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여름
    태풍 피해와 대책수목 식재 후 봄 가뭄을 잘 이겨내고 나무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을 때 장마, 태풍 등 기상 요인은 식재 수목에게 고비가 된다. 일주일에서 보름 이상 지속되는 장마 기간에 토양은 과습하게 되고, 물리성이 나쁜 토양, 배수 시설불량 지역, 불투수층은 수목 생육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수목의 생육에 좋은 토양은 배수가 잘 되면서 수분을 보유할 수 있도록 토양알갱이와 알갱이 사이의 공간(수분과 공기가 존재)이 적절하여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의 토양은 장마 기간에 더 많은 피해가 나타난다.장마 기간이 지나고 나면 한 두 차례 태풍이 찾아온다. 강한 바람은 큰 가지를 부러트리거나 뿌리째 쓰러지게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쓰러진 나무를 다시 세워 심더라도 고사될 수 있으므로 재식재 하였을 때 회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전문가의 식견도 필요하다.장마 기간의 잦은 비, 강풍으로 인한 피해 사례를 주변 환경과 관련하여 살펴보고 그에 따른 대책 및 예방법을 찾아 수목의 피해를 최소화하여 하자 발생을 줄이고 수목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배수 불량 및 과습 토양의 정비홍수로 인하여 40cm 높이로 10일간 침수되었을 때 자작나무, 층층나무, 벚나무, 아까시나무, 가문비나무, 주목, 서양측백나무 등이 죽는 것을 1972년 뉴욕에서 관찰한 기록이 있을 만큼 수목은 배수 불량에 극히 예민하다. 땅에 깊이 1.2m의 구덩이를 파고, 큰 비가 온 후 5일이 지난 후에도 물이 고여 있다면 배수에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2001. 조경수 식재관리기술).폭우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수목이 물에 잠겨도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진다면 수목의 고사를 줄일 수 있으므로 배수 시설의 정비가 중요하다. 수목이 물에 장시간 잠겨 있거나 배수가 잘 되지 않는 질척한 토양은 공기가 부족하므로 뿌리가 호흡할 수 없으며 점차 뿌리가 썩어 들어가 세근이 발근되지 않으므로 활착이 어려워지고 수세가 점차 쇠약해지다가 고사에 이르게 된다.점토질이 많은 물리성이 좋은 토양으로 개량하여야 하며, 배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배수 시설을 설치한다. 식재지 주변으로 뿌리분보다 낮은 깊이에 고랑을 파고 자갈을 채운 후 토사로 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부직포로 둘러싼 유공관을 묻는다. 터파기 깊이가 깊어 자갈을 채운 후 일반 토사로 되메우기를 할 경우에는 자갈층과 토사층 사이에 부직포를 깔아 입자가 작은 토양이 자갈 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 썬가이 롱 골프클럽
    SUNGAI LONG Golf & Country Club 화창한 날씨, 연녹색 잎과 다양한 꽃들로 치장한 필드는‘매경오픈’을 비롯한 각종 대회와 손님들을 맞느라 그 열기가 한창 뜨겁다. 곧 장마가 시작되면 그 열기도 한 풀 꺽이겠지만. 그래서 이번에는 우기가 한국과 반대여서 5. 9월까지가 여행하기 좋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로 안내한다. 이곳은 이슬람교가 국교이다. 그래서인지 동남아의 후끈한 더위를 고려해 볼 때 예상외로 옷차림들이 단정하고, 도시 자체가 정갈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필자도 이슬람 사원에서는 슬리퍼와 반바지를 가리느라‘차도르’를 입을 기회(?)도 있었는데, 그러한 종교, 문화의 차이가 오히려 흥미로웠다. 그리고 또 하나 기억에 남는 것은‘옥수수 타워’(?)이다. 수도인 쿠알라룸푸르 도심에 우리나라 건설 회사가 참여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일명 옥수수 타워,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Petronas Twin Towers가 초고층 건물의 위용을 자랑한다.
