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생명의 나무 Tree of Life
    장엄한 대나무 바오밥 자르뎅 드 바빌론은 대나무 주위에 놀라운 공간을 상상했다.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 내에 자연의 오아시스로 정원이 구현되었다. 콘크리트와 환경 오염, 도시의 끝없는 소음은 평온과 경이로움의 장소를 필요로 한다. 이곳은 위안의 장소로서 평온함을 가져온다. ...(중략)... Designer Amaury Gallon(Jardins de Babylone) Creator Jardins de Babylone Realization 2013 Photographs Jardins de Babylone * 환경과조경 359호(2018년 3월호) 수록본 일부
    • Jardins de Babylone / Jardins de Babylone
  • 그린 버블 Green Bubble
    자연에 가까운 휴식을 위해 자르뎅 드 바빌론은 네덜란드 화훼 사무소Office Hollandais des Fleurs의 의뢰로 파리 시내 네 곳, 콜레트 광장Place Colette, 몽파르나스 역Gare Montparnasse, 쿠르 생테밀리옹Cour Saint-Emilion, 생제르맹데프레 광장Place Saint Germain-des-Prés에 그린 버블을 설치했다. 장소마다 각기 다른 초화류를 식재하여 장소별로 독특한 분위기를 조성했다. 프레스티지The Prestigious: 파리 국립극장 앞 콜레트 광장의 고귀한 분위기는 난초와 에스키난너스 자포로레피스Aeschynanthus japhrolepis (lipstick plant)로 만들었다. 정글The Jungle: 몽파르나스 역 앞의 정글에는 필로덴드론Philodendrons , 메디닐라 마그니피카Medinilla magnifica(showy medinilla), 네펜데스Nepenthes (벌레잡이통풀tropical pitcher plant)를 식재했다. 초현실Psychedelic: 쿠르 생테밀리옹에는 화려하고 붉은 베고니아, 갈색 초화와 브리에세아Vriesea, 네오레겔리아Neoregelia , 타카Tacca 와 같은 풍성한 초화가 선택됐다. Creator Jardins de Babylone Client L’office Hollandais des Fleurs Location 4 different places in Paris Realization 2010 Photographs Jardins de Babylone * 환경과조경 359호(2018년 3월호) 수록본 일부
    • Jardins de Babylone / Jardins de Babylone
  • 식물과 함께 일하는 것 자체가 경쟁력이다 아모리 갈롱과의 인터뷰
    자르뎅 드 바빌론Jardins de Babylone은 전통적인 조경 회사로 시작해 벽면 녹화, 식물을 활용한 인테리어 분야에서 독특한 디자인과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이는 아틀리에로 변화를 꾀하며 주목받는 회사다.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며 자르뎅 드 바빌론을 이끌고 있는 아모리 갈롱Amaury Gallon을 본지 프랑스 리포터인 박연미 씨가 인터뷰했다. _ 편집자 주 Q. 식물을 활용한 다양한 디자인을 하게 된 배경이 궁금하다. A. 2004년 프랑스 몽트뢰유Montreuil에서 전통적인 조경 회사로 시작했다. 주로 개인 정원의 설계와 유지ㆍ관리를 하는 회사였다. 그러나 이미 형성된 시장에서는 특별한 경쟁력이 없으면 살아남기 힘들다는 것을 매우 빠르게 깨달았다. 이때 패트릭 블랑Patrick Blanc이 처음으로 시작한 예술적 벽면 녹화mur vegetal 분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2007년 가지고 있던 5만 유로(약 6,700만 원)를 전부 투자하여 파리에서 쇼룸이자 사무실인 현재 아틀리에를 열고 이 분야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었다. 초기 단계에서 많은 프랑스 조경 회사가 이 분야에 뛰어들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차별화하기 위해 방수 처리와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벽면 녹화를 위한 기술 특허를 내고 상업화를 시작했다. 