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스튜디오 101, 설계를 묻다(6) 디테일: 작은 것에 대한 상상이 갖는 큰 힘
  • 환경과조경 2009년 6월

공기처럼 가벼운, 투명한 존재감으로서의 프로그램에 대한 리플로 운을 떼며

“산소 같은 여자”라는 카피를 썼던 옛 광고처럼, “공기 같은 프로그램”의 메타포는 투명하고 가벼운 존재감이 주는 유연함과 생명력을 표현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진정성은 배치도의 도형과 작명술의 단순조합에 의해 설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하는 즐거운 표제였다.

시간에 따른 경관의 변화, 이용자에 따른 공간의 진화를 다루는데 있어서 어떻게 보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느슨한 프로그램”과 “조밀한 연출력”이 아닐까한다. 분위기에 녹아있는 프로그램은 결국 설계가의 사고가 아주 작은 부분까지 꼼꼼히 미쳤을 때만 가능한 것 아닐까. 강요되지 않았지만 걷고 싶고, 앉고 싶고, 뛰고 싶게 만드는 공간의 공기는 아주 미세한 설계적 장치와 배려들이 빚어내는 마법 같은 화학작용일 것이다. 프로그램의 가벼움이 공간설계에 있어 디테일의 가벼움으로 여겨져서는 안된다. 오히려 더 촘촘한 설계가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도로 연재순서를 정한 것은 아니지만 디테일에 대한 운을 떼기가 한결 가벼워진다.

올해 초 정도 되었을까, 컴퓨터를 포맷하기 위해 백업받는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해 지난 답사 사진들을 살펴볼 기회가 있었다. 그 과정에서 피식 웃으며 재미있다고 느낀 점이 있는데, 해가 지날수록 전체 답사사진들 중에서 디테일을 찍은 사진의 수가 끊임없이 증가한 나름의 경향을 발견한 것이다. 회상해 보건데 학생시절 여행에서는 기념품 가게의 엽서에 나옴직한 구도의 사진들을 정신없이 찍어대며 꽤나 만족했었던 것 같다. 풍경화를 흉내내는 사진들이 대부분인 그때의 기록들은 다시 보니 남이 찍은 것 마냥 심드렁하기만 하다. 고백하자면 정작 디테일을 찍는 버릇은 거의 직업적 생존에 관련되어서야, 즉 디테일 설계를 스스로 직접 해야 하는 입장에 이르고서야 생긴 것이다.

요즈음 학생들과 함께 답사를 다녀오면 가끔 각자 찍은 사진들을 비교해서 보곤 한다. 여전히 그들은 나의 학생시절과 다름이 없다. 투시도에서 자주 쓰이는 구도의 풍경사진들과 꼴라쥬 소스로 쓸만한 사람들을 찍은 사진들, 그리고 물론 단연 학생들끼리 서로 돌아가면서 자신들을 찍는 미니홈피용 연출사진들이 대부분이다.

디테일이라는 주제를 돌덩이처럼 가슴 한켠에 가지고만 다니다가, 디테일에 대한 관심은 결국 설계과정의 학습 발달 단계와 연관이 깊은 것 같아, 즉 학생들이 디테일에 무심한건 그들의 나이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다는 의심 때문에 글의 방향을 잡기가 조심스러웠다. 그러나 한편, 학생시절의 나도, 지금의 학생들도 여전히 디테일을 어떻게 봐야하는지에 대해 무지하기 때문이라는 단순가정을 해보니, 몇 가지 하고 싶은 얘기들이 생긴다.


디테일에 관한 개념: 전체와 부분의 관계

디테일(detail)의 어원은 불어인 “taille”나 라틴어인 “talea”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불어의 “taille"는 어떤 것을 조각으로 자른다는 의미여서 재단사(tailor)”라는 단어와 같은 어원을 가진다. 덜 알려지기는 했지만 더욱 흥미로운 어원은 라틴어의 ”talea"인데, 이는 식물의 접붙이기에 쓰일 용도로 큰 나무에서 가지(twig) 등의 부분을 잘라내는 일을 의미한다. 건축이론가인 로빈 드립스(Robin Dripps)의 해석에 의하면 이 접붙이기로부터 출발하는 어원의 의미는 전체에서 부분을 떼어내도 그 부분이 자연적인 자기 복제과정을 통해서 전체를 다시 구성한다는 데에 있다. 옷감을 재단해서 나온 조각들은 전체의 부분으로서의 기능에 그치지만 나무와 같은 생명체의 부분은 그 자체가 전체의 질서를 이미 가지고 있는 소우주(microcosm)와 같은 것이다. 전체의 부분이 아닌 전체를 담고 있는 부분.

살아있는 시스템을 다루는 조경설계에 있어서 굳이 꼽으라면 불어보다는 라틴어적 의미계보를 계승하고 싶은 것은 억지스럽지만 자연스러운 욕구이다.

우리나라의 언어적 관습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디테일을 ”그린다” 혹은 “디자인한다”라는 표현보다는, 디테일을 ”푼다”라는 동사를 즐겨 쓴다. 이러한 숙어적 표현은 암암리에 디테일은 디자인의 일부라기보다는 단순한 기술적 문제해결이라는 간편한 뉘앙스를 던져준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해결로서의 디테일이라는 관념이 우리의 외부공간에서 일상적으로 부딪치는 성의 없는 상세들의 이유일지도 모르겠다.

니얼 커크우드 디테일을 다루는 그의 저서 『The Art of Landscape Detail』에서 이러한 점을 명백히 반박한다. 디테일 역시 조경설계과정의 일부, 즉 창조적인 디자인 행위이며, 단지 이 창작활동이 특정한 스케일로 이루어질 뿐이라고 하였다. 또한 디테일은 설계가의 생각을 공간이라는 실체로 전환하는데에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매개체임을 강조하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그는 조경설계에 있어서 디테일을 두 가지 종류로 분류하였는데, 실행 디테일(implementation detail)과 설계 디테일(design detail) 그것이다. 전제가 어떻게 현장에서 제작되는가에 관련된 기술적이고 도구적인 개념이라면, 후자는 설계가의 아이디어를 핵심적으로 표현하는 표현적이고 생성적인 개념이다. 전자가 시공과정에 더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한다면 후자는 설계과정에 더 중점을 둔 것이다. 결국 저자가 이 책에서 주장하고 싶었던 것은 디테일이 도구적이지 않고 설계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창의적 요소로서 즉 “설계 디테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의 저서 『Detail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에서 저자 버지니아 맥리오드(Vrginia McLeaod) “디테일은 경관이 어떻게 조합되는지를 보여주는 진정한 재현 방식”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 역시 디테일이 부분 그 자체가 아니라 부분이 결합되는 방식, 즉 전체 경관을 구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라는 확장해석을 가능케 한다. 이번호의 디테일에 관한 이야기는 결론적으로 디테일에 대한 개념의 업그레이드, 그에 근거한 창의적 실천과 정당한 평가의 필요성을 밝히는 것일 것이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