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붉은병꽃나무, 중국굴피나무
    전국 각처의 산록이나 암석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표고 200~1,500m에 분포되어 있고, 지리적으로는 중국 및 일본에 분포되어 있다. 자생지에서는 주로 삼림의 가장자리에서 군집(群集)을 이루고 있으며, 과거부터 집주변에 정원수로 식재되고, 최근들어 고속도로나 기타 도로변의 노견(路肩)에 생울타리처럼 열식하고 있다. 높이 2~3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이며 어린가지는 녹색 또는 대홍녹색이며 두줄의 털이 있고 2년생지는 대흥갈색이며 등근 피목이 발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난상타원형 또는 도난형으로 길이 4~10cm, 너비 2~7이고 점첨두 원저 또는 설저이며 가장자리에 세치가 있다. 중국굴피나무 에는 1920년대에 들어와 현재는 거의 전국적으로 식재되고 있으며 공원수, 풍치수 등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1844년에 프랑스로 들어갔고 미국에는 1860년에 들어갔으며, 일본에는 1880년경에 도입되어 현재 각처에서 오래된 고목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고 한다. 높이 30m, 직경 1m이상 자랄 수 있는 낙엽활엽대교목이며 수간이 장대하고 굴곡이 졌으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세로로 많이 갈라졌다. 어린가지와 엽병은 무모이나 간혹 털이 있고, 골속은 계단상이며 동아는 대가있고 나출되어 있다. ※ 페이지:162~167 ※ 키워드: 붉은병꽃나무, 중국굴피나무, 식재, 수종, 조경수, 김영두 붉은병꽃나무
    • / 1993년10월 / 66
  • 조경관련법규 연구(4) - 자연공원법
    자연공원법은 크게 총칙, 공원의 지정, 공원계획, 공원관리청 및 공원위원회, 공원사업 및 공원의 점용 등, 수익 ·비용 및 부담 등 6장(章)으로 구분되며, 공원계획을 수립하는 작업에는 공원의 지정, 공원계획이 주로 해당된다. 전 국토에서 점유하는 자연공원의 비중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공공적인 휴양공간으로 국민에 대한 역할은 지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중요도에 비례하여 과잉이용, 유지관리미흡 등의 많은 문제가 내재하고 있어 조경가는 계획수립 당시 이러한 제문제점을 도출하여 자연의 보전과 적절한 이용의 조화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공원계획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페이지:128~133 ※ 키워드:자연공원법, 조경관련법규, 총칙, 공원의 지정, 공원계획, 공원관리청 및 공원위원회, 공원사업 및 공원의 점용 등, 수익 ·비용 및 부담
    • / 1993년10월 / 66
  • 환경보존을 위한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역할
    국립공원이라는 개념이 지구상에 처음으로 태동될 때(1870년)만 하더라도, 오늘날과 같이 자연훼손이나 환경오염의 우려는 전연 생각 밖의 일로, 오로지 “즐거움의 공유, 즉 경관지나 놀라운 자연현상을 감상할 기회를 어느 개인이 독점하지 못하도록 하고, 그 즐거움을 누구나 나누어 갖자는 이념에서 시작되었다. 본질적으로 국립공원은 보존, 보호를 우선으로 하고 조심스러운 이용을 도모하는 자연공원이다. 따라서 규제와 행위제한은 불가피한 것이고 그러한 엄격한 규제가 있음으로 해서 국립공원탐방의 신선함이 보장되는 것이다. 공단은 초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 단순한 경관소개가 아닌, 국립공원의 이념과 이용방법을 구체적으로 게재하도록 관계기관과 협의하고 있다. 물리적인 규제와 방만한 이용이 대립만 한다면, 국립공원의 보존도, 국민의 휴식욕구도 어느 것 한가지도 올바로 충족될 수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 페이지:73~76 ※ 키워드: 국립공원, 자연공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관리제도
    • / 1993년10월 / 66
  • 환경윤리와 미학; 빛은 동방으로부터 비칠 것인가?
