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 자투리땅을 살려라!
    지난 7월 19일,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2018년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의 시상식이 진행됐다. 본래 한 팀에게 최우수상(상금 1,000만원)을 수여할 예정이었으나, 작품의 우열을 가릴 수 없어 한 점으로 예정된 우수작(상금 500만원)에 아하모먼트(AHA Moment)팀의 ‘정류원’과 어반그라데이션(Urban Gradation)팀의 ‘도시를 바꾸는 점적인 변화’를 선정했다. 본래 한 팀에게 줄 예정이었던 장려상(상금 300만원) 역시 인에이(In_A)팀의 ‘송파의 기억을 들추다’와 함께 팀의 ‘참한터’ 두 작품에 수여했다. 입선(상금 50만원)에는 이터널선샤인(E;tunnelSunshine)팀의 ‘창3동과 205분의 19승강장’, JHA 팀의 ‘향림원(香琳源)’, 호케스트라(Horchestra)팀의 ‘사랑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것이죠’가 선정됐다. 심사위원단은 창의성, 내구성, 조화성, 성실성, 유지·관리 측면에 주안점을 두어 심사를 진행했으며, 박준호 심사위원장은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가 서울을 바꾸는 첨병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을 조성하는 72시간이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축제가 되었으면 한다”며 심사평을 밝혔다.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는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72 Hour Urban Action’을 벤치마킹한 프로젝트로, 지난 2012년 ‘Take Urban in 72 Hours’라는 이름으로 서울에서 시작됐다. 2013년에는 시민에게 좀 더 친숙하게 다가가고자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이하 72시간 프로젝트)로 명칭을 바꾸었으며, 2014년부터는 한화와 서울시가 공동 주관하는 프로젝트로 매년 추진되어 왔다. 올해 7회를 맞은 72시간 프로젝트는 ‘자투리땅을 살려라!’를 주제로 진행되었다. 지난 6월 4일 공모를 통해 선정된 7개 팀은 도시재생 사업지 내 주민 생활 공간 두 개소, 지하철역과 버스 정류장 인근 가로 쉼터 세 개소, 도시 번화가 두 개소 등 노후화된 공간을 시민들이 소통할 수 있는 장소로 탈바꿈시켜야 했다. 작품 설치 비용으로는 1,500만원(부가세 포함)이 지원됐다. 한화와 서울시가 공동 주관했던 작년과 달리, 올해는 서울시 단독 주관 자치구 보조금 사업으로 프로젝트 성격이 바뀌어 진행되었다. 따라서 참여 팀은 보조금 관리 시스템을 통해 보조금을 집행하고 정산해야 했는데, 방법과 기준이 까다로워 어려움을 겪는 팀이 발생하기도 했다. 올해에도 72시간 프로젝트를 홍보하기 위한 서울시의 노력은 계속됐다. 페이스북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는데, 텍스트와 이미지를 결합한 카드 뉴스 형태의 이미지를 게시해 정보를 좀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려 했다. 주민 참여를 유도하고자 모바일 투표와 현장 투표를 통해 선정하는 ‘특별상’을 신설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주민이 투표 진행 사실을 알지 못하며, 참여 팀이 지인을 동원해 투표하기 때문에 팀원이 많은 팀이 유리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도시재생 사업지 내의 자투리땅을 대상지로 선정함으로써 조경의 영역을 넘어 도시재생본부와의 협업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내년에는 서울시의 중요한 정책 사업과 연계할 방안을 탐색 중이라는 72시간 프로젝트의 귀추가 주목된다.
