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도심속의 오아시스 남바 파크
    남바재개발지구 난카이 남바역역을 중심으로 하는 남바시티, 난카이 터미널 빌딩, 과거 오사카 야구장 부지를 재개발한 남바파크 등 총 연면적 100만㎡에 달하는 재개발지구로써 도시기능의 집적을 꾀하고 오사카의 국제 거점을 지향하는 대규모 재개발 프로젝트 지역이다.2003년 10월 1단계 공사를 끝내고 개방된 남바파크(Namba Parks)는 2007년 4월 2단계 로 나머지 부분이 완성되면서 오사카 미나미 지역의 새로운 지역중심이 되었다. 남바파크는 쇼핑하고, 먹고, 일하고 즐기고, 배우고, 생활하는 공간으로써 사람과 도시, 그리고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복합상업공간을 지향하며, 도시의 시간을 매력적으로 연출하는 상업시설과 자연환경이 고루 갖추어진 공간을 연출하고 있다. 디자인 모티브 시간의 기억먼 옛날에는 석호지대였던 땅의 기억을 단구(段丘-강물이나 바닷물의 침식, 땅의 융기 등으로 강·호수·바다의 연안에 생긴 계단식 지형) 형태에 펼쳐낸 풍부한 녹지는 번잡한 도심지에 녹색의 놀라움과 신선함을 제공한다. 건물과 건물 사이에는 그랜드 캐니언을 이미지화한 캐니언 스트리트(Canyon Street)는 남바파크 2층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남바 재개발 지구 전체를 연결하는 중심회랑이 된다. 과거 지층을 상징하는 켜와 유려한 곡선형의 디자인의 메인 스트리트는 캐니언 스트리트라는 이름처럼 깊은 계곡 속에 들어와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기에 충분하다.도심속의 공원 남바파크특히 우리가 주목할 곳은 건물의 옥상에 조성한 숲이자 공원인 파크스 가든(parks garden)이다. 2007년 2단계 공사를 마치고 확장된 부분은 8층과 9층의 옥상부 스텝가든과 원형과장. 초화의 종류도 약 300종, 7만주가 식재 되어 총 면적 11,000㎡으로 확대된 공원이 탄생하였다. 2층 파크스 가든의 입구에서부터 9층까지 산책을 하듯이 걷다 보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파크스 가든은 전체적으로 공원녹지가 부족한 오사카 남부 미나미 중심가에 산소와 같은 존재가 되었다. 옥상을 녹화하여 초화류를 식재하는 옥상정원은 지금까지도 물론 많이 있었다. 하지만, 파크스 가든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그 규모뿐만이 아니라, 사람들의 흐름을 그대로 수용하고 건물과 일체화된 녹지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옥상정원이라기보다는 도심 속에 대규모 녹지를 제공하는 공원이라는 점이다.도시 안에서 공원이 녹지로 구획된 공원으로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수목과 꽃, 자연이 자연과 접하는 상업공간들로 확장되어 일체화된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공원이면서 가로이고, 가로이면서 공원이 되며, 사람들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체험과 감동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파크스 가든의 존재는 각별하다.이정훈 (오사카대학 공학연구과 비즈니스엔지니어링전공)(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 2007년09월 / 233
  • 환경친화적 도시관리를 위한 환경생태계획(2)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7년09월 / 233
  • 다산초당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7년09월 / 233
  • 두바이 팜 쥬메이라