무엇보다 이런 기술적인 안정성 때문에 많은 아티스트와 함께 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있었고 이를 통해 여러 디자인상(A’Design Award(2014), Acteurs du Paris Durable(2015), Paris Shop & Design(2016), Les Victoires du Paysage(2016) 등)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2009년 즈음에는 이 분야에도 새로운 경쟁자가 빠르게 나타났고 좀 더 혁신적인 분야로 변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꼈다. 이때 관심 가진 분야가 그린 디자인이었다. 정원을 설계할 때 건물 내부에 대한 의견을 묻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식물을 통한 인테리어 설계를 시작했다. 기존의 단순한 인테리어가 아니라 식물을 활용한 우리의 새로운 시도를 프랑스의 한 조경 잡지사가 주목했다. 프랑스에는 튈르리Tuileries에서 열리는 자르뎅 자르뎅Jardins, Jardin, 쇼몽 국제 정원 페스티벌Chaumont International Garden Festival 등 많은 조경 관련 축제가 있어, 새로운 디자인과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이는 장이 활성화되어 있다. 이 잡지사는 우리에게 매해 백지 수표를 주며 이런 박람회에 참여할 수 있게끔 했다. 이때 상업적 이익을 생각하지 않고 새로운 시도를 함으로써 그린 디자인 분야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우리만의 디자인을 펼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여러 매체에 노출되면서 마케팅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현재는 조경 설계, 벽면 녹화, 그린 디자인 분야가 전체 수익의 각각 3분의 1씩을 차지하고 있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중략)... * 환경과조경 359호(2018년 3월호) 수록본 일부
  • 도그패치 로프워크 The Dogpatch Ropewalk
    도그패치Dogpatch에서 경험할 수 있는 근대 역사의 켜는 여러 가지이지만 3번가와 23번가의 교차로만큼 다양한 측면을 내포하는 장소는 많지 않다. 비전형적인 각도로 위치한 건물들은 장소의 역사적 맥락을 암시하는데, 이전에 밧줄 생산 공장인 터브스 코르디지 컴퍼니 로프워크Tubbs Cordage Company Ropewalk가 있던 장소다. 터브스 코르디지 컴퍼니 로프워크가 비스듬하게 놓여 있던 부두는 전통적인 도시 조직을 가로질렀으며, 만Bay을 향해 1,000피트 이상 뻗어 밧줄 생산 공장과 고객들을 이어주는 곳이기도 했다. 밧줄 공장은 1856년부터 1963년까지 운영되었으나 해상 산업의 쇠퇴에 따라 1970년대 말, 존 M. 우드 모터 코치 센터John M. Woods Motor Coach Center로 변경되어 운영되었다. 오늘날 기존 건물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으며, 샌프란시스코의 주택난 해결과 맞물려 지금까지 존재하던 몇 안 되는 창고와 공장은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도그패치 산업 유산 계승의 중요한 시점인 오늘날 도그패치 로프워크는 역사적인 부두의 기억을 되살리고 경관 디자인을 통해 해상 산업에 대한 이야기를 구현하고자 설계되었다. Lead Designer David Fletcher(Fletcher Studio) Developer Avant Housing Contractor Devcon Construction Incorporated Landscape Contractor Martina LandscapeContractors Civil Engineer BKF Irrigation Design ISC Irrigation Irrigation System Hunter Industries Client/Owner AGI Capitol Location San Francisco, CA, USA Size 1.2 ac Budget $1.2 million Completion 2017 Photographs Craig Crozart 플레처 스튜디오(Fletcher Studio)는 샌프란시스코에 기반을 둔 건축, 도시설계, 환경 계획 등 포괄적인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설계사무소다. 다양한 협업 방식과 맥락적인 접근을 통해 독특하면서도 지속가능한 경관, 도시 공간 그리고 생활 기반 시설을 만들고 있다. 또한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 역사, 정책, 경제, 생태 등 대상지의 특성에서 디자인과 계획의 해법을 도출해낸다.