  • 한국 사찰의 수경관(1): 사찰과 수경관
    불교의 성립과 사찰의 초기 형식불교는 인도에서 발상된 종교이다. 불교의 창시자인 고타마 싯다르타Gotama, Siddhartha는 샤카족이 세운 왕국 카삘라와스뚜Kapilavastu의 숫도다나Suddhodana, 淨飯왕과 마야Maya, 摩耶왕비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마야왕비는 당시의 풍속에 따라 아기를 낳기 위해 친정인 콜리Koli성으로 가던 도중 룸비니Lumbini라는 동산에서 싯다르타를 낳게 된다. 불전문학의 전설에 의하면 마야왕비가 룸비니동산에 이르러 휴식을 취하던 중 꽃이 만발한 무우수無憂樹아래에 서서 나뭇가지를 잡는 순간 아기가 오른쪽 옆구리로 태어났다고 한다.싯다르타는 왕자로서 온갖 호화로움과 최고의 공경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그러나 그는 언제나 생로병사와 같이 삶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에 천착穿鑿했으며, 급기야 왕자로서의 삶을 버리고 출가, 구도의 길을 나선다. 싯다르타의 나이 29세 되던 해였다. 싯다르타는 출가 후 치열한 수행 끝에 깨달은 사람, 즉 붓다Buddha가 된다. 왕궁을 떠나 수행을 시작한지 6년 만이요,�그의 나이 35세 때였다.붓다가 된 싯다르타는 바라나시 근방의 사르나트Sarnath에서 비구를 대상으로 고苦와 낙樂의 양 극단을 떠난 중도中道의 길과, 고苦·집集·멸滅·도道의 사성제를 설하였다. 이곳에서 설한 최초의 가르침을‘초전법륜’이라고 하는데, 이 가르침이 바로 불교의 출발점이 된다. 이후 불교는 불佛·법法·승僧의 교단 구성 요소를 갖추고 새로운 종교로 출발하게 된다.불교가 종교로 출발한 후 지어진 최초의 수도원은 죽림정사竹林精舍이다. 죽림정사는 마가다국의 빔비사라Bimbisara왕이 불교에 귀의한 후 붓다와 그의 제자들을 위하여 라자그리하 근방에 있던 죽림동산에 집을 지어 붓다에게 기증한 것이다. 그 후 사위성Sravasti, 舍衛城의 대부호였던 수닷따Sudatta, 須達多장자가 불교에 귀의하고 제따Jeta 왕자 소유의 동산인 제따와나Jetavana,�祇園를 구입하여 그곳에 정사를 세워 기증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기원정사祇園精舍로서 불교 교단의 두 번째 근거지가 되었다.
  • Green Wall: Part 2. 에스펠리어
    ‘Espalier’라는 용어는‘받치다’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프랑스어이다. 에스펠리어 기법은 유럽 중세 시대부터 그 지역에서 이용되어 온 원예Horticulture의 한 개념이다.초기에는 녹화용 보다는 경작 시 생산량 향상을 위해 이용되었는데, 1차원적으로 자라는 나무를 유인해서 2차원적으로 만들어 놓으면, 평지 식재 효율이 향상되어서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높일 수 있는데서 착안된 방법이다. 자연 그대로를 보기를 좋아했던 우리 선조들은 시도하지 않았던 것이기에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한 개념이지만, 과수 농가에서 사과, 배, 포도의 재배 시에는 -용어는 칭하지 않았지만-흔히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이렇듯 처음에는 원예의 한 요소로 이용되었지만, 나무가 가진 무수한 잎은 2차원적으로 돌렸을 경우 벽면을 순간적으로 피복할 수 있고, 수고가 있기 때문에 높은 지역까지 녹화가 가능하므로, 현대에 들어와서는 에스펠리어 기법이라 하여 입면 녹화의 한 요소로 이용되고 있다. 에스펠리어의 조성을 위해서는 나뭇가지를 유인할 수 있는 지지 기반이 필요한데, 이에는 와이어, 펜스망과 같은 것이 있으며, 나무를 식재하기 이전에 미리 준비해 두어야 한다. 또한 원하는 형태로 가지가 유인된 나무를 준비해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지만 외국에서는 여러 가지 패턴이 있어서 이를 미리 유인해 놓은 나무들이 에스펠리어 조성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렇듯 미리 준비된 나무는 에스펠리어를 통한 빠른 녹화의 완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그 매력이 충분하다면 이런 식물의 준비를 포트 재배를 통해 이루어야 할 것이다.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시험작으로 몇몇 전시 공간에 식재되어 있으나 그 가치를 고려해볼 때 독립 건물이나 도심 속에서 활용하여도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 Green Wall: Part 2. 벽면장치형의 시공 및 관리
    입면녹화의 개념 및 현황입면녹화란 건축물의 벽면, 각종 울타리,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등의 수직면과 사면 등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수직면을 식물로 푸르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여러 방법들에 의해 다양한 식물로 덮여진 건축물의 벽면, 각종 울타리,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등의 수직면과 사면들을 Green plant Wall 혹은 Green Wall이라고 부른다.다양한 입면녹화 공법이 옛 부터 현재까지 개발, 이용되고 있는데, 평면 녹지 공간 조성 면적이 아주 부족한 현대 도시에서 녹지율 향상뿐만 아니라 쾌적한 환경 조성, 미관 향상을 위해서 매우 효과적인 녹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벽면장치형 그린월의 분류Green Facade건물이나 구조물의 전면에 덩굴성 식물을 식재하여 녹화하는 방법으로 아이비, 담쟁이 등과 같은 부착형 식물을 하부 식재하여 벽면이나, 코코피트면 등을 타고 올라가게 만드는 등반형과 벽면의 상부 또는 중간에 식재 기반을 설치하여 식물을 위에서 아래로 향하게 늘어 뜨려 벽면을 녹화하는 하수형으로 구분한다.