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북경 옥천 공원(玉泉公園)
    계획의 배경2002년 북경시 "만미녹지"(万米綠地 년 일만㎡씩 녹지 확보 시민운동으로, 녹지와 녹지와의 연결 기능을 목적으로 함) 사업에서 완성한 제일 큰 도시 공원이다. 면적은 약 220000㎡로서 자금성안 중산공원의 규모와 비슷하며 지난해 준공 기념으로 이곳에서 국제 조각전이 개최되었다. 생태, 경관, 시민건강 등 3개의 기능을 갖춘 문화 휴식공원으로 북경시 장안거리 서쪽 연장선에 위치하고 있다.천안문을 중심으로 서쪽 석경산구의 동쪽 끝으로 주변의 녹화율이 높고, 경치가 좋아 공원과 도로 경관의 연속, "백리장가"(百里長街, 천안문 좌우 42km 직선도로인 동·서 장안거리를 지칭함) 시작점의 경관제고 등을 고려하여 공원 건설계획사업에 포함시키게 되었다. 아울러 뒷면 도로변의 미개발지구와 불량한 공장시설들을 차폐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안이기도 하다.이용객을 위한 12개의 경관구(景觀區) 와 동서남북으로 뻗은 두개의 축선을 중심으로 한 옥천공원의 탄생은 조경문화건설의 출발점이자 북경도시 환경 개선의 주목받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된다. 공원내 주요 공간북쪽 주입구 옥천광장 양쪽에는 노인과 아동들을 위한 도연원(陶然園)과 소하원(小荷園) 공간을 배치하여 휴식광장, 비 동력 놀이기구 등을 설치하였다. 녹음수로서 은행나무 열식에 9개의 화강암 석주가 둘러싸고 있어 가로변 광장으로서의 위치를 강조하고 있다.입구를 들어서면 "봄의 의식"을 주제로 한 선큰 형 문양 화단으로서 만훼원(万卉園)이다. 주경(主景)은 나비의 의미를 갖는 전시장으로 철 골재에 막구조의 현대적인 동감을 지니고 있다. 이 곳을 지나면 6000㎡의 호수 면에 반사되는 모습과 대형 음악분수가 한 폭의 그림을 만들어 주는 미래 광장이다.남쪽 끝 후문에는 "수마의 계시"(數碼의 啓示 Bar code를 주제로 한 추상조각으로서 투시벽 기능을 하고 있음) 반원형(弧形)의 광장으로 이루어져 남북의 주 축선을 갖추고 있다.혼경원(婚慶園)은 공원의 서남쪽 끝에 위치하며 목제데크, 장미와 오동등 경축을 뜻하는 식물들이 식재되었다. 높이 5m정도의 동산을 조성하여 무대를 설치하였고 국포원(菊圃園)이라는 별칭으로 시민들의 문예활동에 재미를 덧붙였다. 이와같은 지형변화는 공원밖 불량공장시설을 차폐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였지만 부감경(俯瞰景)의 효과로 수평적인 도시경관에 부대적인 변화를 얻게 되었다.동서축의 서쪽끝은 대형 서비스 센타를 건설할 예정으로서 전정은 연못과 잔디밭이 교차한 축선광장으로서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한 "청리원"(廳 園)이다.서북쪽은 춤과 무예를 익힐 수 있는 국술원(國術園)으로 전통 무도를 위한 공간이다.특별히 강조되는 것은 공원을 가로지르는 붉은 포장의 유선형 조깅코스로 기대이상의 호응을 받고 있다.그 외에 14개 국가에서 온 138개의 현대 조각은 각 경관구(景觀區)에 분산되어 우아한 문화와 공원의 예술활동에 활력을 가해 주게 될 것이다.옥천공원은 "세개대표"( 선진적 생산력의 발전에 대한 요구, 선진적 문화의 발전방향 추구, 시민들의 근본적 욕구 충족을 목적으로 한)를 추구함에 있어 조경분야의 하나의 실천이며 "문화건원"(文化建園)의 사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하겠다.추가적인 계획 개념이나 설계 설명을 정리한다면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첫째, 공원의 성격과 기능은 장안거리와 주변의 도시환경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고,둘째, 국내의 각종 도시광장에 대한 비평과 의견들을 참조, 휴먼스케일의 공간감 조성을 전제로 하였다.이에 의한 구상단계에서는 우선 주축을 이룰수 있는 동선과 공간배분, 그리고 이용객을 위한 요구와 행태예측에 의한 편익시설 배치 등을 고려하였다.이를 실천하기 위하여1) 새로운 것의 창조, 즉 개성 있는 환경설계로서 조깅코스의 긍정적 도입.2) 새로운 수법으로서 공간의 에워싸임과 분할 기법.3) 처음 시도한 환경조각과 조경의 조심스러운 조화.4) 시설 관리 및 설비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 강구.5) "나비화원"主景 탄생과정에서 설계, 업주, 시공자들의 공통된 감각의 필요성 등을 강조하고 있다. 유수진 (劉秀辰 - 중국 북경시 원림국 부국장)장태현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김선희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3년, 유학생)(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 2003년07월 / 183
