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광한루원
    Gwanghallu광한루원은 전라북도 남원시 천거동 78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조선 세종 원년(1419) 황희黃喜가선조인 황감평黃鑑平이지은일재라는 서실을 헐고“광통루”라는 누정을 지은 것에서 연유한다. 현재 약 69,795㎡ 일원에 광한루를 중심으로 월랑, 영주각, 방장정, 삼신산, 오작교 등에서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공간적, 지형적으로 연계시키고 있다. 또한 성리학적 세계관, 음양오행, 풍수지리사상 등이 내재된 신선의 세계관과 천상의 우주관을 표현하고 있어 공공 원림으로서의 누원 분야의 좋은 연구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2008년 1월 8일 사적 303호해제와 동시에 명승 33호로 지정되었다.
  • 소통+장소, 조경(4)
    소통의 가치: ‘연대’건 ‘연애’건 함께 하는 사회니까“공간을 다루는 일과 소통을 연결시킬 때 가질 수 있는 장점은 많다. 혼자서 내리는 결정보다 집단이 내리는 결정이 대체로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함께 할 때 정보의 양도 늘어나고 여러 시각으로 문제를 바라보기에 판단도 보다 현명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의사 결정의 주체나 과정이 결과물에도 영향을 주는 건 당연하기에, 공원의 관리 및 운영 방식뿐만 아니라 계획과 설계 등 실천의 다방면에서 소통이 갖는 따지기 기능, 성찰, 상호 작용의 과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지난 호에는‘달에서 생존하기 게임’과 계획 이론인‘소통적 계획’을 통해서 소통의 가치에 대해 다루었다. 이번 호의 이야기 또한 저번 호와의 연장선상에서 소통을 통해 추구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인 사회적 자본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