    내가 첫 번째로 밝히고자하는 문제는 개발모형이 바로 서양의 근대주의의 논리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이다. 내가 두 번째로 논하고자 하는 문제는 그렇다면, 우리는 서양의 세계관을 비판하고 ‘새로운 세계관(여기서는 아시아의 우주론)’으로 돌아서야 하는가에 있다. 세 번째는 ‘세기적 전환기에 있어 인간의 문제’, 즉 새로운 근대적 세계관의 상관성이 해체되는 새로운 단계에 대한 논증이다. 과학적 지식과 합리적 이용, 즉 효용과 자연계의 법칙 그리고 이들간의 상관성은 근대주의가 갈라놓은 ‘도덕’과 ‘미학’과 ‘과학’의 사이를 다시 이어주게 한다. ※ 페이지: 81~88 ※ 키워드: 오규스탱 벡크, 환경윤리, 근대주의, 중국문화, 우주관, 세계관, 에쿠멘
    • / 1993년10월 / 66
  • 실내조경의 이해 ;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실내조경
    노인이 있는 가정에서 실내조경에 적합한 요소의 선택은 어려운 일이다. 창턱은 이상적인 실내조경 위치로, 이러한 실내조경의 요구조건은 남쪽을 향한다는 것과 마루와 인접한 벽재료가 물에 강하고 식재표면이 장애자가 쉽게 일할 수 있도록 올라와 있어야 하고 물이 잘 공급되고 편리한 저장소가 근처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실내에서 정원을 가꾸는 것은 장애인들에게 미래를 꿈꾸는 태도를 길러준다. 그것은 생계의 수단으로 이끌어가는 교육 도구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실내조경은 시각장애인들에게는 그들 주위에 있는 세계를 더 잘 이해하게 해주고, 청각장애자에게는 시각적 기쁨을, 정신지체자들에게는 쉬운 일을 성취하고 배우는 만족을, 그리고 정신 장애인들에게는 작은 평화를 주는 환경에서 약간의 안정감을 주게 될 것이다. 육체적 장애인들을 위한 수용시설을 계획 할 때 설계가는 관리인과의 상의 하에 설계시 고려될 제한사항을 결정해야 한다. ※ 페이지: 138~143 ※ 키워드: 장애인, 노인, 실내조경,
    • / 1993년10월 / 66
  • 식물다양성보전과 지속적 개발
    생태계내에서의 생물다양성의 역활 생물 다양성(Biological Diversity 또는 Bio diversity)이란 모든 식물, 동물종뿐만 아니라 미생물과 생태계 또는 생태적 과정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 용어는 자연의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이는 유전자의 수 전체를 의미하는 유전 다양성(Genetic Diversity), 자연 생태계내에 존재하는 전체 종의 수를 의미하는 종 다양성(Species Diversity) 및 특정지역내에 분포되어 있는 생태계의 수를 의미하는 생태계 다양성(Ecosystem Diver-sity)등 3가지의 주요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세가지의 다양성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다. 생물 다양성 보전전략 각종 생물자원의 다양성을 위협하는 요인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절대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아울러 성공적인 생물 다양성 보전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성 감소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생물 다양성의 보전에 있어서 유전 다양성, 종 다양성 및 생태계 다양성 중에서 어느 한가지 요소에만 국한시켜 중요시하여 보전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일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들 세가지의 생태계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 페이지: 144~148 ※ 키워드: 종다양성, 식물다양성 보전, 김용식
    • / 1993년10월 / 66
  • 조경비평의 가능성과 지평
