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동계 수목 및 시설물 관리방안 ; 겨울철 실내조경 관리
    실내조경은 일반 조경과 달리 건물의 내부에 조성되기 때문에 실내환경에 맞춰 유지·관리를 해야 한다. 특히, 겨울철은 삭막한 건축 구조물의 실내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으므로 실내조경이 더욱 필요하지만 관리 요령 부족으로 대부분의 빌딩 내부나 아파트 베란다 등의 실내조경은 겨울철이 지나면 황폐하게 변해 버리기 일쑤다. 하지만, 온도와 습도조절에 조금만 관심을 기울인다면 겨울철에도 싱그러운 정원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즘의 대형 건물들은 여름엔 냉방, 겨울엔 난방으로 연중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그럼에도 겨울철 건물내부의 평균적인 실내 환경은 난방기간 중에는 실내 습도가 20%까지 내려가므로 잎이 쉽게 마르게 된다. 때문에 겨울철 실내조경 식물 선정시 온도에 민감하거나 잎이 잘 마르는 식물은 제외해야 할 것이다. 실내식물의 적정 온도는 18∼24℃이며, 습도는 자생지는 70∼90%, 생산지에서는 85∼90%이고 사람들에게는 50% 정도면 가장 쾌적한 온도와 습도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겨울철 난방을 가동하더라도 습도를 50% 이하로 내려가지 않게 한다면 사람과 식물 모두 쾌적하게 지낼 수 있다. 그럼 조금 더 자세하게 겨울철 실내조경 관리 요령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 키워드 : 특별기획, 정미숙, 동계, 수목, 시설물, 겨울, 실내조경, 관리, 식물 ※ 페이지 : 140-143
    • / 2000년11월 / 151
  • 동계 수목 및 시설물 관리방안 ; 수경시설물의 동계관리
    새천년의 첫번째 시드니 올림픽이 폐막되었다. 입상자들은 이구동성으로 동계훈련을 성실히 함으로써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고들 한다. 이는 동계훈련의 중요성을 일컫는 말이라고 할 수 있겠다. 비유야 어떻든 수경시설이라 함은 기계적, 전기적 부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시설로 이러한 시설물에 대한 동절기(비운영기)의 철저한 관리가 본격적 운용시기에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함수관계를 성립시키는 것이다. 수경시설물은 분수시설과 정화시설의 총칭으로 여기서 분수시설이라 함은 분수, 폭포(캐스케이드 : CASCADE), 수로 등을 구성하는 기계설비 및 전기설비 장치를 말한다. 필자는 여기서 동절기 수경시설의 관리요령에 대해 피상적 관리방법이 아니라 좀더 기술자의 입장에서 구체적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이상 간략하게 동절기 및 운휴기, 운용기의 관리방법을 기술하였지만 왠지 가슴 한편으로 허전한 기운을 벗을 수가 없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발주처에서는 준공의 중요성을 알지만 관리부분의 중요성을 망각하기 때문이다. “이 놈의 수경시설은 관리하기가 힘들어서...”라는 말보다 더운 날 시원한 물줄기를 맞으면서 좋아하는 내 이웃들의 환한 모습을 상상해 보자. ※ 키워드 : 특별기획, 장경천, 동계, 수목, 시설물, 수경시설, 관리, 일본 ※ 페이지 : 144-145
    • / 2000년11월 / 151
  • 동계 수목 및 시설물 관리방안 ; 지피식물의 동계 관리요령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 식물체는 스스로 추위에 대비하게 되는데 종에 따라 내한성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식재위치, 토양, 기후 등에 따라 겨울철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만 봄이 되었을 때 본래의 형태 또는 그 이상의 생육상태를 기대할 수 있다. 식물체의 내한성 정도를 이해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관리를 하게 되면 저온에 약한 개체는 봄이 되었을 때 그 피해가 크게 나타난다. 특히 공원의 경우 여러 종류들이 한꺼번에 식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월동불가능 개체나, 약간의 관리를 요하는 개체에 대해서는 반드시 11월 중순부터는 짚이나 낙엽, 거적, 목재칩 등으로 피복을 하여 주거나 보온시설을 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10월 중순경 채종이 끝나고 지상부가 고사하고 나면 고사부를 제거하고 휴면기 완숙퇴비를 ㎡당 5㎏내외로 뿌려주어야 영양부족이 일어나지 않고 겨울의 저온에 대한 내성도 좋아진다. ※ 키워드 : 특별기획, 장형태, 동계, 수목, 시설물, 지피식물, 관리, 동해, 상해 ※ 페이지 : 134-135
    • / 2000년11월 / 151
  • 동계 수목 및 시설물 관리방안 ; 동계 조경수 관리요령
    관상수목중 식재한 나무의 활착을 돕기 위해서는 해당 수목의 기후적 특성과 생태적 특성을 잘 알아 두어야 한다. 수종에 따라 많은 차이는 있지만, 생육중인 수목도 가지나 줄기, 뿌리, 잎 등이 식재된 지역의 온도, 습도, 월동의 관리상태 유무에 따라서 생장의 차이가 심하다. 특히, 전년생 가지에서 개화되는 수종은 꽃눈 보호로 이듬해 예쁜 꽃이 필 수 있도록 바람이나 추위를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월동의 목적은, 아름답고 좋은 관상수를 겨울 추위에 의한 동해를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생육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조치라 할 수 있다. ※ 키워드 : 특별기획, 김덕조, 동계, 수목, 시설물, 조경수, 관리, 월동 ※ 페이지 : 130-133
    • / 2000년11월 / 151
  • 동계 수목 및 시설물 관리방안 ; 겨울철의 잔디관리 요령
    휴면기인 겨울철에는 잔디의 생장이 정지되고 따라서 관리작업 역시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잔디는 여름과 가을에 걸친 충분한 생육으로 양분을 축적한 다음 휴면에 들어가 겨울을 보낸다. 그러므로 잔디의 관리상 가장 중요한 시기는 바로 휴면에 들어가기 약 한 달 전이며, 이 시기의 잔디관리가 이듬해의 잔디생육을 좌우한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잔디관리자들은 겨울철에 각종 시비와 병해충 방제를 실시하여 이듬해 봄의 잔디생육이 정상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휴면기인 겨울철 잔디관리는 일반관리 및 병,해충관리로 구분할 수 있고, 초종에 따라서도 그 관리방안이 달라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원고에서는 골프장이나 경기장 등의 대규모 잔디밭을 중심으로 한국잔디와 한지형 잔디 관리방안, 그리고 공통적으로 관리에 유념하여야 할 부분으로 나누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 키워드 : 특별기획, 김호준, 동계, 수목, 시설물, 겨울, 잔디, 관리 ※ 페이지 : 136-139
    • / 2000년11월 /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