    • Fletcher Studio / Fletcher Studio
  • 스토르스트룀 스테이트 프리즌 Storstrøm State Prison
    경관 속 교도소 팔스테르Falster에 위치한 신축 교도소인 스토르스트룀 스테이트 프리즌Storstrøm State Prison은 5,000년 전의 거주 흔적이 남겨진 오래된 농업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드넓게 펼쳐진 대지는 스칸디나비아의 마지막 빙하기 때 조성된 것으로 완만한 곡선을 형성한다. 교도소를 에워싸는 높이 7m, 길이 1,300m의 콘크리트 벽은 이러한 자연 경관 속에 자리하고 있으며, 오래된 지형의 역사 가운데 새로운 결을 만들어내고 있다. 기하학적인 선과 유기적인 경관의 관계를 다룬 작업인 크리스토의 ‘달리는 담Running Fence’은 프로젝트 초기부터 교도소의 벽이 경관 속에 어떻게 자리할 것인가에 대한 영감이 되었다. ...(중략)... Landscape Architect Marianne Levinsen Landskab Consortium C.F Møller Architects A/S, Rambøll A/S Client The Danish Prison & Probation Service /Direktoratet for Kriminalforsorgen Location Blichersvej 1 Gundslevmagle, 4840 Nørre Aslev,Denmark Area 290,000m2 Construction Cost DKK 50,000,000 Competition 2010 Completion 2017 Photographs Torben Eskerod 마리아네 레빈센 란스카브(Marianne Levinsen Landskab)는 도시계획, 기후 변화 대응 프로젝트부터 공공 공간 및 개인 정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규모의 조경을 수행하고 있다. 휴먼 스케일과 주어진 공간 사이에서 이용자와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건물과 경관 간의 대화에서 표현적인 해법을 창출하고자 한다. 또한 지속가능성은 모든 프로젝트에서 기본적인 주제이기도 하다. * 환경과조경 358호(2018년 3월호) 수록본 일부
    • Marianne Levinsen Landskab / Marianne Levinsen Landskab, Architect MAA
  • 대연 롯데캐슬 레전드 Daeyeon Lotte Castle Legend
    대연 롯데캐슬 레전드Daeyeon Lotte Castle Legend는 남쪽으로는 부산항이 내려다보이며 황령산, 이기대공원 등 자연 녹지 공간과 가까워 쾌적한 주거 환경을 자랑하는 단지다. 총 30개 동, 3,149세대 규모의 대형 단지로 부산의 랜드마크가 되도록 상징적인 외부 공간을 연출하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 ‘레전드’라는 이름에 걸맞은 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건폐율을 16.58%로 낮추고 조경 면적을 최대한 확보해 입주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했다. 우선 대단지의 상징성을 부여하기 위해 단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중앙 오픈스페이스와 단지 전체를 순환하는 동선을 계획했다. 중앙 오픈스페이스는 최대폭 40m, 연장 400m 규모의 대형 녹지 공간으로 산수정원, 캐스케이드, 계류로 이어지는 수경관이 특징적이다. 특히 입주자 사전 점검 단계에서 한파를 기회로 삼아 수경 시설을 밤새 가동해 빙벽을 조성했는데, 이는 부산은 물론 기존 아파트 단지에서 찾아볼 수 없던 특별한 경관을 선사했다. 수경 시설을 따라 모던한 직선형의 대형 티카페와 야외 테이블을 적소에 배치하고, 다양한 조형물과 어우러진 암석원과 초화원 등을 조성해 공간의 완성도를 높였다. 조경 설계 제이티이엔지 건축 설계 (주)성일종합건축사사무소, (주)일신설계 시공 롯데건설(주)(현장: 양태봉 과장, 김재경 대리, 김종식 대리 / 본사: 정재혁 부장, 김승태 사원) 조경 식재 (주)이길조경 조경 시설물 아세아환경조경 산수 정원 청람조경 휴게 시설 데오스웍스, (주)원앤티에스 놀이 시설 (주)원앤티에스, (주)에코밸리, (주)드림월드, (주)청우펀스테이션 발주 부산대연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조합 위치 부산시 남구 남구청1길 27 일원 대지 면적 130,665m2(30개동, 3,149세대) 조경 면적 44,157.31m2(조경면적율: 33.8%) 완공 2018. 2. * 환경과조경 359호(2018년 3월호) 수록본 일부
    • 김승태 사원(롯데건설) / 제이티이엔지
  • 동원플라자 하늘정원 DWP Sky Garden
