고의 대회로 자림매김을 한 「늘푸른 환경조경설계 공모전」은 다른 학생공모전들의 침체를 가져온다는 부정적인 의견도 일부 있으나, 조경설계분야의 위상을 높이고 조경인의 대외적 자존에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해왔음을 부정할 수 없다. 일년 내내 “늘푸른”에 출품할 작품을 고민하는 조경학과 학생들이 생기는 등 대학에 새로운 풍속도를 만들기도 했던 이 공모전이 공식적으로 “대한민국” 이라는 격상된 이름을 달게되었는데, 그에따라 무엇이 달라졌는지 지난 11월 15일 예술의 전당에서 열린 시상식과 전시회를 찾아 보았다. 달라진 위상, 참가대상도 대폭 확대 높아진 위상만큼 내용적인 고민도 많았을 것이다. 우선 가장 큰 변화라고 하면 참가대상의 확대다. 기존 늘푸른 환경조경설계 공모전에서는 관련 전공의 대학생들로 출품이 국한되어 있었으나, 제1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은 참가 대상을 전국민으로 확대하였다. 심사위원 구성에 있어서도 범 환경조경인사들로 구성함으로써 조경분야는 물론이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환경공모전으로 그 입지를 더욱 확고히 다져나간다는 포부다. 올해는 「회고와 전망(Retrospect and Prospect) : 우리 시대 조경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서」라는 큰 주제에 새로운 도시공간을 위한 창의적 공간의 재생, 지속가능한 미래 환경을 위한 본질적인 경관의 형성을 과제로 주었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개발의 가도 속에서 버려진 땅이 어떻게 그 가치를 되찾을 수 있는지, 소외된 공간의 기능과 용도와 그 모습을 다시금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 등 변화하는 도시생활과 문화를 담기 위해 도시공간에 필요한 새로운 형식의 틀에 대한 요구를 하였으며, 창의적 문화와 건강한 생태가 깃든 내일의 터전은 어떤 모습이며, 상생과 조화의 시대를 포옹하는 경관형성 등 아름다운 경관에 자연과 사회가 적절히 어울릴 수 있는 지혜로운 장치와 연출을 요구하였다. 학부생 50작품, 대학원생 36작품, 일반인 3작품 등 총 89개의 작품이 응모하여, 11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5차에 걸친 심사 결과, 대상에는 “Collaging Edges(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박경탁 외)”가 선정되었으며, 그 외 최우수상 3팀, 우수상 3팀, 특선 6팀, 입선에 다수작이 선정되었다. 일반인의 출품이 적은 것이 앞으로 극복할 과제로 제기 되었으나, 예년에 비해 30%가량 높아진 응모작 수는 이 대회에 대한 관심과 열의가 매우 높음을 말해주었다. 이날 시상식에는 James Hayter(IFLA 동부지역 회장)가 참석하여 IFLA 회장의 축사를 대독하였는데, 축사에서는 대한민국 조경의 눈부신 발전과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에 대한 기념메세지가 담겼다. 시상식이 끝난후에는 James Hayter의 “Gums and Roses : Celebrating the Local”라는 주제의 특별강연회도 열렸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조경설계 서안(주), 선유도공원으로 2004 ASLA Awards 수상
    - 한국 조경의 수준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 - 조경설계 서안의 Award of Merit 수상 ASLA는 전 세계의 조경 작품 및 연구 프로젝트 중에서 우수한 작품을 매년 선정, 학생부분(Student Awards), 전문가부문(Professional Awards), 사회봉사부문(Community Service Award) 등으로 나누어 시상하고 있다. 올해에는 5월 14일까지 작품을 접수 받았고, Professional Awards 부문은 작년보다 약 20% 증가한 550여개 작품이 design, analysis and planning, research, communications 등 4개 부분에 출품되었다. 조경설계 서안(주)(대표 정영선)에서 수상한 ASLA Professional Award는 Design Category의 Award of Merit로서, 올해의 경우 Design Category에서는 최고상인 Award of Excellence가 없었고, Award of Honor가 두 작품, Award of Merit는 15개 작품이 선정되었다. 