가장 전통적인 방법이나 일부 덩굴성 식물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Green Wall벽면에 관수 장치 및 식재 기반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여 직접 식물을 식재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에 비해서 아주 다양한 초종의 식물을 선택할 수 있으며,�공기 정화,�온도 유지, 미관 향상 효과가 매우 높다.① 패널형: 플라스틱, 철재 틀 안에 경량 토양이나 섬유계 기반재를 충진하여 녹화 기반으로 만든 다음, 식물을 식재한다.② 포켓형:생태판넬포와 같은 식재 기반을 사용하여 포켓 모양 또는 Port형의 식재 기반을 만들고 여기에 식물을 식재하는 방법으로 식물의 관리 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방법이다.③ 매트형: 식재 기반이 일정 두께가 되도록 매트 모양으로 가공한 것을 사용하는 방법이다.④ 시트형: 식재 기반을 시트 모양으로 가공한 것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 Green Wall: Part 2. 등반형 및 하수형의 시공 및 관리
    2003년 인공지반녹화협회 설립 후 다양한 인공 지반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인해 국내외 의 다양한 녹화 시스템이 도입되었으며,이 중 입면녹화 기술은 식물이 살기에 척박한 국내 환경에도 불구하고 다양하게 발전하여 건축물의 실내외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하지만 이러한 입면녹화 방식들은 아직까지는 식물의 생육 한계, 설치·비용·유지 관리 빈도 등의 문제로 인해 현재까지는 가장 기초적인 입체녹화 기법인 덩굴 식물을 이용한 입면녹화의 시공이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본 고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일반인들이 흔히 알고 있는 입면녹화 기법인 덩굴식물을 이용한 입면녹화 공법에 대해 각각의 개요, 설치 조건,적용 가능 식물과 유지 관리 방법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먼저 건축물과 인공 구조물의 벽면이나 펜스 또는 아치,�퍼골라 등의 시설에 적용 가능한 입면녹화 기법으로는 덩굴 식물의 등반과 하수, 포복성 식물의 하수, 수목의 열식, 에스펠리어 등의 방법이 있으며, 식재기반의 위치에 따라 자연 지반에 직접 식재하거나 입면에 설치한 플랜터에 식물을 식재하는 방법 그리고 패널 등의 고형화된 식재 기반에 식재하는 방법 등이 있다. 각각의 방법에 따라 식물의 선택과 식재 기반이나 피복 촉진을 위한 보조 시스템과 녹화 후 유지 관리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식물의 생육 특성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입면녹화를 실현하기 위한 각 설치 기법별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등반형과 하수형 모두 덩굴 식물을 기본으로 이용하지만 식물의 자립 능력 여부나 보조 자재의 필요성 유무에 따라 등반형의 경우 부착형, 감기형, 기대기형으로 또, 하수형의 경우 부착형,�감기형,�포복형으로 세분화 된다.
  • Green Wall: Part 2. 입면녹화 유형별 형태 및 특징
    우리나라에서는 입면녹화 유형에 대한 몇 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지만 아직까지 입면녹화의 유형이 명확하게 분류되어 있지 않으며 정확한 용어나 분류에 대한 논의도 필요한 실정이다. 녹화용 식물종이나 녹화 대상지 및 녹화 방법에 따라서 입면녹화의 유형을 나누면 크게 등반형(벽면을 타고 올라가는 유형), 하수형(벽면 아래로 늘어지는 유형). 벽면장치형(녹화 벽면 부착형)과 벽면앞 식재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등반형에는 벽면을 스스로 타고 올라가는 흡착등반형과 벽면에 설치된 보조재를 타고 올라가는 보조재등반형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하수형에는 벽면의 아래로 자연스럽게 늘어지는 유형과 벽면에 설치된 지지재를 이용하여 아래로 늘어뜨리는 유형 등이 있다. 벽면장치형에는 식재 기반의 종류나 식재 형태에 따라서 플랜터형, 패널형, 흡착매트형, 이끼매트형과 블록설치형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벽면 앞 식재형에는 에스펠리어형과 수목열식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녹화 대상지나 녹화 방법에 따라 녹화 유형을 달리 부르거나 몇 가지 유형이 혼합되어 시공되는 경우도 있다. 본 고에서는 최근에 국내외에서 많이 시공되고 있는 입면녹화 유형을 중심으로 그 형태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Green Wall: Part 1. 우리나라 입면녹화 관련 제도 현황