    2016년 여름으로 들어설 즈음 옥상 정원을 포함한 상업 건축물 조경 설계를 의뢰 받았다. 몇 년 전 축구장 크기의 옥상 정원 설계, 시공을 경험해본지라 별 주저 없이 대상지를 찾았고, 옥상 공간의 잠재력에 매력을 느끼면서 프로젝트의 멤버가 되었다. 오래된 동대문 의류 도매 상가 중 하나인 동원플라자(현 DWP)는 기존 7층의 건축물에 두 개 층을 증축하고 건축 입면 전체에 익스팬디드 메탈expanded metal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본래의 이미지를 완전히 탈피하는 중이었다. 한창 대수선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옥상은 온갖 적치물로 가득했지만, 기존보다 10m가량 높아지며 조망과 개방감이 개선되어 전망대와 정원으로서의 잠재력이 커진 상태였다. 클라이언트는 의류 상가에서 열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를 유치할 수 있는 외부 공간을 요청했다. 1층에는 공공 행사를 염두에 둔 공간을, 옥상에는 좀 더 친밀한 분위기의 이벤트가 가능한 공간을 기대하고 있었다. ...(중략)... 조경 설계 정욱주(서울대학교), 원종호·이상윤(JWL) 디자인 감리 정욱주 시설물 (주)쌔즈믄 식재 JWL 위치 서울시 중구 신당동 대지 면적 1,012m2 옥상 면적 469m2 완공 2017. 4. 정욱주는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조경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원에서 겸임교수로 재직하는 동시에 올린 파트너십(Olin Partnership)과 필드 오퍼레이션스(Field Operations)에서 조경가로 활동하면서 대규모 도시공원, 대학 캠퍼스 마스터플랜 프로젝트 등을 수행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이며, 도시 정원과 대형 공원, 문화적 장소 구성에 대한 디자인 리서치와 실천을 행하고 있다. * 환경과조경 358호(2018년 2월호) 수록본 일부
    • 정욱주 / 정욱주
  • 더북컴퍼니 옥상 정원 The Book Company Roof Garden
    인테리어를 뜻하는 ‘플랜테리어planterior’라는 신조어가 생기기도 했지만, 식물의 생육 조건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 가까이에서 식물을 즐길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건물의 인공 지반을 활용한 옥상 정원이나 중간층 테라스 등을 조성해 건물 내 외부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건물주의 의지가 중요하며, 정원을 담을 수 있는 건축가의 좋은 설계안이 필요하다. 더북컴퍼니의 두 대표는 옥상 정원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고, 그 의지는 건축가에 의해 옥상 정원의 좋은 틀로 구현되었다. 최종적으로 옥상에서도 다채로운 변화를 즐길 수 있는 정원이 조성됐다. ...(중략)... 조경 설계 및 시공 에이트리 건축 설계 NEED건축사사무소 위치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면적 225m2 완공 2017. 4. 에이트리(atree landscape design & construction studio)는 정원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아름다운 정원을 만들기 위해 설립된 젊은 창작 집단이다.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작가정원 부문에서 금상을 수상했으며, 2014 코리아가든쇼, 2015 경기정원문화박람회 등에 참여했다. 현재는 건축가, 작가, 공간 크리에이터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협업해 정원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 환경과조경 358호(2018년 2월호) 수록본 일부
    • 에이트리 / 에이트리
  • 옥상경작소 1호점 The 1st Modular Green House
    서울시의 ‘성곽마을 재생사업’ 대상지 중 하나로 선정된 종로구 행촌동은 다세대, 다가구 주택이 집중되어 있어 지상의 가용 면적이 적은 지역이다. 서울시 도시재생본부 주거환경개선과는 노후한 저층 주거지가 즐비한 행촌동을 한양도성의 가치를 유지하며 재생시키고자 했다. 이를 위해 도시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농업 학교를 진행했고, 그 과정에서 행촌권역 총괄계획가, PMA 도시환경연구소, UIA 건축사사무소, 숭실대학교 연구팀과 함께 행촌동 재생 계획을 수립하게 됐다.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연구팀과 UIA 건축사사무소는 버려진 옥상을 활용해 거주자가 땅을 구매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은 줄이고, 작은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자 했다. 이는 재건축과 같은 물리적 재생보다는 경제적·사회적 측면을 고려한 재생 방향으로서 일자리 창출, 자생적 재생과도 연계된다. 서울독립문초등학교 맞은편 좁은 골목에 위치한 다세대 주택을 대상지로 확정했는데, 이 건물은 재생지원센터로 기능하는 동시에 도시농업에 대한 기본적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 주민 간의 유대감을 향상하는 등 도시농업 확산의 촉매로 작용하게 된다. ...