  • 한택식물원
    - 식물로 세계를 겨냥한다- · 위치 : 경기도 용인시 백암면 옥산리 산 153-1· 면적 : 20만 여평(공개면적 : 7만 여평)· 식재규모 : 700만주 (자생식물 2400종, 외래수종 3600종)· 개원일 : 2003년 5월 1일 식물을 모아 놓았다고 식물원은 아니다. 식물원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은 교정될 필요가 있다. 가든, 수목원, 식물원 사이의 위계를 놓고 보았을 때 식물원은 가장 높은 위계를 가진다. 나무, 꽃, 풀 등 식물의 모든 종이 체계적으로 포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b>종의 확보에만 걸린 24년</b>식물원은 다양한 종을 확보하는 것이 1차적인 기능이다. 식물원을 평가할 때 얼마나 다양한 식물종을 보유하고 있는가로 가름하는 경우가 많은 것도 바로 이런 이유다. 예를 들어 영국의 큐 왕립식물원(Royal Botanic Gardens, Kew)은 전세계 식물 2만 5천여종을 보유하고 있다.확보된 식물종을 생태적으로 전시해 주는 것도 식물원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 중 하나다. 수생식물은 수변에, 음지식물은 음지에 식재하고, 경쟁수종은 혼식을 피하며, 기후대에 맞지 않는 수종은 온실에서 관리하여 전시하게 된다. 그래서 식재지와 식재방법 등에 따라 월가든, 락가든 등의 매우 다양한 형태의 가든을 관람할 수 있게 된다.한택식물원은 이택주 원장이 지난 24년간 전국을 돌아다니며 발품을 팔아 온 집념과 노력의 결과다. 현재 자생식물 2400종과 외래수종 3600종을 확보하고 있는 대한민국 최대의 식물원이다. 외래수종은 외국에서 사들이면 되지만 자생식물은 전국의 산야를 헤집고 다니면서 직접 채집해야 했다. 그래서 자생식물에 대한 애착이 매우 깊으며, 현재 한택식물원이 자생식물로 유명해 진 것도 이러한 노력의 자연스런 결과일 것이다.용인시와 안성시의 경계를 이루는 비봉산(372m) 자락 20만평의 터에서 한국 식물의 미래를 가꾸어 가고 있는 한택식물원을 다녀왔다. <table width="400" align="center" border="0"><tr><td align="center"><img src="prephoto/dnp/200307hantaek.jpg" border="0"></td></tr></table><b>자연생태원</b>개원을 하여 방문객이 많아지면 식물의 훼손이나 도난 사건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한번은 식물원을 찾았던 방문객이 전화를 걸어 식물을 캐갔다는 것을 밝혀 온 적이 있단다.자생지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자생식물이 이곳 식물원에 전시되어 있는 것을 보고는 화가나서 훔쳐갔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택식물원이 자생식물 복원사업 등 많은 일을 하는 것을 알고 나서 식물에 대한 값을 보상해 주겠다고 자진신고를 한 사건이었다. 이렇게 자진신고를 하는 경우는 거의 드문 예라면서 식물에 대한 소중함과 방문객들의 절제된 행동이 요구된다고 전한다.자연생태원은 한택식물원에서 가장 중요한 곳이다. 이곳이 바로 1000여종이나 되는 자생식물을 전시해 놓은 곳이기 때문이다. 현재 식물원은 서원과 동원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서원은 자연생태원(동원에 위치)의 모태로서 현재 식물종 보호와 번식장소로 사용되고, 일반에는 개방되어 있지 않다. 자연생태원은 식물원의 동원 계곡을 옆으로 끼고, 기존의 소나무림과 참나무림을 보존하면서 잡목제거와 토양개량을 통해 지역별로 3∼5차에 걸쳐 생태환경을 고려한 식재를 하였다. 