    일단 근본적인 의문이 해결되어야 한다. “전문적인 조경비평은 왜 필요한 것이가, 그 가능성은 무엇인가?” 이 당연한 물음에 대한 답은 실천적 비평행위의 선결과제이자, 곧 조경비평의 존재이유와 위상과 기능을 찾아나가는 노정이기도 하다. 비평문화를 찾아보기 힘든 우리 조경계의 실정상 작품에 대한 실제비평의 전단계로 이론적 비평연구가 선행되어 그 성과가 축적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하지만 조경비평의 궁극적 목적은 실제비평을 통한 조경작품의 질적 향상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유로운 비평이 받아들여질 수 있는 환경, 즉 비평의 ‘공공영역’이 마련되어야 한다. ※ 페이지: 89~92 ※ 키워드:배정한, 조경비평, 비평가, 디자인 교육, 조경비평의 가능성과 지평
    • / 1993년10월 / 66
  • 소르본느 대학교
    학교소개 프랑스 파리 중심부 쎄느강 남쪽 Quartier Latin(라틴구역)에 위치한 소르본느 대학교(Universitéde Paris-IV : Paris-Sorboone)는 13세기 중엽인 1257년에 세워졌다. 수없이많은 졸업생들 중에는 세계의 각국 지도자들과 유명인사등이 있어, 학교 자체의 외형적인 면과 내재적인 면등 여러면에서 자부심을 느끼게끔 되는데, 실질적으로 동남아 각국의 왕족들 및 아프리카지역의 통치자들의 대부분이 이곳 출신들이다. 조경학 프로그램 소르본느 대학에서의 조경학 프로그램은 지리학부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학부과정(D.E.U.G. License)과 석사과정(MaÎrise), 박사준비 과정(D.E.A), 박사과정(Doctorat) 등으로 구분된다. ※ 키워드 : 소르보느 대학교, 프랑스 파리, 김태휘, 조경학 프로그램※ 페이지 : 122~127
    • / 1993년10월 / 66
  • 통일신라 사원3
    남원 실상사_실상사는 최초의 선종(禪宗) 사찰로서 신라 흥덕왕 3년(828) 당나라에 가서 선법(禪法)을 배우고 돌아온 홍척(洪陟)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신라 후기에 들어온 선종에 의하여 사찰에 승려의 부도(浮圖)가 조성되기 시작한다. 이 부도의 조각예술은 사찰조경공간 속에 하나의 조형적 공간을 구성하게 된다. 실상사는 석탑과 부도 등으로 석조조각의 박물관같은 기능도 보여주고 있다. 장흥 보림사_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당촌 가지산(迦智山, 해발5,099m) 남쪽 기슭에 있는 보림사(寶林寺)는 신라 구산선문(九山禪門)1)중 하나이다.가지산 아래의 평탄한 지형에 있는 보림사는 서남쪽으로 흐르는 맑은 계류(溪流耽津江)를 끼고 조영된 평지가람(平地伽藍)이다. 가람배치(伽藍配置)는 남쪽의 일주문으로부터 사천왕문 석등(石燈) 대적광전(大寂光殿)이 중심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중심축의 동북쪽에 대웅전(大雄殿)이 서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웅전 앞마당에는 물이 넘쳐흐르는 작은못(小池)이 있다. 합천 해인사_신라 애장왕 3년(802)에 창건된13) 해인사는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에 나오는「해인삼매(海印三味)」를 인용하여 절 이름을 정한 화엄종 사찰이다. ※ 페이지:108~115 ※ 키워드: 정재훈, 남원 실상사, 장흥 보림사, 합천 해인사,
    • / 1993년10월 / 66
  • 주요 조경용 수목의 생태적 특성
    조경수목은 조경에 있어서 가장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자연을 토대로 하고 있는 인간 생활환경 주변의 정화와 미화 및 쾌적하고 합리적인 환경을 계획하는 과정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이렇게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의 미적, 기능적, 심미적 목적과 생태적 균형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수목을 조경수목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조경에 이용되는 수목은 100~150여종이며 이중 경기 및 중부지방의 경우 적게는 30~50여종 정도이며 남부지방은 이보다 20~30여종이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경가들이 해야할 바람직한 역할은 훌륭한 식물재료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로 그가치를 조경에 적극 이용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 페이지:77~80 ※ 키워드: 조경수목, 조경용 수목, 조경수, 생태적 특성, 조경수 선정
    • / 1993년10월 /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