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설계공모 : 과정과 의의
  • 환경과조경 2007년 10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한 가운데에 자리 잡은 중앙녹지공간은 7㎢(약 200만평)에 가깝다. 용산 미군기지, 서울숲, 여의도공원, 선유도공원을 모두 합한 것보다 더 큰 면적의 오픈스페이스이다. “활력있는 경관도시”를 지향하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이 거대한 공지는 비위계적·탈중심적·민주적 도시의 물리적 토대를 구축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높이 의미를 지닌다. 또한 관조와 휴식 위주의 전통적인 공원보다는 도시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도시의 성장과 발전을 이끌 수 있는 역동적·생산적 공원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뿐만 아니라 도시 경관 전체의 수평적 판과 틀이 될 수 있는 유연한 인프라스트럭처를 마련하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landscape urbanism)”의 실험이라는 점에서 환영할 만하다.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설계공모는 지난 2007년 2월 28일 공고되었고 8월 28일 당선작이 발표되는 6개월간의 긴 과정을 마쳤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한국토지공사가 주최한 이 공모전에서 임승빈 교수(서울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가 주최자를 대리하여 설계지침 작성, 심사위원 섭외, 심사 진행 및 지원 등을 총괄하는 전문위원(PA; Professional Advisor)으로 활동했고, 동시에 김대수(혜천대 교수), 배정한(서울대 교수), 정욱주(서울대 교수), 주신하(서울여대 교수) 등으로 구성된 한국조경학회의 연구진을 이끌며 관련 실무 관장했다.
대규모 공원의 설계, 연구, 심사 등에 탁월한 업적을 지닌 조경, 건축, 도시, 환경, 디자인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들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했다. 심사를 진행하며 심사위원 간의 호선에 의해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의 마크 프란시스(Mark Francis) 교수가 심사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김대수(조경), 주신하(조경), 조판기(도시, 국토연구원), 성은하(도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이상호(토목, 한국토지공사), 김성준(수문, 건국대), 김명수(국토연구원, 환경)이철호(구조, 1단계 심사, 서울대), 최병정(구조, 2단계 심사, 경기대) 등 관련 분야의 실무 전문가들이 기술위원으로서 제출작의 기술적 사항을 사전 심의했다.

이번 국제설계공모 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2단계 절차로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2단계 설계공모는 참여자의 초기 부담을 줄이면서 동시에 1단계를 통해 검증된 우수한 작품들의 발전과 경쟁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2단계의 전 과정을 철저한 익명으로 진행함으로써 심사의 공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1단계에서는 대상지 설계에 대한 전반적 아이디어를 제출받아, 2단계 설계공모에 출품할 자격을 주는 10개의 결선작을 선정했다.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설계공모는 이 공간의 미래상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는데, 이는 곧 설계의 기본 방향이자 좌표이기도 하다.
* 행정중심복합도시는 활력 있는 행정·자족도시, 친환경도시, 인간중심도시, 문화·정보도시를 지향하며, 중앙녹지공간은 이 도시의 철학과 미학을 담는 중심이 될 것이다.
* 중앙녹지공간은 환상형 도시 구조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철학적 좌표인 비위계성과 탈중심성을 구현하는 물리적 기반이다.
* 중앙녹지공간은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부에 위치한 대규모 거점 오픈스페이스이며, 도시 경관과 환경의 중추가 될 녹색 심장이며 생태·문화적 공공영역이다.
* 중앙녹지공간은 전월산과 원수봉의 녹지축과 연결되고 금강을 향해 펼쳐져 있는 6.982㎢(약 200만평) 규모의 대평야로서,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역사의 주연이며 이 도시의 미래 성장과 진화의 바탕이다.
* 중앙녹지공간은 자연 생성소이자 문화 발전소이다. 중앙녹지공간은 도시와 격리된 종래의 소극적 공원 개념을 넘어서 소통과 생성의 작용을 통해 도시와 대화하는 역동적이고 시민친화적인 장소로 성장해 갈 것이다.
* 중앙녹지공간은 열린 접근과 과정중심적 설계를 통해 도시의 장기적 성장과 함께 지속적으로 발전해가는 유연하고 다기능적인 공간이 될 것이다.
이러한 설계 원칙을 밑바탕에 깔고 참가자들은 중앙녹지공간 대상지 자체에 대한 기본 구상과 그 주변의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아이디어 구상을 제출하도록 요청받았다. 보다 상세한 설계 지침과 자료는 공모전의 공식 홈페이지인 www.macopenspace.or.kr에 공개되어 있다(이 웹사이트에서는 수상작과 결선작은 물론 참가작 전체를 E-book 형태로 전시하고 있다. 별도의 전시회 및 작품집 출판은 올 10월과 11월로 예정되어 있다).

등록 마감일인 지난 3월 24일까지 25개국에서 총 178팀이 등록을 마쳤으며, 5월 14일의 1단계 설계공모 마감일까지 국내 52작품과 국외 40작품(미주 19, 유럽 11, 오세아니아 1, 아시아 9), 총 92작품이 제출되었다. 1단계 제출작에 대한 3일간의 심사를 통해 5월 29일에 2단계에 진출할 결선작 10작품이 선정 발표되었다.

심사위원회는 10개 작품에 대한 총평에서 결선에 진출할 작품들 중 다수가 “대상지와 지역의 고유한 특질을 직접적으로 반영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도시에 대한 열망을 담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몇몇 작품들은 이 도시가 보유하고 있는 특유의 농업 경관을 도전적이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보전하거나 재구축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심사위원회는 대규모 공원을 단 한 번에 건설하는 것은 이미 오래 전의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중앙 공원은 도시 자체가 발전하고 진화함에 따라 계속 발전되고 변화될 것이다. 선정된 결선작의 다수는 공원과 오픈스페이스는 오랜 기간에 걸쳐 만들어진다는 보다 현대적인 개념을 포용하고 있다. 많은 작품들이 이 새로운 행정도시에 걸맞는 독특하고 수준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강력한 설계적 틀을 제안했다. 이 작품들은 또한 그것의 실행과 관련된 경제적 타당성과 정치적 유연성을 제시하고 있다. 결선작들은 또한 공원과 오픈스페이스의 확장된 유형을 제안하고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작품은 보다 동시대적인 형태, 활동, 의미의 언어로 사이트를 재해석하고 있다. 반면 다른 어떤 작품들은 강의 힘과 아름다움을 이용하여 이 도시의 미래 거주자와 방문객들에게 보다 친근한 특성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다른 몇몇 작품들은 미래의 오픈스페이스 이용자들에게 적합한 참여적 경관과 상징적 소유의 경관을 창출하고 있다. 심사위원회는 서로 다른 이 다각적 접근들을 포괄하여 다양한 범위의 결선작을 선정했다.”


글_배정한 ·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