단일종 식재와 혼식의 방법으로 식재하여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맛을 느낄 수 있으며 자연생태원 숲길을 지나 식물원의 높은 곳에 위치한 전망대에 올라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식물원의 멋진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다. <b>월가든과 암석원</b>전망대의 아래쪽으로 기존의 절개지와 급경사지을 이용하여 월가든이 조성되어 있다. 이곳은 돌을 쌓아올리면서 돌틈 사이에 식재를 하는 방법이 조성되었다. 돌쌓기는 우리의 전통적인 기법인 바른층 쌓기를 하였으며, 올려다본 모습이 마치 성곽을 보는 듯 하다.그 아래로는 암석원이 조성되어 있다. 이곳의 조성을 위해 1998년부터 암석원의 식물 채집 및 번식이 시작되었으며, 서향으로 인한 양지의 입지상 지열이 높아 암석원의 표토층 밑으로 배수로를 만들어 항상 물이 흐르게 하였고, 중간 중간에 관목을 식재하여 그늘을 만들어 주었다. 이 결과 500여종이나 되는 고산성 식물의 식재가 가능해 졌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서초 극동 삼성래미안
    · 위치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682번지· 대지면적 : 45,939· 조경면적 : 15,268· 세대수 : 1,129세대· 시공사 : 삼성물산 주택부문(조경담당 정재욱 대리)· 조경설계 : 김종해조경설계(주)(대표 김종해)· 조경시공 : (주)고운조경(대표 이주호, 현장소장 이재동) 한남대교를 지나 경부고속도로를 따라 내려가다보면 반포인터체인지를 조금 지나서, 도로 오른쪽으로 경사가 급한 녹지 상부에 삼성 래미안아파트가 자리하고 있다.서초 극동 래미안아파트는 조합원 구성으로 만들어진 곳으로 주민들의 요구와 설계의도를 조율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많은 세대가 공유할 수 있어야 하는 이번 설계에서는 높은 단차를 극복하면서 주민들의 행복지수를 얼마나 높여줄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이 해결점을 찾아가는 키워드였다. 이 단지 공간설계의 가장 큰 매력은 중앙에 대단위 녹지가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넓은 잔디면 위 가장자리는 소나무 군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전체적으로 정갈하고 고즈넉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그리고 부지 경계와 접한 시설녹지부분 녹화를 구청과 협의하면서 단지와 연계한 점도 특징이다.당초 시설녹지의 수림을 살리고 싶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아카시아, 참나무류, 낮은 잡목들이 방치되어 있었던 현장의 시설녹지 상태에서 기존의 큰나무는 존치시키면서 산책로를 조성하여 산딸나무, 벚나무, 무궁화, 스트로브잣, 중국단풍, 소나무, 메타세콰이아, 화관목 등을 심었다. 지금은 그리 크지 않은 이 나무들이 세월이 지나면 풍성한 방풍림과 경관림이 될거라 기대해 본다. 중앙공원부지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며 대단위 잔디밭과 소나무 군락으로 조성되어 정적이고 고요한 아침에 소나무 사이로 이슬이 내리는 풍경이 그려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1층부 필로티 사이로는 동선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소나무 숲 사이로는 휴게시설을 두었다. 휴게시설은 상부를 열어주어 개방감을 주었고, 대적송 아래에는 휴식의 장소를 마련하여 소나무 가지 사이사이로 푸른 하늘을 바라볼 수 있도록 했다. 중앙광장중앙광장은 노인정, 유치원, 관리시설 등이 자리한 앞쪽에 위치하며 피로티를 통하여 중앙공원을 바라볼 수 있는 일직선상에 있다. 작은 수반을 중심으로 넓은 광장을 두었고, 팔각 정자와 괴석, 낮은 화목류가 어우러져 있다. 중앙공원에 비해 동적인 흐름이 발생되도록 구성하였으며, 노인층과 유아층의 자연스러운 만남을 도모하였다. 유치원생의 놀이시설도 뒤편에 자리잡고 있다. 문화·정자마당문화마당은 삭막한 아파트 거주환경을 완화시키기 위한 환경조형물을 중심에 설치하고 가장자리에 느티나무를 식재해 그늘을 드리워 휴식의 장이 되도록 하였으며 동선의 원활한 흐름을 유지할 수 있는 포장면을 두었다. 또한 정자마당은 중앙에 휴게용 정자를 두고 주변에 대형 느티나무를 식재하여, 아파트 측면의 수직선을 완화시키며 휴먼스케일에서 녹음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김 종 해 Kim, Jong Hae · 김종해조경설계(주)(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 2003년07월 / 183
