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어떤 일을 결정할 때 7대 후손까지 고려하여 결정했다
서울은 이제 생긴지 60년이 지난 낡은 도시다. 1960, 70년대에 지어진 콘크리트 건물들이 이전 및 수요의 급감으로 인해 그 용도를 잃었고 이는 도시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비단 서울뿐만 아니라 각 지방에서도 마찬가지의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도시계획은 무조건적인 신도시 건설이 아니라 어떻게 도시를 재생시킬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것이다. 용도가 사라진 건축물과 기반시설들을 안고 있는 구도시와 새로운 욕구를 가진 신 수요계층이 어떻게 하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지가 문제해결의 핵심이다. 우리는 여기서 “어떤 일을 결정할 때는 7대 후손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하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대한민국의 재개발 방식은 이렇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재개발 기본 계획을 세우고 구역을 정한 뒤, 구역 내 부동산 소유자들이 조합을 만들어 시공사를 선정(대개 대형 건설사가 선정되기 마련이다)하고 선정된 시공사가 기존의 모든 건물을 철거한 뒤 주거단지를 조성한다. 이 과정에서 집값이 치솟게 되고 따라서 이 집값을 감당할 수 있는 이들이 주택과 상가를 분양 받게 된다.
위와 같은 상업적 이해를 앞세우는 대형 건설사 주도의 한국형 재개발 관행은 세입자 보상 갈등, 용적률을 높이는데 치중한 고층 아파트 일색의 획일적 주거 형태 양산, 과도한 집값 상승에 따른 서민들의 박탈감, 개발 이익이 건설사와 투기꾼 등 소수에게 집중되는 현상 등 많은 문제를 드러냈다. 위에 열거한 문제들의 비극을 극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예가 바로 지난 2009년 1월에 발생한 용산참사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이러한 무차별적인 개발 풍토에서 벗어나 더불어 사는 도시를 만들려는 노
력과 함께 재생을 근간으로 도시 재개발에 임해야 할 때가 아닌가한다. 우리나라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이미 경험하고 이에 대한 해결점을 모색한 세계의 몇몇 도시를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