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조경학과(조경학 전공)는 급격하게 양적으로 팽창된 양상을 띄고 있다. 30여년이 흐르는 동안 국토개발에 편승한 건설산업과 더불어 조경학과의 배출인력은 두 배 이상 확장되었고, 전국적으로 40여개 이상의 학교에 관련학과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인 변화만큼이나 교육내용이나 과정, 이론 및 전문성에 있어서도 과연 질적인 변화를 이루어 왔을까.
조경교육에 대한 소고
교육을 전담하는 교수진들은 조경분야의 현안을 어떻게 진단할까. 교수진이 꼽는 조경교육의 교과과정 및 내용에 대한 문제점들로는 학부제, 복수전공, 최소학점제, 모집단위 광역화 등 교육환경의 변화로 부실해진 전문적 조경교육, 대부분 몇 안되는 전임교수의 운영(교수당 학생수가 30명을 초과)으로 인한 실습교육의 한계,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에 비해 변함없는 교과목 및 커리큘럼 등을 짚어볼 수 있었다. 그 외에도 인접분야와의 배타성이나 수요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배출인력, 다루어야 하는 많은 내용에 턱없이 부족한 학습, 이론·실습과목 편성순서의 문제점, 교육내용·방법의 불일치, 학교교육 이외의 재교육 미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부족 등의 문제점도 들을 수 있었다.
그렇다면 실무자들이 꼽는 조경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단연 이론(학계)과 실천(현장)의 괴리와 단절에 대한 문제들을 지적하였고 그 상황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 같다는 평가가 다수였다. 무엇보다도 가장 주목해야할 부분은 학계와 현장의 단절이 심화된다는 점이었다. 탈영역화로 인해 인근분야와의 경계가 점차 모호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조경학과를 졸업한 학생들이 타 학과 학생들과 비교하여 다양한 철학적 사고나 이론, 업무적인 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는 점은 조경학과 학생들의 경쟁력 약화와 함께 조경분야의 암울한 미래를 제시하는 것과 다름 아니다.
교과목이 세분화되고 첨단화되어감에도 불구하고 실무 현업계에서 항상 나오는 불만 즉, “현장에서 일할 수 없는 조경인을 배출하는 교육"에 대한 불만은 여전히 많으며, 또한 한쪽에서는 조경이 언어와 수식, 기호 및 통계를 지향한다고 불만을 털어놓고, 다른 한쪽에서는 조경이 생태계 연구와 교육을 지나치게 강조한다고 불만을 털어놓으며, 또 다른 한편에서는 컴퓨터와 원격탐사에만 몰두한다고 불만을 놓으며, 또 다른 한편에서는 뚜렷한 주관이 없는 디자인이 난무한다고 불만을 털어놓는다. 이런 현상을 거창하게 말하면 ‘패러다임의 부재'일 것이고, 바로 조경교육이 당면한 문제의 핵심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_ ‘21세기 조경교육 방향’
김세천(전북대학교 조경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