올해는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의 Frederick R. Steiner 교수가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Barbara Faga(chair of the board of EDAW, Inc.), Richard L. Haag(principal of Richard Haag Associates, Inc.) 등 저명한 분야별 전문가 9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수상작들이 선정되었다. 심사결과는 지난 7월 13일에 발표되었고, Professional Awards 부문에서는 총 35개의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시상식은 미국 솔트레이크 시에서 열린 ASLA Annual Meeting 중 10월 30일 토요일에 Salt Lake Convention Center의 Ballroom에서 개최되었는데 과거와는 달리 수상작에 대한 슬라이드 쇼 등 다채로운 시상식 관련 행사가 있었다고 한다. 한편, 지난 2004년 9월호 Landscape Architecture(ASLA 발간)지에는 올해 Professional Awards 부문 수상작(35개 작품)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실렸는데, 선유도공원에 대해 아래와 같은 짧은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 새로운 공원은 한강을 새롭게 변화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조성되었다. 서울시가 발주한 선유도공원은 과거 수질정화공장의 기억을 담고 있는 한강의 섬이 가진 잠재력을 드러내기 위해 디자인되었다. 산업시설의 흔적에 의해 만들어진 독특한 형태의 공간과 땅을 강조하기 위해 조경가는 선유도의 역사 속의 기억을 되살리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프로젝트의 또 다른 목적은 미래를 위해 환경과 자연의 중요성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었다. “재조성된 땅의 아름다운 경관”, 그리고 “과거 산업단지의 흔적에 대한 멋진 활용”이 심사위원단의 평가다.” 시상식 분위기 조경설계 서안의 정영선 소장은 “자존심과 권위의식이 강한 ASLA에서, ASLA의 멤버도 아닌 동양 (설계사의) 작품에 상을 주는 경우가 흔치 않다는 점에서 보다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 설계업체로서는 처음으로 출품하여 수상한 것도 기분 좋은 일이었는데, 막상 시상식에 가서 보니 일본, 중국 등에서는 이미 많이 참여를 하고 있었다. 앞으로는 국내 설계 업체들의 참여가 활발해졌으면 한다”며 국내 작품들도 충분히 수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기억에 남는 것으로, 학생들 작품에 대한 시상을 할 때 지도교수가 모두 함께 나와서 제자가 상을 받는 것을 축하하고 격려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멀리서 온 사람들도 많이 있었다고) 참 보기가 좋았다고 한다. 동행한 박승진 실장은 “처음에는 여러가지로 낯설었지만 수상을 하고 난 다음에는 동양인이 적은 탓인지 모두 환대해주고, 인사를 먼저 건네는 등 환영해주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행사를 마치고 돌아올 수 있었다”며 “심사위원장 및 몇몇 지인들과 저녁식사를 하면서 선유도공원에 대해 좋은 평가를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전해주었다. 바쁜 가운데서도 출품하게 된 것은, 협력사인 캐나다의 Envision - the Hough Group(구 HWNDL)이라는 회사의 고문이자 설립자인 Michael Hough가 권유를 해준 것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고. 그가 한국에 방문했을 때 선유도를 보았고, 미국 조경잡지인 Landscape Architecture에 소개를 추진하는 중에 작품전에 내보라는 권유를 했고, 서안에서도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결국 출품하게 되었다. 선유도공원은 현재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고 있는 서울의 명소가 되었다. 전문가로서 정영선 소장은 가볼 때마다 부족한 부분이 많이 보인다고 말하지만, 한번 방문했던 사람들은 모두 새로운 공원에 만족하는 분위기다. 최근에는 이를 반증하듯 각종 드라마, CF의 배경장소로 이용되기도 하고, 콘서트 및 문화예술인의 모임, 시민단체의 모임 등도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