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들은 정원을 만드는데 있어서는 뛰어날 지 모르지만, 큰 규모의 땅을 다루는데는 거의 두각을 나타내지 못한다. 여성들은 귀여움, 다양함, 고상함, 세함이 요구될 때 빛나지만, 큰 규모를 다루는 조경은 결국 남성적인 예술인 것이다. 또한 조경은 남성적인 열성과 주저하지 않는 독재성을 요구하지만, 여성들은 그러한 덕목을 잔인하고 불필요하다고 반대한다.” - 찰스 사전트
내가 조경에 있어서 스케일에 대한 최초의 의문점을 가졌던 건 사실 설계와는 그다지 상관이 없는 일이었다. 조경사를 공부하던 중 읽은, 위에 인용된 짧은 단락 때문이었는데, 여학생으로서의 발끈 + 울컥하는 반응과 더불어 정말 여성이 큰 스케일의 프로젝트를 천성적으로 다루는데 한계가 있을까하는 의문을 갖게 된 계기가 되었다. 위의 인용문은 사적 영역 스케일의 뉘앙스가 강한 정원사로부터의 전통을 스스로 거부하는, 공공영역의 스케일에 기반한 근대적인 개념의 조경의 태동과 궤를 같이 한다. 당시의 조경가라는 작명은 센트럴 파크와 같은 프로젝트의 “대규모성”을 담당할 수 있는 권위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이러한 측면을 남성성과 동일시하고 있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었다. 조경이 궁극적으로 남성적인 학문이라면 도대체 여자인 내가 이 전공을 계속할 이유가 있을까라는, 지금에야 순진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당시에는 꽤 중요한 인생의 결정을 초래할 질문이 본질적으로는 스케일에 관련된 것이었다. 물론 십오년이 훌쩍 지난 오늘, 훈련과 학습을 통해 스케일에 대한 공포를 일정 정도 극복한 이상, 스케일이라는 주제에 관한 나의 고민은 그때와는 다른 층위에 있다. 그러나 변함없는 생각은 조경에 있어서 스케일의 문제는 설계가가 세계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본질적인 반성과 태도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스케일의 사전적 의미는 사물의 실제 크기와 지도, 다이어그램 등 그 사물을 재현하는 매체 사이의 관계이다. 척도, 축척, 규모, 크기로도 번역되는 스케일은 엄밀히 따지자면 크기와 같은 개념으로 보아서는 안된다. 사전적 정의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스케일은 “사물들의 상대적인 관계”를 측정하는 개념인 반면, 크기는 어떠한 사물의 절대적인 규모를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스케일은 항상 무언가와의 관계성(체험자와 공간과의 관계, 공간과 도면과의 관계, 공간과 공간간의 관계 등)에 근거해서만 논의할 수 있다. 또다시 관계로 돌아왔다. 이번호의 주제는 스케일이라는 화두를 관계성의 관점을 통해, 조경설계가 다루는 프로젝트 규모의 엄청난 진폭과 그에 따른 의미, 프로젝트의 대형화가 요청하는 시대적·설계적 임무들, 그리고 실제공간과 설계도면 사이에서 나타나는 괴리감에 대한 내용을 다룰 것이다.
“BIGNESS IS ULTIMATE ARCHITECTURE…… ITS SUBCONTEXT IS FUCK CONTEXT”: 건축에 있어서의 규모의 문제
2002년 미국의 9.11 사건에서 폭격을 당한 건물들은 미국의 정치적, 경제적 권력과 지위를 상징하는 두 개의 건물(펜타곤, 월드 트레이드 센터)이다. 유럽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난 첫 번째 미국적 건축양식이라고도 이해되는 초고층 마천루 중 월드 트레이드 센터에 대한 폭격은 세계를 지배하는 미국의 경제적 힘이 수직적 규모로 형상화된 상징성에 대한 공격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제는 여느 도시나 초고층 혹은 초대형 개발이 흔해졌지만 건축물의 대규모성에 대한 의미있는 문제제기는 1995년 렘 콜하스의 “Bigness or the problem of Large”라는 매니페스토에 집약되어 있다. 그는 건축물의 “거대함”이 가지는 함의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는데 큰 것은 작은 것들의 단순한 합이 아니라 그 자체의 독자적인 논리와 성격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절대적 크기를 일컫는 거대한 건축과 건축의 거대함은 다른 개념이다. 건축에 있어서의 거대함은 현대사회가 혼란과 분열과 해체의 과정임을 인정하며, 이러한 상황적 지형에 있어서 새로운 건축의 역할과 기능을 규모의 관점을 통해 제기하는 것이다. 그는 거대함의 이론을 다음과 같은 다섯 개의 명제로 요약하고 있다. 첫째, 건축이 일정 규모 이상이 되면 단일한 제스처로는 통제되지 않는다. 이는 부분이 전체의 일부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의 독자성을 갖게 한다. 두 번째는 엘리베이터와 같은 기술적 혁신은 고전적인 건축적 원리들을 무효화한다. 더 이상 건축의 “예술”적 측면은 무의미하다. 셋째는 건축의 내부와 외부는 더 이상 긴밀한 관계를 갖지 못한다. 입면은 내부의 공간과 별도의 논리를 갖는다. 넷째,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은 좋고 나쁘다의 질적 평가의 대상이 아니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는 건축의 거대함은 더 이상 도시조직의 일부가 아니다. 그 자체가 도시이므로 거대함은 도시적 맥락을 무력화한다.
선동적이긴 하지만 위의 명제들에서 배울 수 있는 가장 단순한 교훈은 일정 규모 이상의 프로젝트는 그것 자체의 독자적인 기획, 설계, 조성, 운영의 방법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대사회의 복합성과 상충성에 대응하려는 건축의 규모에 대한 반성은 현대의 조경설계 담론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줄리아 처니악도 대형공원의 규모성에 대한 글에서 지적한 것처럼 과연 건축의 규모에 대한 문제의식이 조경설계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질문들로 변형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