  • 신구대학식물원
    · 위치 :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산 121번지 외 13필지· 면적 : 전체면적 49,393㎡, 1차 조성 면적 : 14,941평· 설계 : 삼성에버랜드(주)· 시공 : 삼성에버랜드(주)· 공사기간 : 2001. 11. 30 ∼ 2002. 11. 30· 개원일 : 2003. 5. 20 8가지 테마로 구성된 공원 같은 식물원신구대학식물원(원장 황경선, 신구대 도시원예과 교수)을 방문하고 든 생각은 기존의 식물원과는 달리 곤충생태관, 어린이정원, 계절초화원 같은 다양한 시설들이 아기자기하게 모여 공원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보통 식물원하면 갖가지 희귀한 식물종이나 수목이 한 장소에 모여 심겨있고, 그 앞에는 팻말이 붙어 있어 길을 따라 가며 식물을 감상하는 모습을 떠올리게 된다. 그렇지만 신구대학식물원은 처음 진입부터 이런 기존의 이미지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서양정원이 신구대학식물원으로 진입하면 처음 만나게 되는 공간이다. 기존의 단차가 있는 지형을 이용해 앞쪽에는 분수와 함께 프랑스의 평면기하학식 정원을, 뒤쪽에는 이탈리아의 노단식 정원을 조성해놓음으로써 식물원의 진입부에서 독특한 서양정원 양식을 접할 수 있도록 조성되었다.곤충생태관은 노단식 정원에서 안쪽으로 걸어 들어가면 만나게 된다. 유리 온실로 지어진 곤충생태관의 실내에는 외곽으로 녹지를 조성하고 화관목을 심었고, 나비를 방사해놓았다.덕분에 안으로 들어서면 다양한 종류의 나비가 허공을 떠다니는 모습을 자연스레 몸으로 체험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딱정벌레등 여러 가지 곤충을 전시해 이곳을 찾는 어린이들에게도 직접적인 환경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계절초화원에서는 봄, 여름, 가을 계절별로 아름답게 피어나는 꽃을 감상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화초와 화관목류를 식재해놓았다. 또한 한켠에는 분수가 조성되었고, 휴식을 할 수 있는 작은 공간도 마련되어 있는데, 계절초화원은 식물원 내 거의 유일한 건물이라 할 수 있는 에코센터의 전정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어린이정원은 계절초화원 옆에 위치하며 나비정원, 잠자리정원 등 곤충모양을 바닥에 형상화한 소정원과 관목에 의한 미로원, 목재로 된 놀이데크 등이 조성되어 어린이들이 자유스럽게 뛰어 놀며 꿈과 상상력을 키울 수 있도록 했다.에코센터는 1,000㎡의 넓이에 높이 19m의 온실 건물로 특이한 외형으로 멀리서도 눈에 잘 띄인다. 온실인만큼 대나무 등 남부지방에서 서식하는 식물을 중심으로 다양한 식내 식물이 식재되어 있다. 또한 지하에는 시청각강의실, 전시실, 환경체험학습실 등 교육시설이 마련되어 신구대학 도시원예과, 조경학과의 강의도 진행되고 있다.나무놀이터에는 여러 단의 높낮이가 다른 데크가 연결되어 어린이들이 데크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했는데, 이는 어린이들의 신체활동을 왕성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한켠에는 끈을 잡고 매달려 오르기를 할 수 있는 배 모양의 놀이시설도 설치되었다.허브원에는 인간생활에 유용한 약초, 향미채소, 향신료 등 갖가지 허브를 심어놓았다. 백리향, 로즈라미, 라벤더, 페퍼민트 등의 향을 느낄 수 있다.철쭉원은 식물원의 진입부에서 우측으로 난 산책로의 옆쪽 경사면에 조성되었다. 산철쭉, 진달래, 꼬리 진달래, 참꽃나무 등 다양한 종류의 철쭉이 한자리에 모여 선보일 예정이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