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스럽고 이상적인 경관의 공원 산책로다. 수풀과 나무가 빽빽이 우거지고 완만한 구릉을 따라 커다란 암석이 솟아올라 있다. 아스팔트 포장과 콘크리트 경계석, 금속 펜스와 가로등과 같은 인공물이 아니었다면 숲 속 경관이라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의도적으로 주변 도시와 동떨어진 자연을 부지에 도입하려고 했던 ‘조경가’1의 설계 의도에 부합한다. 모암층인 맨해튼 편암(Manhattan schist)이 지면에 노출되었는데, 이 암석을 뚫고 자라난 식생이 자연스러움을 더한다. 공간의 이상적 이미지인 ‘야생’을 ‘공원’으로 만들어주는 인공물에 눈을 돌려 보자. 공원의 주요 산책로와 도로는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다. 관습적인 아스팔트 포장과 같이 포장 단면의 중앙을 약간 높게 들어 올리고 양쪽 가장자리를 낮게 계획해 길 양옆으로 빗물이 흐르도록 계획했다. 배수로 역할을 하는 아스팔트 포장의 양쪽 가장자리의 경계에는 약 5cm 높게 콘크리트로 경계석을 두어 빗물이나 이물질이 플랜터 안팎으로 섞이는 것을 방지했다. 아스팔트는 흔히 자동차 도로에 사용하는 재료로 여겨 보행로에 사용하는 것을 주저하는 경향이 있지만, 내구성이 좋고 특히 열에 강한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보행로를 콘크리트로 포장할 때 필요한 균열 조절 줄눈(control joint) 없이 매끈한 포장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재료다. 다만 오랜 시간 풍화와 마모에 따라 작은 균열이나 재료의 벗겨짐 현상이 생겨 포장 재료를 부분적으로 때우는 유지ㆍ관리 작업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공원의 주요 보행로와 광장에서는 아스팔트가 아닌 특별한 재료로 포장한 사례를 발견할 수 있다. 사진의 사례에서는 육각형 모듈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보행로를 포장했는데, 이는 이 공원이 위치한 뉴욕 시의 광장이나 공원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포장 재료다. 정형화된 모듈로 제조, 설치, 유지ㆍ보수를 비교적 간단히 할 수 있는 한편, 블록끼리 단단하게 맞물리는 구조로 포장면의 내구성이 높기 때문이다. 공원의 일부 구간에는 이용자와 서포터가 이 육각형 포장석을 기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기부자의 이름이나 기념하고 싶은 문구를 새긴 육각형 모듈의 화강석 포장석을 콘크리트 블록 사이사이에 끼워 넣는 방식이다. 1980년에 설립된 민간단체인 공원 관리위원회는 이와 같은 기부를 통해 공원 유지·관리 예산의 75%를 확보하고 있다고 한다. ...(중략)...
안동혁은 뉴욕에 위치한 제임스 코너 필드 오퍼레이션스(James Corner Field Operations)에서 활동하고 있는 펜실베이니아 주 등록 미국 공인 조경가(RLA)다.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조경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현재 회사에 8년째 근무하면서 Philadelphia Race Street Pier, 부산시민공원, London Queen Elizabeth Olympic Park, Hong Kong Tsim Sha Tsui Waterfront 등의 프로젝트를 진행해 오고 있다.
* 환경과조경 360호(2018년 4월호) 수록본 일부