    입면녹화 제도의 도입 배경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었다. 그 결과 도시 지역에서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녹지 공간이 부족해졌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원녹지 확충사업과 같은 다양한 도시 녹지 확충사업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도시 공간의 특성상 높은 지가, 녹지 조성 공간의 부족 등과 같은 문제로 자연 지반을 활용한 녹지 조성에 한계를 가지게 되었다. 이를 위한 해결 방안으로 서울시 등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옥상 및 벽면과 같은 인공 지반 녹화 추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물론 입면녹화는 도시화 진행 이전부터 보편적으로 이용되던 조경 기술의 하나로 미관 향상, 차폐,위장, 온도 저감, 벽면 보호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에서 응용되고 있었다. 동서양의 전통 조경에서 볼 수 있는 생울타리, 트렐리스 구조, 담쟁이 녹화,�에스펠리어 기법과 같은 사례들이 대표적이다.그러나 오늘날의 활발한 입면녹화 추진은 도시화에 따른 녹지 공간의 부족과 녹시율 확장 등과 같은 도시 환경 개선이 주요 배경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도시생태축의 연결과 같은 생태적인 측면에서도 입면녹화가 추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업의 체계적인 진행을 위해 1990년대 후반 이후 환경부, 국토해양부,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에서 이를 지원하거나 활성화하기 위한 기준, 지침, 조례 제정 등과 같은 다양한 행정적인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 Green Wall: Part 1. 입면녹화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 방안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구조물로 뒤덮인 도시에서 입면녹화는 소중한 녹화 공간의 또 다른 하나이다. 벽면녹화는 옥상녹화에 비해 면적의 확보가 용이하고, 보행자들의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는“보이는 녹화”로 주목을 받고 있다.최근 국내 벽면녹화는 등반보조재(메쉬형, 와이어형 시스템)를 이용한 녹화시스템에서 플랜트 복합형 시스템을 거쳐 초기 피복도를 극대화한 전면 피복 방식인 패널형 벽면녹화 시스템으로 급속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이는 단순한 녹화의 개념에서 에너지 절약형 건축 외피 구조로, 건축물의 의장성을 높이 기 위한 수단으로 생태적 기능을 담은 Living Wall개념이 도입되고 있는 것이다. 보다 완성도 높은 보여 주는 녹화 방식, 이른바 생활녹화로 일컬어지는 벽면녹화를 위해 각 기업들은 제품 개발과 함께 지속적으로 기술 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중에 있어 현재의 제품별 문제점을 제기하기보다 자연 환경 조건의 특수성, 즉 바람(정압, 부압)과 이로 인한 식물의 건조, 온도의 열악(여름 고온, 겨울 저온, 벽체의 재료상 금속재 및 콘크리트, 돌, 타일, 표면 색상 등이 열흡수율이 매우 높은 자재이거나 흑색계열임), 일조량(남사면, 부사면) 등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다.이에 현재 벽면녹화 시장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우위에 있는 패널형 녹화 시스템으로 구성된 제품을 대상으로 기준이 될 수 있는 일반 사항과 소요되는 자재, 시공 및 유지 관리상 유발되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 Green Wall: Part 1. 입면녹화의 경관 이미지를 고려한 계획
    도시는 높은 밀도의 개발로 유효 대지가 부족하게 되면서 녹지 조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지가가 비싼 도심에서 녹지 조성을 위한 공간 확보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건축물과 도시 구조물을 활용한 녹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옥상 및 벽면의 녹화를 통하여 녹지 확보와 에너지 절감,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다양한 정책이 시행 중에 있다. 그러나 현재 벽면녹화는 에너지 절감 효과 및 도시 온난화 저감 효과 도시 홍수 예방 생태 환경 개선 등 물리적 환경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양적인 증가를 도모하고 있으며 경관적인 측면에서 계획은 거의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벽면녹화는 건축물이나 구조물에 수직적으로 조성되는 녹지로서 구조물 입면의 미관 개선과 함께 가시성이 높아 공간에 대한 이미지와 도시 경관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 도시민의 심리적 측면까지 작용하여 도시 생활의 질과도 관련이 있다. 따라서 녹지가 부족한 도심에서 벽면녹화는 가로 경관 및 환경 개선에 효과가 크고 도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녹화 방법이다. 그러나 자칫 제대로 조성되지 않은 경우 오히려 입면녹지는 도시의 경관성을 저하시켜 건축물 및 공간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각인시킬 우려가 있다. 현재 벽면녹화의 기술 개발로 다양한 수종의 도입이 가능해졌으며 단기간 내에 피복률을 높이고 식물의 고사율을 낮추는 등 생육 기반에 대한 기술적 토대가 마련되었으나 관리 부족과 잘못된 식재 등으로 녹화 효과가 저감되어 오히려 경관을 저해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벽면녹화 조성 시 경관에 대한 계획 및 검토와 함께 경관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벽면녹화의 경관 형성 요소들과 조성 방식 및 식물에 따른 경관적 특성에 대하여 파악해야 할 것이다.
<<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