(중략)... 연구 총괄 및 계획 숭실대학교 건축학부(유해연) 설계 총괄 및 감리 UIA 건축사사무소(위진복) 프레임·골조 (주)SG신성건설 프로그림 및 지원 PMA 도시환경연구소 시공 및 창호 EG A&C 쉐이딩·벨로즈 (주)혜창산업 그래픽·패킹 디자인 Kerb(김홍성) 구조 설계 및 자문 (주)동양구조 토양 및 식물 지원 서울시 종로구 도시농업과 온실 운영 및 계획 자문 한신에코팜, 농촌진흥청 법률 자문 김지엽(행촌권역 총괄계획가) 행정 지원 서울시 주거환경개선과, 종로구청 위치 서울시 종로구 행촌동 대지 면적 73.98m2 건축 면적 52.38m2 완공 2016. 1. 2009년 설립된 유아이에이 건축사사무소(UIA 건축사사무소)는 건조환경의 시공간적, 내적 향상에 가치를 두고 있다. 건축이 새로운 문화를생산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고 믿고, 지속가능한 환경과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다. 유아이에이 건축사사무소를 이끌고 있는위진복은 기획을 기반으로 건축 영역을 넘어선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2017년 광주폴리 3의 큐레이터로 활동했다. 유해연은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도시 주거 설계와 도시재생 관련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주거설계본부에서 타워팰리스 2차, 화성동탄 및 판교지구 마스터플랜 등 다수의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2010년부터는 한국토지주택공사 도시재생사업단에서 도시재생 정책 및 제도 구축에 힘썼다. 현재는 숭실대학교에 재직하며, 한국연구재단과 서울시 도시재생본부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건축가이자 건축가를 양성하는 교육자로서 누구나 쉽게 접하고 가치 있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 환경과조경 358호(2018년 2월호) 수록본 일부
    • UIA 건축사사무소 + 유해연 / UIA 건축사사무소 + 유해연
  • 가멜 헬레루프 고등학교 Gammel Hellerup High School
    코펜하겐 북쪽에 위치한 가멜 헬레루프 고등학교Gammel Hellerup High School의 캠퍼스에는 노란 벽돌로 지어진 독특한 건물이 잘 보존되어 있다. 하지만 체육 수업, 졸업식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이 없는 상태였으며, 인근 체육관 역시 규모가 작아 학생들을 수용하기에는 부족했다. 이에 BIG는 다양한 사회적 모임을 할 수 있는 다목적 홀을 설계했다. 1,100m2에 달하는 이 새로운 홀은 학교 안뜰 중앙의 지하 5m 지점에 자리해, 전반적인 캠퍼스의 물리적 맥락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진다. 지면과 부드럽게 이어지는 다목적 홀의 지붕 단면은 언덕 같은 곡선을 띠고 있는데, 이는 던져진 공의 궤도를 형상화한 것이다. 이 지붕이 학생들의 만남의 장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근에 타원을 이루는 선형 벤치, 스툴, 테이블 등을 두었고, 모두 흰색 에나멜로 코팅된 강철 소재로 만들어 통일감을 부여했다. 따스한 느낌을 주는 참나무로 포장해 사람들이 지붕의 가장 높은 곳에 앉아 주변을 감상하도록 유도했으며, 가장자리에는 격자형의 구멍을 두어 자연광이 다목적 홀 내부로 유입되도록 했다. ...(중략)... Landscape Architect/Architect BIG Collaborators Big Ideas, EKJ, CG Jensen, Jens Lindhe, Midconsult I Herning, Bent Nygaard Sørensen, Grontmij Client Gammel Hellerup High School Location Duntzfelts Alle 21, 2900 Hellerup, Denmark Area 2,500m2 Project Year 2014 Completion 2015 Photographs Iwan Baan, Jens Lindhe, Rasmus Hjortshoj BIG(Bjarke Ingels Group)는 뉴욕, 코펜하겐, 베이징에 사무실을 두고 건축, 도시계획, 리서치, 개발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는 설계사무소다. 비용과 자원을 절약하면서도 기술적으로 창의적이고 역동적인 공공 공간과 프로그램 등을 창조하며 도시 개발로 야기되는 문제에 대응해왔다. 유럽, 북미, 아시아, 중동 지역의 여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현대 생활 양식에 더 잘 부합하는 공간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 환경과조경 358호(2018년 2월호) 수록본 일부
    • BIG / B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