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강남보금자리주택지구 5단지 강남보금자리주택지구 3, 4, 5단지
    3, 4단지는 건축 개념을 강화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방향에서 조경이 이루어졌다면, 이곳은 중정으로 인해 생긴 많은 면적을 적극 활용해 건축을 넘어 주변 자연의 맥락을 연장하는 독자적인 정체성을 확보했다. 5단지의 조경 계획은 대모산의 자연을 끌어들여 자연친화적인 다섯 색깔의 중정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조형적인 디자인보다 식물이 가진 특징을 도드라지게 함으로써 특색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5개 동은 식물의 밀도와 포인트에 따라 푸른마루원(501동), 아름드리원(502동), 몽돌암석원(503동), 풀꽃한들원(504동), 맑은숲원(505동)이란 이름의 정원으로 꾸며졌다. 잔디언덕에 누워 바람을 맞고(푸른마루원) 아름드리나무 밑에서 휴식(아름드리원)을 취한다는 개념이 담겨 있다. 또한 맨발로 산책(몽돌암석원)하며 꽃 내음(풀꽃한들원)을 즐기고 숲에서 맑은 기운(맑은숲원)을 마신다니 매우 낭만적이다. 허나 설계에 비해 과하게 설정돼 동의하기 어려운 개념도 있고, 원래 개념과 유사하게 시공을 했지만 재료가 달라져 온전한 느낌을전달하지 못하는 공간도 있다. 일부만 현실로 체험할 수 있어 아쉽다. 아름드리원은 경과를 지켜봐야 알겠지만, 개념을 우선으로 생각해보면 초점식재에 무게감을 더 실었으면 분위기가 농익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혹은 이 개념을 공용 공간에 적용해 정자목을 심었다면 커뮤니티를 활성화하는 데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공용 공간이 건축 프레임으로 한정되다 보니 개념을 설정하는 데 있어 제한이 생기지 않았나 싶다. 조경설계현대건설, 그룹한 어소시에이트 조경시공현대건설, GS건설, 한화건설, 도원이엔씨, 온유조경 건축설계Architect Cie 건축시공현대건설 대지면적70,100m2 완공2015. 6.
  • 보태니카 카오 야이 Botanica Khao Yai
    보태니카 카오 야이Botanica Khao Yai는 태국에서 가장 중요한 국가 지정 삼림 보호 구역인 카오 야이의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대상지는 버려진 농업 지대였다. 대상지의 앞쪽으로는 지방도가 지나가며, 뒤쪽으로는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야트막한 산이 바로 앞에 자리하고 있다. 대상지는 크게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뉘는데 도로와 인접한 전방부는 주거 지역이며, 산과 마주보고 있는 후방부는 주거민 및 방문객들의 여가 활동을 위한 공원 부지로 설정되었다. 아담한 공간에 모든 세부적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일련의 주거 블록으로 구성된 ‘더 레지던스The Residences’를 마련해 경관 플랫폼 위에 배치했다. 블록A와 블록B로 각각 명명된 두 동의 6층 건물은 두 구역의 경계선을 따라 위치한다. 블록B가 단순한 형태의 6층짜리 주거용 건물인 것과는 대조적으로 블록A는 다소 복잡한 성격을 갖고 있으며 V자 형태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블록A의 일부 건물의 경우 전체 6개 층이 산 방향을 바라보며 모두 겉으로 드러나 있는 반면, 대상지의 앞쪽을 향하고 있는 건물 일부의 경우 지면으로부터 약 4개 층 만큼 위로 솟아 있어 상층부의 2개 층만이 존재하는 구조다. 이처럼 최상층부에 자리 잡고 있는 공간들은 거대한 콘크리트 기둥 위에 건설되는데, 덕분에 아래쪽에는 상당한 크기의 공지가 남게 되었다. 건축물 자체가 현대적이고 기하학적인 디자인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카오 야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매우 유사한 분위기를 대상지에서 감지할 수 있었다. 각각의 건물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갖고 있으며, 몇몇 건물의 경우 높은 기둥 위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대상지 전역에 걸쳐 상당히 다양한 채광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채광이야말로 이곳에서 숲과 같은 경관을 재창조하기 위해 활용한 가장 중요한 요소다. 기둥 위 높은 곳에 위치해 마치 부유하는 듯한 인상을 주는 건물은 거대한 나무숲을 연상시킨다. 각각의 기둥은 이런 나무의 몸통과 얼추 비슷한 크기를 지녔으며, 기둥 위의 건물은 흡사 캐노피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기둥 아래쪽의 공간은 우리가 나무들 아래에서 발견했던 여건과 상당히 비슷했는데, 햇빛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자연은 이처럼 혹독한 환경에서도 나름의 살 길을 찾아 생존하고 있었다. 이러한 자연 조건을 모방해 그늘진 공간에 녹색 지형을 창조해냈다. 숲에서 발견할 수 있는 토착 양치식물을 이러한 지형을 덮는 데 활용했으며 ‘양치식물의 언덕Fern Hills’이라는 이름으로 명명했다. Landscape ArchitectT.R.O.P.(terrains+open space) Lead Landscape DesignerPok Kobkongsanti Project TeamPeerasit Sangwanloy, Chanchai Wimonsirichotikun ArchitectVin Varavarn Architects Co., Ltd. Interior DesignerDefi ne Studio Co., Ltd., Mada Design Factory Co., Ltd. Structural EngineerQbic Engineering and Architect Co., Ltd. M&E EngineerThanavit Design & Engineering Co., Ltd., Water Thai TechCo., Ltd. ContractorGrand Frame Co., Ltd. LandscapeContractor Invention Green Co., Ltd. Lighting DesignerTruelight Co., Ltd. ClientThe Scenical Development Company Limited LocationKhao Yai, Thailand PhotographerPirak Anurakyawachon, Aranyarat Prathomrat
    • T.R.O.P. / T.R.O.P. / 2015년08월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