  • 부산현대미술관 수직 정원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san Vertical Garden
    미술관 2018년 6월 개관한 부산현대미술관은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된 부산 사하구 을숙도에 위치한다. 을숙도는 낙동강 하구에 토사가 퇴적되어 형성된 하중도河中島(곡류 하천의 유로가 바뀌면서 하천 가운데 생긴 퇴적지)로, 갈대와 수초가 무성하고 어패류가 풍부하여 한때는 동양 최대의 철새 도래지였다. 대부분이 저지대에 위치한 습지로 홍수 때는 수몰될 위험이 컸기 때문에 섬 크기에 비해 주민이 적었다. 그러던 중 윤중제輪中堤(섬의 둘레에 쌓은 제방)가 축조되고 경지 정리 사업이 진행되어 많은 주민이 입주했고, 을숙도는 부산의 원예 작물 공급지 역할을 하게 됐다. 그러나 1987년 4월 낙동강 하굿둑의 완공으로 섬 전역이 공원화되면서 갈대밭이 훼손되고, 사람들의 발길이 잦아지자 철새가 줄어드는 등 생태계가 빠르게 파괴되었다. 이에 부산시는 을숙도 일대를 핵심보전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을숙도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을숙도는 여전히 50여 종, 10만여 마리의 철새가 쉬어가는 철새의 낙원으로, 세계적 희귀조인 재두루미, 저어새, 흰꼬리수리 등이 날아와 겨울을 나는 모습은 장관을 이룬다. 부산현대미술관은 이러한 입지적 배경이 가지는 장소의 상징성과 그 환경적 이슈에 주목했다. 단순히 주어진 건축 공간을 통해 예술을 공유하는 것이 아닌, 자연과 예술, 인간이 동화되어 공존·공영할 수 있는 문화적 공간의 역할에 더 큰 의미를 둔다. 예술가 패트릭 블랑(Patrick Blanc)은 식물학자다. 또한 수직 정원의 창시자이며 수직 정원을 예술의 한 분야로 정착시킨 예술가다. 패트릭 블랑의 수직 정원이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88년 파리의 라빌레트 과학산업관(Cite des Sciences et de L’industrie)에서 개최된 전시에서 수직 평면에 여러 식물을 설치한 작품을 소개하면서였다. 식물을 이용한 이 유기적 설치 작품은 지금의 수직 정원의 기술적·개념적 모체가 되었다. 부산현대미술관의 수직 정원은 패트릭 블랑의 국내 최초 대규모 실외 설치 작업이다. 봄 정원, 여름 정원, 가을 정원, 겨울 정원으로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살아 있는 작품이다. 관람객들은 수평적으로 펼쳐진 을숙도 자연 환경 안에서 수직의 정원을 발견하고 미술관이라는 특정 장소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하며 자연과 교감하게 될 것이다. 패트릭 블랑은 단순히 식물을 벽에 설치한 것이 아니라 식물의 생태를 연구하여 상호 자생이 가능한 식물을 연결해 배치한다. 더불어 시각적 아름다움을 부각하는 작업을 통해 식물의 본성을 넘어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표현한다. ...(중략)... * 환경과조경 365호(2018년 9월호) 수록본 일부 전시명2018년 부산현대미술관 개관전 ‘수직 정원: Vertical Garden’ 전시 작가 패트릭 블랑 전시 기획 류소영 학예연구사(부산현대미술관) 위치 부산시 사하구 낙동남로 1191 부산현대미술관 외벽 면적1,300m2 설치2018. 3. 6. ~ 2018. 4. 16. 완공2018. 6. 사진 부산현대미술관 패트릭 블랑(Patrick Blanc)은 파리에서 태어났고, 여전히 파리에서 살고 있다. 수족관을 조성해 애완용 열대어를 키우며 10대의 대부분을 보냈는데, 수족관 물을 여과하기 위해 필로덴드론 뿌리를 사용한 것이 그의 첫 수직 정원이었다. 프랑스국립과학연구원(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에서 열대 우림 하층 종의 적응 전략을 연구해 1993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식물학상을 받았으며, 1988년과 1996년에는 수직 정원 개념을 발전시켜 특허를 취득했다. 대표작으로는 파리 카르티에 재단 현대미술관의 수직 정원이 있다. 류소영은 파리 1대학 공간장소전시네트워크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동대학원 디자인과에서 미디어 석사 과정을 마쳤다. 파리 8대학에서 동시대 미술이론을 수료했으며, 파리의 갈리 피에르-알랭 샬리어(Galerie Pierre-Alain Challier)와 대구미술관에서 근무했다. 현재는 부산현대미술관의 학예연구사로 재직 중이다.
    • 류소영 / 2018년09월 /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