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수변개발 ; 포스트모던 도시수변공간과 포스트모던 도시
  • 환경과조경 2008년 7월

도시수변은 패러다임의 변화를 담은 경계
인간문명의 결정체라 할 수 있는 도시는 고대로부터 인간의 생물학적인 삶과 사회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물을 얻을 수 있는 수변을 따라 발달했다. 세계 4대 도시문명이 수변을 끼고 생성된 것은 이 점을 잘 반영해 주고 있다. 그리고 농사와 식수로 가능한 물이 있는 지역을 통해 인간들은 커뮤니티를 형성하였고, 치수는 고대시대에는 정치의 근간을 유지하는 중요한 부분이었다. 산업혁명과 시작된 기술 향상은 치수와 물의 공급을 용이하게 했지만, “도시의 팽창과 유지는 물의 공급네트워크와 물의 질 그리고 양에 의해 결정되어 왔다(Jones, 1995)”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변과 도시의 분리할 수 없는 관계는 오랜 역사를 통해 자연스럽게 도시수변공간이라는 물리적 건조환경을 형성하였고 사회·경제·문화적 환경이 동시에 일어나는 인간 삶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하지만 20세기 초 산업화의 중요한 역할을 했던 도시수변공간은 경제구조와 수송기술의 변화로 인해 20세기 후반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러한 도시수변의 대규모 산업유휴지는 큰 문제점으로 등장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구미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항구, 강, 운하, 독 도시수변의 (재)개발이 1960년대 이후 왕성히 진행되었다. 그리고 이들 도시수변의 (재)개발은 산업자본주의와 후기고도자본주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생산과 소비, 시간의 시대와 공간의 시대(spatial turn), 세계화와 지방화, 도시의 쇠퇴(decay)와 부활(renaissance) 등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가 물리적으로 압축되어 나타난 특별한 장소가 되어왔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도시수변공간은 산업자본주의와 후기고도자본주의의 전이과정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물리적 공간이다. 1·2차 산업의 중심이 된 모던 시대의 산업자본주의의 3차 산업인 서비스 산업 중심인 후기자본주의로의 전환은 도시수변을 따라 조성된 제조업과 산업의 쇠퇴를 야기시켰다. 특히 컨테이너화된 대규모의 교역선과 항공 수송기술의 발달로 인해 모던시대의 낡고 소규모의 항구나 독 그리고 강은 더 이상 제 기능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도시수변을 따라 형성된 산업과 제조업의 쇠퇴는 실업으로 이어져 도시 문제와 공동화를 야기시켰다. 세계 최대 규모의 독 시스템을 자랑했던 런던도클랜드는 1960년과 1981년 사이 2만 5천명의 고용인구가 4천 1백명으로 줄었으며 인구가 21% 감소하였다. 이것은 경제구조의 변화가 도시의 수변에 미친 영향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문화적으로 도시수변은 모더니즘적인 가치관과 포스트모더니즘적인 가치관의 변화가 일어난 곳이다. 1960년 후반 지속적인 쇠퇴를 겪고 있던 도시수변은 재개발 과정에서 생산과 일의 중심지였던 공간에서 소비와 즐김을 위한 공간으로 재구성했다. 도심 가까이에 남겨진 대규모의 수변 토지는 문화의 시대로 대변되는 포스트모던시대의 패러다임을 실현하는 최적의 장소가 되었다. 즉 변화하는 시대의 삶의 패턴과 포스트모던 패러다임을 담아내는 중요한 공공영역으로 주목을 받았다.
사회적으로 도시수변공간은 공간의 시대(spatial turn)의 패러다임이 물리적으로 투영된 상징적 장소이다. 단지 물리적 용기로 피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사회적 환경을 재창출하는 생산자로서의 공간의 역할을 잘 보여주고 있다. 모던 제조업과 산업의 중심지였던 도시수변공간이 20세기 후반 (재)개발과 도심재생사업과정에서 도시의 중요한 사회적 활동이 벌어지는 사회적 공공공간이 되고 있다.
도시정책의 관점에서의 도시수변은 도시재생사업의 핵심지역이다. 도시수변 재생사업을 계기로 도시가 새롭게 재도약하는 도시부활의 중심역할을 했다. 1960년대 후반의 볼티모어 항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시드니 달링하버, 보스톤 항구, 뉴욕 풀톤거리, 요코하마 미나토 미라이 21, 웨이즈 카디프 항구, 바르셀로나 항구, 함부르크 하펜시티 등 모두가 수변의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도시의 정체성과 도시부활을 이룩한 좋은 예들이다.
그 외에도 도시수변은 새로운 도시이미지를 창출하고 기존의 공간구조를 재편하여 도시가 새롭게 재도약하는 도시부활(urban renaissance)의 중심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2000년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버려진 도시수변의 재개발을 통해 경제 활성화와 사회·문화 환경의 개선 그리고 새로운 도시이미지를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도시수변은 역사적으로나 현재에도 세계화와 지역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장소이다. 과거에는 교역과 무역 그리고 새로운 문화교류가 이루어지는 공간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근대에는 산업의 교역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역할을 하였다. 현재에는 도시마케팅의 상징적 지역으로, 때로는 월드시티를 만들기 위한 도시브랜딩의 수단으로 혹은 문화허브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우리의 한강 르네상스도 많은 면에서 같은 맥락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도시수변은 세계를 무대로 하는 도시를 마케팅하는 곳인 동시에 지역적으로 중요한 문화허브가 되는 글로벌과 로컬이 공존하는 중요한 공간회랑이 되고 있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