造營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황룡사와 함께 창건되었고, 의신조사, 진표율사, 영심사 등으로 이어져, 성덕왕 19년(720) 중건을 거치며 범상종의 도량으로서의 성격을 확고히 갖추게 되었으며, 이러한 법통은 영심대덕(永深大德)에게서 심지(心地)에게로 이어졌다. 이후 고려시대에는 태조 1년(918) 왕사인 증통국사가 본사를 중건하였으며, 목종 9년(1006) 범종을 주조하였으며, 공민왕 11년(1362)에는 홍건적의 침입으로 경상북도 안동으로 몽진(蒙塵)하였다가, 다시 환궁할 때 들려 불은(佛恩)에 감격하여 통도사의 불사리 1립(一粒)을 옮겨다가 현재 수정봉 밑 능인전 뒤에 사리탑을 조성·봉안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이태조가 즉위 전에 현재의 상환암(上歡庵)에서 백일기도를 하였으며, 세조는 1464년(세조 10) 2월 법주사를 방문하여 복천암(福泉庵)에서 삼일법회를 설치하였다. 이후 1597년 정유재란시 왜군의 방화로 인해 경내의 전각 대부분이 소실되었고, 용화전 내부의 미륵장육상(彌勒丈六像)도 파괴 되었으나, 1602년 주요 전각들이 다시 재건되기 시작하였으며, 1618년 대웅보전 등이 중건되었으며, 영조 36년(1760)에는 선희당 원당을 조영하였고, 1892년에는 원통보전이 중건되었다. 그 후 고종 28년(1881) 탄응선사가 대규모 정비를 실시하였으며, 1964년 대원군때 소실된 미륵전터에 추담선사가 미륵불상을 조성하였다.
立地
법주사의 동쪽에는 속리산의 주봉인 천황봉(1058m)이 위치하고, 북쪽에는 묘봉(妙峯), 관음봉(觀音峯) 문장대(文藏臺), 비로봉(毘盧峯)등이 위요하고 있는 가운데, 수정봉과 관음봉을 잇는 주능선의 해발 1000m가 넘는 동쪽 골짜기에 사찰 터를 위치시켰으며, 전면의 계곡수계가 가람을 위요하여 하나의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18세기 법주사도(法住寺圖)에는 용화보전 뒤에 수정봉이, 대웅보전 뒤에는 멀리 관음봉이 위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