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개요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얼핏 들어본 적은 있지만 크게 관심을 가져본 적은 없는 듯하다. 기본적으로 기능이나 기술이 중요하다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스포츠처럼 대중의 인기를 끌기 보다는 관심 있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만 조용히 알려져 있는 탓일 것이다.때문에 우리나라가 기능올림픽에 오랫동안 참가해왔고, 그동안 14차례나 우승하는 등 선전했다는 사실과 기능올림픽대회에 조경의 시공기술을 경쟁하는 조경직종이 있고, 또 거기에 참가한지가 얼마 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아는 조경인들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다.국제기능올림픽은 우리에게 많은 의미와 기회를 던져준다고 생각되는데, 그야말로 기능과 기술을 겨루어 각국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장으로서, 우리나라 조경시공의 기술을 세계에 알리고 인정받을 수 있는 자리이자 해외의 기술을 배워볼 수 있는 열린 장이기 때문이다. 국제기능올림픽대회국제기능올림픽대회는 1954년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가 설립되어 2007년 현재 48개 회원국이 가입되어 있다. 1971년까지는 매년 대회를 개최하였고 1973년 이후 2년마다 대회를 개최한다. 대회의 목적은 첫째, 회원국 청소년간 기능교류로 기능수준 향상 및 기능개발을 촉진하고, 둘째 직업훈련제도 및 방법 등의 정보교류 등이다. 현 사무국 소재지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Amsterdam)에 위치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참가 목적 및 참가현황우리나라는 회원국 청소년간의 상호 기능교류로 국내 기능수준을 향상·촉진하고, 회원국 상호간에 이해증진을 도모하며, 직업훈련제도 및 방법 등의 정보교류를 목적으로 지난 1967년 대회부터 참가하고 있다.1966년 10월에 국제기능올림픽 조직위원회에 회원국으로 가입하였으며, 1967년 7월에 개최된 제16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첫 출전(스페인)하였다. 이후 1978년 8월에는 제24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부산에서 개최하였고, 2001년 9월에는 제36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를 서울에서 개최했다.한국은 제16회 대회 때부터 참가하였으며, 제17·19회 대회에서는 종합성적 3위, 제21·22회 대회에서는 2위를 차지하였고, 제23회(1977년) 대회에서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로부터 한국은 연승을 기록하여 1993년 타이완 대회에서 2위를 차지한 것을 제외하고 1977년 제23회 대회부터 2003년 스위스 장크트갈렌에서 열린 제37회 대회까지 우승을 이룩하는 대기록을 수립하였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 2007년09월 / 37
  • 올림픽공원의 월별관리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2007년09월 / 37
  • 이용호 수원시 녹지공원 과장
    수원시의 중앙에는 팔달산이 솟아 있고, 북쪽에는 광교산맥, 서쪽에는 여기산이 있다. 이들은 천혜의 녹지축으로서 경관이 수려해 많은 사람들의 발걸음이 끊기지 않고 있는 한편, 생태환경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 또한 높았던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최근 수원시에서는 광교산 종합관리를 내놓아 푸른산, 푸른도시를 만들기에 발벗고 나서게 된 것이다. 광교산 종합관리는 2010년까지 약 1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녹지공간의 확충, 등산로 정비 등 생태적 환경 개선을 주요골자로 하며, 수원시 녹지정책에 새로운 전환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번 호에서는 수원시의 녹지와 공원계획을 담당하고 있는 이용호 녹지공원과장을 만나 광교산 종합관리 사업내용을 비롯한 미래 수원시의 녹지계획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최근 수원시에서 광교산의 생태복원과 관련한 ‘광교산 종합관리대책’을 발표하였는데 그 내용은? 광교산은 수원시의 보배이자 전국의 명산이다. 