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모던스케이프] 도시를 보살피는 위생 경관
  • 환경과조경 2023년 12월

통계청 기록에 따르면, 한국의 상수도 보급률은 2021년을 기준으로 97.7%다. 1960년대의 보급률이 22%였다고 하니, 반세기만에 실로 놀라운 발전이 아닐 수 없다. 상수도上水道(waterworks)는 하수도나 공업용 수도와 구별할 때 부르는 용어이며, 일반적으로는 ‘수도’라 칭한다. ‘수도법’에서는 수도를 ‘관로管路, 그 밖의 공작물을 사용하여 원수原水나 정수淨水를 공급하는 시설의 전부’라 정의한다. 보건 위생과 소화消火를 목적으로 한 급수 설비 체계를 97.7% 갖췄다고 함은, 한국 대부분 지역에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는 90%에 이르는 도시화율과도 비례한다.

 

도시의 상수도 시설이 제대로 기능하려면 양질의 식음수 공급이 우선되어야 하므로 정수장 설비 마련은 필수다. 열약한 환경에 놓인 근대기의 도시민에게 맑은 물을 생산, 공급하는 시설은 도시 공원보다 더 절실할 수 있는 중요 기반 시설이었다. 

 

전통적으로는 우물을 파서 물을 끌어 올려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형편이 좋은 집에서는 개인 우물을 파기도 했지만, 대체로 마을마다 공동 우물을 파서 주민이 함께 이용하고 관리했다. 여름이면 충분한 비가 내렸고 계곡과 하천이 발달한 곳에 취락지가 있었기 때문에 식음수와 생활용수를 취하는 일이 비교적 손쉬웠다. 전국에 분포한 화강암반은 좋은 여과지가 되어 양질의 지하수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상하수도 분리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개항장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인구가 집중 증가하는 19세기에 이르자 식음수의 부족 문제와 수질 문제가 표면적으로 언급되기 시작한다. 

 

근대식 상수도 시스템은 하천수를 끌어와 침전과 여과의 정수 과정을 거친 뒤 동력을 이용해 배수지로 송수하고 배수관을 통해 급수하는 것이다. 이보다 간단하게는 차집관로를 설치해 물을 자연 여과하여 집수정에 모았다가 배수지로 송수하고 배수관을 통해 급수하는 방식도 있다.

 

city 01(예비).jpeg
그림 1. 대신공원(현 중앙공원)의 구덕 수원지. 1900~1902년 축조

 

 

...(중략)...


2년 간의 ‘모던스케이프’ 연재는 근대 도시의 가장 큰 근간인 ‘교통’으로 시작해 ‘위생 경관’에서 끝을 맺게 됐다. 개인적으로는 단편적인 근대 경관의 소재를 동서와 고금으로 확장해 볼 수 있었던 것이 가장 큰 소득이다. 독자들이 100여 년 전 이 땅의 모던스케이프를 상상하고 이해하는 데 이 지면이 조금이나마 도움 되었길 바란다. 더불어, 암흑기이자 단절기로만 단정해왔던 20세기 전후 시기가 사실은 지금을 자리할 수 있게 한 토대였음을 공감하는 기회가 되었다면 더할 나위 없겠다.

 

환경과조경 428(2023년 12월호수록본 일부 

 

 

참고문헌

부산 중앙공원 홈페이지 www.bisco.or.kr/jungangpark

이연경, “도시위생의 수호자, 상수도”, 『도시를 보호하라』, 2021, pp.74~167.

김백영, “일제하 서울의 도시위생 문제와 공간정치: 상하수도 우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총』 68, 2009, pp.191~226.

김재호, “식수문화의 변화과정: 우물에서 상수도까지” 『한국민속학』 47, 2008, pp.235~265.

통계청 www.kostat.go.kr/ansk/


그림 출처

그림 1. www.visitbusan.net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