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 관아
현재까지 밝혀진 우리나라의 궁궐 관련 그림들은 각종 궁중행사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그 행사장소로서 부득이 궁궐을 나타낸 경우와 궁궐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하여 특별히 그린 경우에 한정되어 있다. 궁궐그림은 보안상 지도와 마찬가지로 엄격하게 통제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궁궐의 일부를 담아 그리는 각종 의궤도(儀軌圖)를 비롯한 기록화를 제외하고는 궁궐 전체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표현하는 명실상부한 궁궐도는 더욱 그러했으리라 추측된다.
-조선시대 기록에 보이는 궁궐도
조선시대의 궁궐에 관련된 최초의 기록은『태조실록』에 나오는「新都宗廟社稷宮殿朝市形勢之圖」로서 서운관(書雲觀)이 중심이 되어 새 도읍인 한양의 종묘와 사직은 물론 궁전과 주변의 도시 형세까지 그림으로 그렸음이 확인된다. 아마도 현재의 사직공원에서부터 종묘일대에 이르는 지역의 궁실관계 건물들과 주변의 자연경관이 함께 담겨졌던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궁궐의 그림에 있어서 주변의 경관을 함께 표현했을 가능성은, 조선 초기에 지도의 제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일에는 그림에 능한 사대부화가나 화원(畵員)이 으레 참여하였음을 고려하면 더욱 높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산수를 배경으로 한 궁궐도는 일종의 지도로 인식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궁궐도는 대체로 두 가지 계보로 나누어진다. 그 하나는 건물들을 정면관을 위주로 하면서 위에서 내려다 본 것처럼 표현한 正面俯瞰構圖(정면부감구도)를 지닌 그림들이다. 대개의 경우 건물이 사방을 둘러 싼 담장에 의해 4각형 틀안에 들어있는 것처럼 보인다. 「중묘조서연관사연도」, 「인평대군방전도」등이 그 대표적인 예들이다. 또 다른 한가지 계보는 건물들을 위에서 옆으로 빗겨보고 평행사선을 이루도록 표현한 평행사선구도 혹은 평행투시도법을 지닌 그림들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줄지어 서 있는 많은 건물들을 입체적으로 표현하는데 가장 적합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본격적인 궁궐도들이 이 범주에 속한
다. 19세기의「동궐도」와「서궐도안」을 필두로 그 선행사례들이라 할 수 있는「명종조궁중숭불도」, 「화성행궁도」, 「수원궁궐도」등이 그 전형적인 예들이라 하겠다.
※ 키워드 : 궁궐도, 정면부감구도, 평행사선구도, 동궐도, 서궐도
※ 페이지 : 94~95
댓글(0)
최근순
추천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