    위치_아랍에미레이트 두바이개발면적_560ha발주처_낙힐(Nakheel)조경_크렉넬(Cracknell Landscape Architecture, Planning)조경예산_AED 200,000,000 (US $ 55,000,000)Background우리에게 흔히 7성 호텔로 알려진 두바이 버즈 알 아랍(Burj Al Arab) 호텔로부터 남쪽으로 얼마 안 떨어진 곳에 세계에서 가장 큰 야자수(대추야자) 모양의 인공섬 팜 쥬메이라(The Palm Jumeirah)가 있다. 우주에서도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팜 쥬메이라는 발주처의 세일즈 및 마케팅 팀에 의해 세계 8대 불가사의로 홍보되고 있으며, 공사가 모두 끝나게 되면 최종적으로 두바이에는 약 78km의 해변이 연장 된다.1999년 셰이크 모하메드에 의해 관광지로서의 두바이를 재조명하는 단계에서 인공섬 개발이 언급되었고, 해변을 최대화 하는데 가장 이상적인 기하학적 형태로서 야자나무의 모양이 채택되었다. 전체 면적은 560ha로 이는 8천개의 축구장을 합한 것보다 넓다. 섬 자체 만으로 가로 5km, 세로 5km 에 달하는 이곳 팜 쥬메이라는 입구부터 전체가 레인보잉(Rainbowing) 이라고 불리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인공 지반위에 만들어졌으며, 2006년 말부터 사람들의 입주가 시작되었다. Districts팜 쥬메이라는 크게 트렁크(The Trunk), 크라운(The Crown) 그리고 섬을 둘러싸고 있는 크레센트(The Crescent)의 세 구역으로 나뉘어지며 크레센트까지의 도로는 해저 터널로 연결된다.트렁크에는 2천5백 가구가 살 수 있는 쇼어라인 아파트(Shoreline Apartment) 20채와 주상 복합의 골든 마일(Golden Mile), 그리고 빌리지 센터(Village Centre)와 마리나 아파트(Marina Apartment)가 들어선다. 쇼핑의 허브를 지향하는 이 곳 트렁크에는 또한 30개 이상의 5성 호텔이 계획되어 있다.저밀도 주거 지구로 계획된 크라운에는 17개의 프론드(Fronds)가 있으며 각각의 프론드에는 커넬 코브(Canal Coves)의 타운 하우스를 포함하여 1,386 채의 빌라(Villas)가 지어진다.약 11km 에 달하는 길이와 200m 폭으로 방파제 역할을 하는 크레센트에는 20개 이상의 호텔들이 건설 또는 계획 중에 있다.Access섬의 중심부는 Entrance Bridge를 통해 두 개의 메인 도로로 연결되는데 하나는 쇼어라인 아파트를 통과하는 주거지 도로이며, 다른 하나는 골든 마일 및 상점가를 통과하는 상업지 도로이다.또 다른 교통편으로는 3개의 주요 정거장을 지나는 모노레일과 보트를 이용한 접근 방법이 있으며, 특히 모노레일은 1시간에 2천명 이상의 승객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하지만 주거 밀집 지역인 프론드의 해상에서는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배를 이용한 활동(Activity)이 전면 금지된다.Design / Development건축물을 포함한 팜 쥬메이라의 전체적인 기본 컨셉은 아랍 혹은 지중해 스타일이며, 많은 디테일이 중동 건축물과 전통적인 안마당 형태, 그리고 현지의 재료, 색깔과 감촉 등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사막에서 찾을 수 있는 모래 색깔과 패턴은 프로젝트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쳤다.여기에 세계 8대 불가사의라 불릴만한 높은 수준의 열대 아일랜드 형태의 생활환경 창조를 궁극적 목표로 한 조경설계에는 대체로 현지에서 구할 수 있는 자연 재료를 이용한 현대식 디자인을 적용시켰다. 더군다나 주거지인 프론드에는 갈색, 황색 및 회색의 세가지 색을 이용한 패턴을 적용하였는데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받아들여 바다에서 얻을 수 있는 요소들과 더불어 다양하고 특징적인 주거공간을 만들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식재에서는 자연적인 아일랜드 개념에 맞추어 전반적으로 정형적이지 않고 부드러운 라인이 사용되었다. 또한 가로수의 경우 그늘 제공 뿐 아니라 전체 부지의 이국적인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야자수와 함께 다양한 활엽수의 조화를 적용했다.정진모Cracknell Landscape Architecture Planning(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 2007년09월 /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