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신월정수장 부지 공원조성 기본계획(안) 현상설계 당선작
    위치_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산68-3일대(구 신월정수장 부지 및 인접부지 포함)면적_225,368㎡(정수장 내부 136,722㎡(잔디야구장 19,300㎡ 포함), 정수장 외곽 88,646㎡)시행처_서울특별시설계_(주)씨토포스, (주)자인건축사사무소사업기간_2007년 4월 ~ 2009년 12월사업예산_약 36,207백만원디자인자문_최신현 교수(영남대 조경학과) 프롤로그아름다운 폐허 : 기억너무나 익숙해서 큰 고마움을 몰랐던 물!그 물을 깨끗하게 해서 공급하던 정수장이 자기 할 일을 다하고 쉬고 있었습니다. 잠자는 자연과의 조우 : 생태바빠서 말 걸 틈도 없던 정수장이 쉬는 동안 그 옆의 자연도 같이 한숨 잔 걸까요?무성한 나무들, 들풀들의 작은 흔들림, 그리고 호수의 작은 물결 일렁임만이 있을 뿐 모두 자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작정 잠을 깨우고 싶진 않습니다. 조금 늙은 도시 신월동, 그리고낡은 풍경의 주택가. 살벌한 도로 풍경. 사람의 도시는 아닌 듯 합니다. 편안한 휴식처가 필요합니다. 잠자는 자연을 잠시 깨워 연결해 주고자 합니다. 사람들…… : 문화어울려 살아야 사람입니다. 일부러 먼 곳에 가지 않아도 크고 작은 어울림이 있습니다. 아름다운 폐허의 기억위에 잠자던 자연과 도시가 경계를 열고 만납니다. 사람은 그 만남의 주선자입니다. 신월문화예술공원 만들기01 설계컨셉_Moon Walk그냥 닫혀서 자연이 무성한 신월정수장사람과 문화, 예술의 향기가 가득한 새로운 문화의 공간으로 탈바꿈한 그곳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공간을 달빛 가득한 날에 호숫가를 따라 달길을 거닐고 노닐어 본다.미래의 꿈을 꾸며....... 재생 - 기존 정수장 공간을 도시문화의 장으로 재생흔적있는 소재를 재미있는 시설로 재생무질서한 자연을 생태적 기능공간으로 재생문화 - 지역의 문화적 전통과 도시문화의 다양성을 담는 열린 문화예술공원지역의 환경적 요소를 극복 및 활용하여 이벤트가 있는 문화공간 창출다양한 계층의 참여와 이용이 자생적 문화 경관을 형성하는 공원생태 - 자연, 문화, 도시가 함께 진화하는 도시생태공원기존 자연환경 및 경관의 보존자연학습을 통해 물의 소중함과 숲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생태 교육의 장 형성소통 - 참여와 소통을 통해 함께 만들어가는 시민의 공원남녀노소 및 모든 계층의 소통이 가능한 풍부한 컨텐츠의 프로그램 기획과 개발시민들의 참여가 가능한 실질적인 프로그램 유도공간별계획01 공원문화체험의 장 · 지역주민의 일상적 활동을 위한 열린 공원프로그램· 정수장시절 조성된 인공호수변 경관 이용프로그램 -열린경계를 통한 도시와의 접근성 강화 -공연보며 피크닉 즐기기 -휴식하기 -잔디밭에 뛰어놀기 -생태적 녹지공간 : wild garden 02 전통문화체험의 장· 기존 시설 재생과 정비를 통한 문화체험 및 체육활동 프로그램 도입· 기존 건축물을 활용한 조형전시관, 천체관찰원 설치로 청소년들의 체험학습의 장· 한국 전통공간의 공간구성을 디자인에 도입하여 시간의 연속적 흐름을 표현 03 문화예술의 숲· 기존 숲을 이용한 관찰 & 학습 프로그램· 주제가 있는 다양한 동선계획으로 문화 & 생태 & 교육 프로그램 04 몬드리안 정원· 선-면-색의 중첩 -기억의 흔적을 남기고 사람들의 다양한 활동을 담을 수 있는 새로운 “장소”의 조성 움직임을 담은 선의 만남은 사람과 사람, 도시와 도시, 자연과 문화 모두를 아우르는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장의 마련 05-1 신월 미술관(구여과지동)· 과거와 미래 / 도시와 자연 / 문화와 커뮤니티가 있는 공간 -과거의 흔적을 내포하고 미래의 모습을 투영하는 다차원적 문화예술 공간 -자연과 도시가 공존하며 다양한 생명체들이 함께 살아가는 공간 -문화와 예술을 함께 느끼고, 즐기며, 이웃과 소통 가능한 공간 05-2 신월루(구취수장)· 장소에 대한 기억의 공간 -물위에 떠 있는 듯한 형태의 기존 취수장을 물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메모리얼홀로 계획 -기존 지형의 조정을 통해 섬과 같은 공간으로 분리하고 브릿지를 통해 연결하여 진입시 특별한 공간체험 제공 -기존의 비례적 입면형태와 구조는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내부구조의 변화(중층구조)로 새로운 공간을 조성 이대영·(주)씨토포스 소장(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 2007년09월 /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