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부터 서울시는 거점형 어린이놀이터를 통해 도심 놀이 환경 개선을 꾀하고 있다. 권역별 거점형 어린이놀이터 조성사업을 통해 5개 권역별(동남권, 서남권, 동북권, 서북권, 도심권) 시민 이용이 많은 거점공원 등에 다양한 연령의 어린이를 위한 놀이 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지난해 1호 거점형 어린이놀이터를 광나루한강공원에 조성 및 개장했으며, 2호 거점형 어린이놀이터는 보라매공원에 조성 중이다. 3호 거점형 어린이놀이터는 북서울꿈의숲에 들어선다.
지난 10월 서울시는 ‘동북권 북서울꿈의숲 거점형 어린이놀이터 조성 설계공모’ 수상작을 발표했다. 당선작으로 씨토포스의 ‘올망졸망 꿈의 숲’이 선정됐다. 입선작은 엠엠엠 디자인 스튜디오+지엘에이디자인의 ‘놀이감각: 북서울꿈의 숲 경험놀이터’, 사이트닷의 ‘뭉게구릉놀이터_조이풀 클라우드(Joyful Cloud)’가 차지했다. 대상지는 북서울꿈의숲 동문 일대의 야생초화원, 계절수목원, 사슴사육장 및 주변 숲 일부 유휴 공간으로 약 8,000m2 규모에 달한다. 경사지와 숲 등 동문 일대 주변 환경과 연계한 놀이터를 조성해 다양한 연령의 어린이들이 기존 놀이 시설 중심의 놀이 행태에서 벗어나 모험 및 체험을 즐길 수 있게 하고, 보호자 등의 돌봄과 휴식을 제공할 수 있는 복합 여가 공간을 제안하는 것이 설계 목표다. 서울시는 기본 및 실시설계를 거쳐 2024년까지 동북권 북서울꿈의숲 거점형 어린이놀이터를 조성하고, 2026년까지 서북권 및 도심권에 거점형 어린이놀이터를 추가 조성해 5개 권역별 조성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당선작, 올망졸망 꿈의 숲
씨토포스
북서울꿈의숲은 과거 놀이공원 ‘드림랜드’가 있던 자리에 조성된 공원이다. 이곳은 벚꽃길과 단풍숲 등 생태적 조경 공간, 월영지와 월광폭포 등 전통 경관, 북한산과 도봉산, 수락산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와 문화예술 활동이 있는 꿈의숲아트센터 등 자연과 문화가 함께 공존하는 대형 공원이다. 대상지는 과거에 있던 골프 연습장을 철거해 만든 곳으로 띠, 갈대, 억새 등 그라스류를 식재한 ‘브라운 가든’, 사계절 초화류 및 빗물 수로를 활용한 ‘야생초화원’, 자작나무 숲이 있는 ‘계절수목원’이 조성됐다.
북서울꿈의숲 조성 후 축적된 기존의 경관을 존중해 연속적인 생태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고, 기존의 지형 및 수종과 연계한 정서 놀이 공간을 계획했다. 놀이 시설물은 인위적인 형태를 배제하고 친환경 소재를 활용했다. 자연성이 투영될 수 있는 연령별 행태를 분석해 놀이 시설의 적정한 위치에 각각의 테마를 부여했다. 이를 통해 아이들에게 자연의 친숙함을 제공하고, 숲과 더 깊은 교감을 전달해 자연 감성을 키우도록 유도한다. 퍼걸러 등 휴게 공간을 곳곳에 배치해 어른들도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했다.
공간은 크게 상단부와 하단부 놀이터로 나뉜다. 진입 공간인 하단부 놀이터 공간에 조성한 올록볼록 놀이 숲은 기존 경사 지형을 활용했다. 주진입 광장에서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하는 미끄럼탑과 기존 나대지를 활용한 잔디 구릉, 언덕 등 동그란 형태의 경사면을 따라 놀이 시설을 조성해 흥미로운 공간을 구성했다. 오르고 내리며 놀 수 있는 미끄럼틀과 등반 놀이대, 잔디언덕, 지형의 단차를 이용한 그물다리, 오두막을 설치해 다채로운 놀이 경험을 유도했다.
전체적으로 부지의 중간부와 상단부 구간은 기존 지형 위에 역동적인 활동이 가능한 지형 놀이 시설물을 곳곳에 배치해 아이들의 흥미를 고조시켰다. 상단부와 하단부를 잇는 뽈뽈뽈 기는 숲은 평지와 구릉이 만나는 지형을 활용해 모래 놀이터, 모래 언덕 등을 조성했다. 어린이를 동반한 어른들을 위해서 장미정원을 감상할 수 있는 퍼걸러도 함께 계획했다. 상단부의 오르락내리락숲은 잔디와 고무칩 포장을 통해 지형적 변화를 연출했다. 혹부리언덕 등 다양한 언덕을 오르락내리락하며 즐길 수 있게 했다. 또한 실개천과 미스트를 배치해 시원하고 쾌적한 놀이 환경을 구축하고자 했다. 자작나무 놀이숲은 기존 자작나무숲을 가로지르는 네트놀이대 등을 배치하고, 유아용 놀이방을 따로 분리해 유아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게 만들었다. 최상단에는 쉼의 숲을 새롭게 제안해 5~8세 어린이도 숲속에서 소꿉놀이를 즐길 수 있게 했다.
* 환경과조경 428호(2023년 12월호) 수록본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