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에코가이드 벽면녹화 시스템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8월 / 24
  • 배수계획(The Drainage Plan) (3) - 지상배수로 설계
    이번호에서는 지난호에 이어 배수계획의 일환으로 표면 유출량 처리를 위한 지상배수로 설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지상배수로는 보통 초지로 조성되는데 공원이나 골프장 또는 시골 길 옆 등에서 주로 만들어진다. 초지로 된 배수로는 일반적으로 집수구역 150acre 이하에서 만들어지고, 보통 경사도 1-10%로 설계된다. 배수로가 적절하지 않게 설계되거나 유지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환경적으로 침식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조경가(단지계획가)는 초지 배수로를 만들 때에 환경적으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끔 설계 하여야 한다. 지하배수로 설계 과정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요약된다.The process of designing a ditch is trial and error. It involves selecting trial cross sections and testing them to see if they will be big enough and operate within acceptable velocity limits. 배수로의 설계는 시행착오 과정에 의해 진행된다. 먼저 수로의 단면적을 결정하고, 그 단면적을 선택했을 때 유속을 알아본다. 유속이 허용범위 안에 들어가면 그것으로 결정되고, 허용범위 안에 들어가지 않으면 다시 허용범위에 들어가기 위한 작업을 반복하여야 한다. 여기서 유속의 허용범위란 환경적으로 문제가 되는 침식이 일어나지 않는 물의 속도를 말한다. 그런데 허용유속은 지표면의 식생상태에 따라 달라진다.에서 보면 토성(Soil Texture)과 배수로 초지상태에 따라 허용유속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초지로 된 배수로는 허용유속이 2-4 ft/sec일 때 침식과 같은 환경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더 빠른 유속을 허용하기 위하여는 배수로 식생상태가 더 양호하여야 한다. (본 고는 요약문입니다)
  • 라운드 녹지 경계석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8월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