주말 같은 경우 하루 3~4만명, 많은 경우 5만명의 입산객들이 이곳을 찾는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곳보다 산림의 훼손도도 심하고, 생태와 관련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은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입산통제와 같이 극단적인 수단을 사용하게 된다면, 시민들의 휴식과 여가활동에 제한을 가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산림보호에 대한 계몽운동을 전개하는 동시에 산림의 부분 휴식년제 실시라는 방법을 채택하여 양극 간의 절충점을 찾으려 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체 42개의 등산로 중 생태적 가치가 높은 곳을 제외한 12개 노선을 주요 노선으로 권장한다던지, 데크 활용을 통해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 조경사업을 전반적으로 진행하면서 조경부문에서, 그리고 특히 시공부문에서 개선해야 할 점들에 대해? 진정 올바른 공원조성을 위해서는 그 지역의 환경과 역사성과 조화되는 조경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눈앞의 이익을 쫓기보다는 시민들이 이용, 애용하는 녹지를 보전시키는 시공, 설계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시민들의 이동 동선을 체크해보는 것이 선결과제이고, 이를 바탕으로 마스터 플랜과 이동 동선을 고려한, 녹지와 시설물을 배치하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는, 녹지를 조성한 후에야, 건축, 시설물들을 설치한다. 우리도 전체의 프레임안에서 조화를 맞추어야 하고, 단위시설물 하나에 집중하여 전체의 균형을 깨뜨리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 / 2007년09월 / 37
  • 화살나무
    화살나무는 줄기에 붙는 화살 모양의 코르크질이 이색적으로 아름다워 꽃꽂이에 가장 많이 쓰인다. 키 작은 나무 특유의 귀여운 수형도 아름답지만 만들어 붙인 듯한 지느러미 모양의 날개가 묘하게 돋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나무는 잎이 무성한 봄과 여름보다 앙상한 가지를 드러내는 나목(裸木)의 계절에 진면목을 볼 수 있어 삭막한 『겨울정원의 마스코트』로 귀여움을 받고 있다. 또한 눈이 내릴 때는 가을에, 붉게 물든 단풍과 꽃으로 착각할 정도로 아름다운 선홍색의 루비 같은 열매 그리고 화살모양 같은 즐문형(櫛文形)가지에 쌓이는 설화(雪花)가 매우 아름답다. 1. 특성 전국의 산야에 자생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높이 3m정도 자라며, 표고 1,700m 이하의 산기슭 혹은 산복의 암석지에 자라고 지리적으로는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진달래, 산철쭉, 싸리와 함께 혼생하며 큰나무 아래나 햇빛이 들지 않는 음지에서도 잘 자라고 추위와 건조에도 잘 견디나 토심이 깊고 적윤한 비옥지를 좋아하며 해변가에도 강하나 대기오염에는 좀 약한 편이다. 줄기에 코르크질 날개가 있어서 화살나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짧으며 계란모양의 타원형으로 길이 3~5cm이다. 꽃은 잎자루사이에서 3개씩 달리고 5월에 황녹색으로 지름 1㎝의 작은 꽃이 은은하게 피며, 꽃잎, 꽃받침, 수술은 각각 4개이다. 열매는 10월에 붉은 색으로 익으며, 12월까지 나무에 달려있고 종자는 황적색 종의로 싸여있다. 유사 종으로는 가지에 날개가 없는 것을 회잎나무(for. ciliato dentatus). 잎 뒷면에 털이 있는 것을 털화살나무(for. pilosus Ohwi), 잎 뒷면 맥위에 돌기가 있고, 열매가 크며 끝이 뾰족한 갈고리가 있는 것을 삼방회잎나무(for. uncinata Nakai)라고 한다. 2. 조경수로써의 활용 키 작은 나무 특유의 귀여운 수형도 아름답지만, 만들어 붙인 듯한 지느러미 모양의 날개가 묘하게 돋보인다. 그래서 이 나무는 잎이 무성한 봄과 여름보다 앙상한 가지를 드러내는 나목(裸木)의 계절에 진면목을 볼 수 있어 삭막한 『겨울정원의 마스코트』로 귀여움을 받고 있다. 또한 눈이 내릴 때는 참빗모양의 즐문형(櫛文形) 가지에 그대로 쌓여 아름다운 설화(雪花)를 만든다. 또한 가을의 불타오르는 듯한 붉은 단풍이 일품이다. 가을의 문턱에 들어서면서 물들기 시작하는 이 나무의 긴 타원형 잎은 첫 서리가 내릴 무렵이면 손을 대면 물감이 묻어날 듯 단풍이 붉게 물든다. 12월까지 가지에 달려있는 열매도 관상가치가 높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어느 곳이나 식재가 가능하며 큰 나무 아래에서도 잘 자라고 성장도 빠른 편이나 대기오염에는 약하다. 그러나 도시의 공원수나 가정의 정원수로 많이 심고 있다. 정원이 좁은 주택에 사는 도시민들은 이 작은 나무 한 그루를 심을 경우 봄에는 꽃, 가을에는 단풍과 열매, 겨울에는 즐문형 가지에 이색적으로 달리는 화살모양의 가시와 설화 등을 철따라 감상할 수 있다.
<<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